종목 | 보물 제157호 |
---|---|
소재지 | 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45 보림사 |
소재지 | |
지정일 | 1963.01.21 |
수량/면적 | 1기 |
시대 | 통일신라 |
소유자 | 보림사 |
관리자 | 보림사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부도. 높이 4.1m.
신라 구산선문(九山禪門) 중의 하나인 보림사를 개창한 보조선사의 묘탑으로서 사찰 중심에서 동쪽의 가지산 기슭에 있으며 여기서 40m쯤 떨어진 곳에 탑비가 서 있다.
보조선사(804∼880)는 어려서 출가하여 불경을 공부하였으며, 흥덕왕 2년(827)에 승려가 지켜야 할 계율을 받았다. 희강왕 2년(837) 중국으로 건너갔으나 문성왕 2년(840)에 귀국하여 많은 승려들에게 선(禪)을 가르쳤다. 헌안왕 3년(859)에 왕의 청으로 보림사의 주지가 되었으며, 77세의 나이로 입적하였다. 왕은 그의 시호를 ‘보조선사’라 하고, 탑 이름을 ‘창성’이라 내리었다.
부도는 높은 8각 지대석(地臺石) 상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매우 낮은 각형(角形) 1단의 굄을 각출하고 그 위에 세웠는데, 기단부는 상대석(上臺石)·중대석(中臺石)·하대석(下臺石)으로 구성되었다.
하대석은 상하 2단으로 이루어졌으며 상하단 모두 8각인 것이 확실하나 현재는 파손이 심하여 그 윤곽이 분명하지 않으며, 하단은 각 면에 안상(眼象)이 있고 상단에는 사자상(獅子像)을 조각한 흔적이 남아 있다.
하대석 위에는 중대(中臺)를 받기 위한 원형의 굄돌을 따로 만들어 끼워 놓았는데, 측면에 권운문(卷雲文)을 원각(圓刻)에 가깝게 사실적으로 조식하였다. 굄돌 상면에는 8각으로 낮은 1단의 각형과 높은 각형 2단의 굄단을 각출하여 중대석을 받고 있는데, 측면의 운문(雲文)이 반전(反轉)되듯 입체적으로 위까지 올려 덮고 있다.
중대석은 8각인데 배가 약간 부른 형태로서 배흘림을 표현하고 있다. 각 면에는 상·하단부에 대칭으로 두 줄의 횡대를 돌리고 각 횡대 사이에는 모서리에 1좌씩, 그리고 그 중간에 1좌씩의 화문(花文)을 가늘게 조각하여 장식하였다.
각 면에는 상하에 괄호형이 있고 좌우에도 중앙에 1단의 굴곡을 둔 방형에 가까운 특이한 형식의 안상을 평행선으로 이중이 되게 오목새김하였다. 여기에서처럼 안상이 방형이라든지 삼중으로 안상을 조각한 중대석의 양식은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형식이다.
안상 내에는 아무런 조식이 없어 간소한 듯하나 각 모서리의 중간에 좌우 측면의 앙련대(仰蓮帶)와 상단의 8각 갑석형(甲石形)이 완전히 구분되어 있다. 하면에는 8각의 중대석 상면에 맞게 놓이도록 8각으로 2단의 각형 받침을 조각하였다. 앙련은 단엽1판(單葉一瓣)씩을 각 모서리에 조각하였는데, 이 판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또 하나의 연엽형(蓮葉形)을 오목새김하고 그 안을 고사리문과 곡선문으로 장식하고 있다.
탑신 굄대는 다른 돌로 높게 조성하여 끼웠으며 8각을 이루었는데, 각 측면에는 조각이 전혀 없으며 중간에 가로로 한 줄의 곡선을 돋을새김하고 상하단은 낮게 갑석형을 돌리고 있다. 그런데 여기에서 또 하나 주목되는 것은 측면이 수직으로 내려온 것이 아니라 중간의 횡선을 경계로 하여 각기 상하단에서 반전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중대석의 배흘림의 의장과도 통하는 점이 있다.
그리고 굄대 상면에 굄단이 없이 탑신석을 안치한 것은 상대석 상면과 같은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탑신석은 유난히 넓고 크며, 8각의 각 면에는 양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가 모각되고 특히 상단부에는 주두(柱頭 : 대접받침)가 모각되어서 목조가구(架構)를 재현한 듯한 느낌을 준다.
탑신 여덟 면에는 전후면에 문비형(門扉形)을 모각하고 그 좌우에는 사천왕상을 조각하였는데 갑주(甲胄)가 화려하다. 옥개석 역시 8각형으로 하면에 서까래모양을 모각하였는데 탑신석에 놓이는 부분에 8각으로 2단의 각형 받침을 조출하고 처마 부분에는 굵은 권운문을 조각하였다.
상면에는 여덟 면의 합각(合角)에 우동(隅棟 : 탑 옥개석의 귀마루)이 굵직하게 조각되었고, 그 사이의 낙수면에는 기왓골이 표현되었다. 추녀는 수평이나 매우 중후하고 막새기와의 표시도 전혀 없는데, 각 모서리에는 반전을 보이고 있으며 우동 끝에 삼산형(三山形)의 귀꽃이 조식되었다.
옥개 정상에는 2단의 각형 굄을 조각하여 상륜(相輪)을 받고 있다. 상륜부는 현재 완형이 아니지만 복발(覆鉢)·보륜(寶輪)·보주(寶珠) 등이 차례로 놓여 있다. 복발은 원형이며 측면에는 여덟 귀퉁이를 표시하기 위한 화문을 조식하고 이들을 연결하는 횡대를 돌렸다. 그리고 이 위에 대의 마디 모양의 간주(竿柱)가 세워지고 그 중간마다 보륜이 놓였는데 각 측면에는 굵은 권운문을 조식하였다.
이 부도의 앞쪽에는 탑비가 남아 있어서 보조선사의 행적 및 당시의 사찰의 대외관계 등 모든 내용을 알 수 있는데, 비문에 의하여 볼 때 이 부도의 조성연대는 880년경으로 추정된다.
'한국의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59호 방어산마애불(防禦山磨崖佛) (0) | 2015.06.16 |
---|---|
보물 제158호 보림사보조선사창성탑비(寶林寺普照禪師彰聖塔碑) (0) | 2015.06.14 |
보물 제156호 보림사서부도(寶林寺西浮屠) (0) | 2015.06.14 |
보물 제155호 보림사동부도(寶林寺東浮屠) (0) | 2015.06.14 |
보물 제154호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부도(求禮 鷰谷寺 逍遙大師 浮) (0) | 2015.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