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불화,탱화

내소사 來蘇寺

문성식 2014. 11. 13. 16:33
소재지 : 부안군 진서면 
원문참조 및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전통사찰종합정보 
사진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5590.jpg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禪雲寺)의 말사이다. 633년(무왕 34) 혜구(惠丘)가 창건하여 ‘소래사(蘇來寺)’라고 하였다.

 

그 뒤 1633년(인조 11)에 청민(靑旻)이 대웅보전을 지어 중건하였고, 1604년(인조 18) 청영(淸映)이 설선당과 요사를 지었다.

 

1902년 관해(觀海)가 수축한 뒤 1983년 일주문을 세우고 1985년 대웅보전을 중수하였으며, 1986년 천왕문을 짓고 설선당과 요사를 보수하였다. 1987년 봉래루를 해체 복원하였으며 1988년 요사인 진화사(眞華舍)를 건립하였다. 1995년 수각(水閣)과 종각을 짓고 범종을 조성하였다.

 

소래사가 내소사로 바뀐 것은 중국의 소정방(蘇定方)이 석포리에 상륙한 뒤, 이 절을 찾아와서 군중재(軍中財)를 시주하였기 때문에, 이를 기념하기 위해서 고쳐 불렀다고 전하나 사료적인 근거는 없다.

 

현존하는 당우 및 중요문화재로는 보물 제291호로 지정된 대웅보전(大雄寶殿)을 비롯하여 보물 제277호인 고려동종(高麗銅鐘), 보물 제278호인 법화경절본사경(法華經折本寫經), 보물 제1268호로 지정된 괘불 등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5호로 지정된 요사채, 설선당(說禪堂)·보종각(寶鐘閣)·봉래루(蓬萊樓),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4호로 지정된 삼층석탑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대웅보전은 1623년(인조 1)에 완공되었는데 그 의장(意匠)과 기법이 매우 독창적인 조선 중기의 대표작이다. 못 하나 쓰지않고 나무를 깎아 서로 교합하여 만들었다고 하며, 법당 내부의 벽면에 그려진 관세음보살상 등의 그림도 일품이다.

 

전설에 의하면, 이 건물은 호랑이가 화현(化現)한 대호선사(大虎禪師)가 지었다 하고, 벽화는 관세음보살의 화현인 황금빛 날개를 가진 새가 그렸다고 하는데, 그때의 일화가 지금도 전하고 있다. 또한, 고려동종은 1222년(고종 9) 변산 청림사(靑林寺)에서 만든 종인데, 1850년 땅속에서 발굴된 뒤 이 절로 옮겨졌다.

 

그리고 법화경절본사경은 조선 초기에 이씨 부인이 망부(亡夫)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한 글자를 쓰고 한 번 절하면서 지극한 정성으로 필사한 것이다. 정면 6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인 설선당은 인조 때 승려의 수학장소로 건축되었고, 봉래루는 1414년 실상사지(實相寺址)에서 이건하였으며, 현재 산문(山門)으로 사용하고 있다.

 

부속암자로는 입구의 지장암(地藏庵)과 절 후방 1.5㎞ 지점에 청련암(靑蓮庵)이 있다. 절 일원이 전라북도 기념물 제78호로 지정되어 있다.

 

12.gif 설화

 

1. 대웅보전 천장이 비어 있는 이유

 

임진왜란으로 절이 불타 버려  중건에 노심초사하던 청민선사께서 하루는 그의 시자승인 선우를 불러 “법당을 지을 도편수가 지금 일주문밖에 오셨을 터이니 가서 모셔오너라”하므로 선우가 기쁜 마음으로 나가보니 과연 한 꾀죄죄하게 생긴 사람 하나가 연장망태를 걸머진 채 문기둥에 기대어 자고 있거늘 다소 실망한 선우가 깨워 모셔 왔다. 
 
도편수는 다음날부터 재목을 자르기 시작하였는데 몇 달 몇 일이 되어도 법당은 짓지 않고 목재를 깍고 다듬어 부재 만드는 일만하는 것이었다. 도편수의 하는 꼴이 미덥지가 않아 선우스님이 그 부재 하나를 몰래 감추었다. 삼년동안 목재만 깍던 도편수가 이제 법당을 짓는다며 부재를 세기 시작하여 세고 또 세고 수 십번을 세더니 크게 탄식하며 청민선사에게 "스님 저는 이 법당을 지을 수 없습니다.그만 돌아가겠습니다." 하는 것이었다. 깜짝 놀란 청민선사가 "아니 이게 웬 말씀이오"하니 "소인이 삼년동안 정성을 다하여 목재를 다듬었다고 믿었는데 이제 헤아려보니 하나가 모자랍니다. 이런 선심과 부족한 정성으로 어찌 부처님을 모시는 법당을 지을 수 있겠습니까"하면서 연장을 챙겨 짐을 꾸리기 시작하였다. 옆에서 듣고 있던 선우스님이 깜짝 놀라 감추었던 부재 하나를 내 놓으며 용서를 빌었더니 도편수가 웃으면서 "그것은 이미 부정탄 목재이니 내 그것을 빼고 지으리라"하고 지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지금도 대웅보전 우측 천장 한 칸의 빈자리가 있다.
 
마침내 법당을 다 지은 도편수가 화공을 데려와 내부의 단청을 하는 데 화공이 말하기를 단청일을 하는 백일동안 아무도 법당 안을 들여다보지 말도록 단단히 당부 하였다. 그러나 참을성이 부족한 선우스님이 99일째 되는 날 문틈으로 들여다보니 이게 웬일인가 화공은 보이지 않고 황금빛 새 한 마리가 입에 붓을 물고 날아 다니며 단청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넋을 잃고 들여다보고 있는데 갑자기 천둥같은 호랑이 울음소리가 들려오면서 황금새는 붓을 떨어뜨리고 날아가 버리고 법당 앞에 쓰러진 집채 만한 호랑이 앞에서 청민선사가 법문을 설하고 있었다. "대호선사(大虎禪師)여! 생과 사가 둘이 아니거늘 그대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 그대가 지은 이 법당은 길이 법연을 이으리라" 법문을 마친 청민선사도 어디론지 사라졌다고 한다.

 

2. 절이름에 얽힌 설화

 

전설에 따르면 당나라의 장군 소정방이 왔다 갔었다 하여 붙여진 명칭으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신라가 당나라 군대를 끌여들여 나당연합군을 편성하여 백제를 멸망시킨 것이 서기 660년 이다. 이후 백제 사람들이 멸망한 조국을 되찾으려고 도처에서 부흥군을 일으켜 4년여 동안 싸웠는데 부흥군의 마지막 전투지가 부안의 상서면 개암동 뒤의 고성인 위금산성일 것으로 주장하는 일부 학설이 있다. 위금산성이 곧 주유성이라는 것이다.

 

이 학설과 관련하여 변산에 운집하여 있는 백제의 부흥군을 토벌하기 위하여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군대를 이끌고 줄포만의 돌개(지금의 석포)에 상륙하여 내소사에 들렸는데 이때 많은 재물을 시주하였다는 것이다. 그래서 절에서는 그의 내방을 기념하기 위하여 (소장군이 왔었다.)는 뜻으로 소래사(蘇來寺)라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져 오고 있으나 이는 근거가 없는 이야기이다. 소정방은 개전 초에 잠시 체류하였을 뿐, 백제의 부흥군 토벌 무렵에 소정방은 당나라에 있었다.  

 

또 한가지 전설은 김유신과 소정방이 승전의 축배를 들기 위하여 만났다 하여 개암사 뒤 바위를 우금암 이라 했다고 하고 소정방이 산에 올랐다 하여 상소산(지금의 부안읍 성황산)이라 했다는 이야기들이 모두 같은 맥락의 철부지의 허황된 전설이다.그러면 내소사,또는 소래사의 뜻은 무엇일까? 아마도 불교에서 말하는 내자개소(來者皆蘇)에서 따온 이름 일 것이다. (부처님의 도량인 이절에 오는 모든사람은 소생하리라)의 불교의 모든 생명의 윤회전생설(輪廻轉生設)에서 나온 말이다.모든 중심이 사집(邪執),유견(유見),번뇌(煩惱),업(業)등으로 인하여 삼계육도(三界六道)에 죽어서는 다시 나고 또 다시 죽으며 생사를 끝없이 반복하여 가는 것을 이름이다.

 

 

 

t_m_1111.jpg 12.gif 교통안내 

* 서해안고속도로 - 부안나들목 - 고창방면 23번국도 - 15.2km - 보안사거리 (우회전) - 30번국도(10km) - 석포리 내소사입구 (우회전) - 2km - 내소사 일주문
* 안읍 - 30번국도로 직진 - 변산 - 격포 - 진서면 석포리 내소사 입구 (좌회전) - 2km - 내소사 일주문
* 태인IC - 30번국도(20.5km) - 신태인 - 부안읍

12.gif 현지교통

부안고소터미널에서 1일 6회 진서면방면 버스 운행(소요시간 40분), 내소사 입구에서 하차하여 도보 10분

12.gif 주변관광지 

12.gif 등산로

* 내소사 - 관음봉 - 재백이고개 - 직소폭포 - 자연보호헌장탑 - 사자동 또는 월명암 - 남여치
* 원암(매표소) - 재백이고개 - 직소폭포 - 자연보호헌장탑 - 사자동 또는 월명암 - 남여치

12.gif 입 장 료 

12.gif 주차시설

12.gif 도움전화

변산반도국립공원 관리사무소 063-582-7808

'사찰,불화,탱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원사 內院寺  (0) 2014.11.13
내원사 內院寺  (0) 2014.11.13
남장사 南長寺  (0) 2014.11.13
낙산사 洛山寺  (0) 2014.11.13
김룡사 金龍寺  (0) 2014.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