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다음
행복이 머무는 샘터
교리 공부를 위해
1. 원시 아함경
2. 부파 구사론, 대비바사론
3. 반야 반야경, 중론, 대지도론, 유마경
4. 유식 해심밀경, 유식삼십송, 유가사지론, 성유식론.
5. 여래장(불성) 승만경, 열반경, 여래장경, 보성론
6. 유식·여래장 종합 능가경, 대승기신론
7. 화엄 화엄경, 화엄경 탐현기
8. 천태·법화 법화경, 법화경종요, 마하지관, 소지관
너무나 방대한 경전들이기 때문에 우선은 아함경을 먼저 읽고, 반야경 중에서 반야심경을 읽는다.
가능하면 대품반야를 죽 읽는 것도 좋다. 그리고 유마경, 해심밀경 정도를 읽고 열반경을 읽는다.
그리고 능가경과 대승기신론을 읽고 화엄경과 법화경을 읽는다.
이 중에서 법화경은 사경이나 독경용으로 많이 선택되는 경 이므로 이 때에는 이 순서에 상관없이 한다.
또 화엄경은 양이 방대하므로 품별로 나누어 먼저 읽어나가도 좋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아함경을 가장 먼저 보는 것인데, 아함경 도 양이 많으므로 주제별로 추려놓은 현대서적을 이용하여 읽 어 나가면 공부를 쉽고 재미있게 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계율이나 참선수행에 있어서도 아함경에 기초적인 내용 들이 나오므로 계율과 수행법 부분을 따로 모아 읽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계율수행을 위해
1. 5계 우바새경, 우바새오계상경,
2. 8재계 지재경(재경), 사천왕경,
3. 10선계 십선경, 십선업도경, 십지경론, 십주비바사론
4. 보살계 범망경, 우바새계경, 보살내계경, 보살선계경, 보살지지경, 유가사지론, 보살영락본업경,
우바새경, 재경, 사천왕경, 십선경 등이 모두 아함경에 들어있 으니 5계, 8재계, 십선은 아함경을 보면 기본적인 지침을 얻을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한 내용은 우바새5계상경이나 우바새계경 을 보면 되고, 특히 십주비바사론에서는 대승적 관점에서 각종 계에 대한 구체적인 관점들이 잘 나타나 있다.
끝으로 보살계는 5계, 8재계, 십선계가 충분히 몸에 익은 사람 이 받는 계이니 이와 관련된 경을 보는 자도 마땅히 앞의 계가 충분히 익은 후라야 할 것이다.
다른 모든 경전을 읽을 때 그래야 하지만 특히 보살계는 심지계 이니 범망경을 비롯하여 보살계를 설한 경론을 읽을 때에는 계 의 근본 정신을 깨우치려고 애써야 할 것이다.
참고로 불살생계는 모든 계율의 근본이며 이에 대한 적극적 실천법으로 방생이 있다. 방생에 대해서는 중국 주굉스님의 <계살방생문>을 보면 좋다.
- 불교교리상식 -
|
출처 :행복이 머무는 샘터
원문보기▶
글쓴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