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 양양군 강현면 |
---|---|
원문참조 및 출처 : | |
사진출처 : |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전진리 오봉산(五峰山)에 있는 절.
〔연 혁〕
오봉산은 낙산이라고도 한다.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본사인 신흥사(新興寺)의 말사이다. 해변에 위치한 특이한 구조를 갖춘 사찰로, 우리 나라 3대 관음기도도량 중의 하나이다. 낙산은 범어 보타락가(補陀落伽, Potalaka)의 준말로서 관세음보살이 항상 머무르는 곳이라는 의미이다. 671년(문무왕 11)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
의상은 당나라에서 귀국하자 관세음보살의 진신(眞身)이 낙산 동쪽 바닷가 굴속에 있다는 말을 듣고 친견하기 위해서 찾아갔다.
굴 입구에서 7일 동안 재계하고 좌구(座具)를 새벽물 위에 띄우자 용중(龍衆:용의 무리)과 천중(天衆:하늘나라의 사람들) 등 8부신장이 굴속으로 그를 인도하였다. 공중을 향하여 예배드려 수정염주 한 꾸러미를 받아서 나오는데, 동해의 용이 여의보주(如意寶珠) 한 알을 다시 바쳤다.
의상은 이들을 가지고 와서 다시 7일 동안 재계하여 관세음보살의 진신을 보았다. 관세음보살이 이르기를 “좌상(座上)의 산꼭대기에 한 쌍의 대나무가 솟아날 것이니, 그 땅에 불전을 짓는 것이 마땅하리라.” 하였다. 의상은 그곳에 금당(金堂:법당)을 짓고 관음상을 만들어 모신 뒤 절 이름을 낙산사라 하고, 그가 받은 두 구슬을 성전(聖殿)에 모셨다.
창건 이후 원효(元曉)도 관세음보살을 친견하기 위하여 이 절을 찾았는데, 원효가 절에 이르기 전에 관세음보살의 화신을 만나게 되었지만 알아보지 못하였고, 낙산사에 가서도 풍랑이 심해 관세음보살이 상주하는 굴에 들어가지 못하게 되었다는 설화가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다.
이 낙산사의 관음상에는 승려 조신(調信)이 꿈을 꾸고 자기의 잘못을 뉘우치게 되었다는 설화가 있다. 한 여인을 사랑하게 된 승려가 사랑이 맺어지기를 관음상 앞에서 염원하였는데, 해로하기 50여 년 만에 결국 고통을 안고 헤어지게 된다는 내용이다. 이광수(李光洙)는 이것을 〈꿈〉이라는 소설로 발표하였다.
858년(헌안왕 2)에는 사굴산파의 개산조 범일(梵日)이 이곳에서 정취보살(正趣菩薩)을 친견한 뒤 낙산 위에 3칸의 건물을 지어 불상을 봉안하였다.
이 절은 고려 초기에 산불로 소실되었으나 관음보살과 정취보살을 모신 불전만은 화재를 면하였다. 고려 태조는 고려를 세운 직후 봄·가을로 낙산사에 사자를 보내어 재를 올렸을 뿐 아니라, 이것을 갑령(甲令)으로 삼았다.
그리고 속인들은 이 낙산의 굴 앞에서 예배하면 청조(靑鳥)가 나타난다고 믿었는데, 1185년(명종 15) 당시의 병마사였던 유자량(庾資諒)이 굴 앞에서 예배하자 파랑새가 꽃을 물고 날아와 갓 위에 떨어뜨린 일이 있었다고 한다. 유자량이 청조의 영험을 보고 지은 시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 있다.
몽고의 침략으로 이 절이 전소될 때 두 성상(聖像)을 모신 건물도 불타 버렸고, 여의주와 수정염주는 이 절의 노비가 땅에 묻고 도망쳤다가 난이 평정된 뒤 파내어 명주 감창사(監倉使)에게 바쳤다.
감창사 이녹수(李祿綏)는 1258년(고종 45)에 각유(覺猷)에게 어부(御府)에 모시도록 하였다. 그러나 관음상은 이때 화를 당하여 형체만 남았고, 복장(腹藏:불상의 복부 부분에 넣어 놓는 성스러운 물건) 속의 보물은 몽고병에게 약탈당하였다.
이규보(李奎報) 등이 이 소식을 듣고 다시 관음상을 봉안할 때 심원경(心圓鏡) 2개, 오향(五香)·오약(五藥)·색실·비단주머니 등을 관음상의 복중에 넣고 겉모습도 복구하였다. 1468년(세조 14) 세조는 학열(學悅)을 중창주로 삼아 이 절을 중창하게 하였다.
1471년(성종 2) 선학(仙學)이 용선전(龍船殿)·영산전(靈山殿)·어제루(御製樓)·승당(僧堂) 등을 보수하고 단청하였다. 4년 뒤 불탔으나 선학이 복구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관음전과 관음상·정취전·금불상이 모두 소실되었다. 1631년(인조 9) 종밀(宗密)이 중창하였고, 1643년 도원(道源)이 중건하였으며, 1905년 경은(敬隱)이 선당(禪堂)과 후각(後閣) 등을 복구하였다.
그러나 6·25전쟁 때 전소된 것을 1953년 4월, 당시 1군단장이었던 이형근(李亨根)이 원통보전·범종각(梵鍾閣) 등을 복구하였으며, 1976년 원철(圓徹)이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당우 및 문화재〕
현존하는 당우로는 원통보전·종각·일주문·천왕문·선실·승당·객실 등이 있다. 문화재로는 보물 제479호인 낙산사동종과 보물 제499호인 낙산사칠층석탑,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33호인 낙산사홍예문,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34호인 낙산사원장(洛山寺垣墻),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5호인 양양낙산사사리탑, 강원도문화재자료 제36호인 낙산사홍련암(洛山寺紅蓮庵) 등이 있다.
이 중 칠층석탑은 창건 당시 3층이었던 것을 1468년의 중창 때 7층으로 개축했다고 전한다. 홍예문은 반월형의 문루(門樓)인데, 낙산사 입구에 세워져 있다.
화강석 26개를 장방형으로 다듬어서 반월형의 문을 만들었는데, 이 26이라는 숫자는 당시 강원지부(江原之部)의 고을 숫자를 의미한다고 한다. 당시 강원도에는 26개의 고을이 있었는데, 세조의 뜻에 따라 각 고을의 군수가 석재를 하나씩 모아서 세웠다는 속전이 있다.
원통보전의 담장은 적토(赤土)로 빚은 기와와 화강석을 배열한 것으로 전체 높이 4m, 둘레는 30여m에 이르고 있다. 근년에는 화강암으로 다듬은 동양 최대의 해수관음입상(海水觀音立像)을 조각하였는데, 석재는 전라북도 익산의 호남 채석장에서 반입한 것으로 750t이 소요되었다. 조각가 권정환에 의해 1972년 5월 착수되어 5년 만인 1977년 11월 6일 점안(點眼)되었다.
높이 16m, 둘레 3.3m, 좌대 넓이 6㎡이며, 좌대의 앞부분은 쌍룡상(雙龍像), 양 옆으로는 사천왕상이 조각되어 있고, 그 위 한 송이 연꽃으로 된 연봉(蓮峰) 위에 관음보살상을 안치하였다.
관음상은 왼손에 감로수병을 받쳐들고, 오른손은 천의(天衣) 자락을 살짝 잡고 있으며, 미간에는 백호(白毫)를 박아 온누리에 퍼지는 자비의 광명을 상징하고 있다. 크기와 원만한 상호(相好), 균형 잡힌 체감미 등이 근래에 보기 드문 수작이다.
이 밖에도 이 절 옆에는 의상이 홍련 위에 나타난 관음을 친견하고 대나무가 솟은 곳에 불전을 지었다고 전하는 자리에 세운 홍련암이 있으며, 의상이 좌선했다는 의상대(義湘臺) 등이 있다. 도량 전체가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35호로 지정되어 있다.
관음신앙
낙산에는 언제나 관세음보살이 머물고 있다. 이것을 '관음진신주처신앙(觀音眞身住處信仰)'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 신앙의 배경은 『화엄경』에 있다. 『화엄경』에는 「보살주처품(普薩住處品)」이 별도로 있어서 금강산에는 법기(法起)보살, 오대산에는 문수보살, 천관산에는 천관(天冠)보살이 상주설법(常住說法)한다고 설하고 있다. 그런데 관음주처 신앙은 이 경전의 「입법계품(入法界品)」에 기초하고 있다. 선재동자(善財童子)는 28번째로 선지식(善知識)을 만나는데, 그가 곧 관음이다.
관음보살은 남방 해상의 광명산(光明山), 곧 보타낙가산에서 상주설법하고 있었는데, 선재동자가 묻는 보살도(菩薩道)에 대해 일체 중생들이 공포에서 벗어나도록 서원을 세워 대비법문광명행(大悲法門光明行)을 성취했다고 했다.
이처럼 관음진신주처신앙이 『화엄경』에 토대한 것이라고 볼 때 신라의 낙산관음진신주처신앙이 과연 의상에 의해 유포된 것인지에 대해 의문이 생길 수 있다.
관음의 주처가 『육십화엄(六十華嚴)』에는 광명산으로, 『팔십화엄(八十華嚴)』에는 보타낙가산으로 되어 있는데, 『팔십화엄』은 의상의 열반(서기 702년)에 가까운 699년에 번역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타낙가산이라는 산 이름은 반드시 『팔십화엄』에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646년에 쓰여진 현장(玄濱)의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에도 포달낙가산 산꼭대기에 천궁(天宮)이 있어서 관자재보살이 왕래하며 뵙기를 원하는 사람에게 나타나 위유(慰喩)한다고 했다. 그리고 보타낙가산은 소백화산(小白花山)으로도 불린다.
서역의 보타낙가산은 백의대사(白衣大士), 곧 관음보살이 머무는 곳이므로 이곳에서는 '소백화'라고 한다는 『삼국유사』의 기록은 이를 밝힌 것이다. 또한 징관(澄觀)도 여기서는 소백화라고 한다고 했다.
이처럼 보타낙가산이라는 지명은 『팔십화엄』에만 쓰인 것이 아니고, 또한 그 한역(漢譯)인 소백화산으로부터 의상이 백화도량(白花道陽)이라는 용어를 이끌어 쓴 예 등으로 볼 때, 낙산의 관음보살주처신앙과 의상스님과의 관계를 간단히 부정하기는 어렵다
원효와 의상
「삼국유사」와「동국여지승람」그리고 낙산사 기록 등 낙산사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모든 기록들은 이 절이 신라시대 의상 조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적고 있다.
신라 귀족 출신의 승려로 진평왕 47년(625)에 태어난 의상은 선배인 원효와 함께 중국 당나라에 유학하여 새로운 불법을 익히고자 하였다. 당시 통일 전쟁의 와중에 있던 삼국 사이의 불안한 국경 정세 때문에 첩자로 오인되는 어려움을 겪기도 하지만 두 번에 걸친 시도 끝에 당나라에 공부하러 가게 된다. 이두번째 길에서 원효는 해골에 고인 물을 어둠 속에서 달게 마셨다가 깨끗하고 더러움이 마음으로부터 일어난다는 이치를 깨닫고 당나라에 가지 않았다고 한다.
처음 뜻대로 당에 건너한 의상은 당시 크게 연구되기 시작하던 화엄사상을 지엄을 스승으로 하여 배우고 나서 10년 만에 본국 신라에 돌아와 삼국통일과 통일된 신라 사상계의 중추적 역할을 하다가 성덕왕 원년(702)에 다시 중국에 들어간다. 의상은 여덟 살 손위인 원효와 함께 공부했지만 두 사람은 각기 다른 사상 체계를 형성하였다.
원효는 수많은 저술을 통하여 당시의 과제였던 중관과 유식의 사상적 통일 등 불교사상 체계를 명료하게 바로잡아 높은 경지를 형성하였고 동시에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불교를 이해시키기 위해 대중불교를 앞장서 실천하였다.
한편, 의상은 중국 불교 철학의 최고 경지로 자리잡은 화엄사상을 완전히 체득한 다음 이 핵심 내용을 짤막한 시구로 간략하게 정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수많은 문도를 길러 내어 신라 화엄의 종조가 된다. 신라 화엄종은 이후 통일신라 사회를 이끌어가는 지도 이념이 되었고, 이에 따라 화엄십찰과 같은 거대한 국찰들이 세워져 그 종지를 현양하게 되었으므로 의상의 성가도 원효 못지 않게 높아진다.
의상은 당나라에서 공부하고 신라에 돌아온 뒤, 온 나라를 돌아 다니며 그의 새로운 뜻을 펼 마땅한 땅을 찾다가 동해변 지금 양양 지방에 이르게 된다. 해변의 석굴에 관음보살의 진신(眞身)이 살고 있다고 들었기 때문이다. 굴은 높이가 백 자나 되게 깎아지른 바위 틈에 만들어져 있고, 만 섬 실은 배가 드나들 만큼 넓었으며 그 아래로 파도가 쉴 새 없이 드나드는 험한 형세였다. 굴 앞에 50보쯤되는 바닷속에 한 사람 앉을 만한 바위가 있어 수면에 오르내리는데 의상은 이 돌 위에서 이레 동안 정결한 몸과 마음으로 관음 진신을 뵙기를 지성스럽게 간구하였다.
그러나 뵙지 못하자 그가 앉아 정진하던 자리를 그대로 바닷속에 던져 물 속에 뛰어들었더니 하늘에서 호위신들이 나타나 그를 굴 속으로 인도하였다. 다시 공중을 향해 관음 뵙기를 기도하자 마침내 관음은 그 지성에 감복하여 진신은 드러내지 않고 다만 수정염주(水精念珠) 한 꾸러미를 내주었다.
의상은 환희에 넘쳐 수정염주를 받들고 물러나는데, 동해를 지키는 용이 또 여의보주(如意寶珠) 한 알을 바쳐서 함께 받들고 나왔다. 그러나 의상은 다시 이레를 진심으로 기도하여 마침내 관음의 진신을 친히 볼 수 있었다. 의상의 경건한 정진에 끝내 관음의 진신을 보인 것이다. 아울러 관음은 의상에게 굴 위 산곡대기에 쌍죽이 솟어널 것이니 거기에다 절을 짓는 것이 좋으리라고 일러 주었다.
의상이 이 말을 듣고 굴 밖으로 나오니 과연 쌍대가 당 위로 솟아나왔다. 그리하여 그곳에 금당을 짓고 전단향을 넣은 흙으로 정성스럽게 관음상을 빚으니 그원만하고 고운 형상이 마치 하늘에서 내려 보낸것처럼 훌륭하였다. 솟아올랐던 대는 다시 없어졌으므로 이에 의상은 이곳이 바로 관음과 동해룡으로부터 받았던 두 가지 구슬을 절안에 비장해 두고 새로운 수행길에 들었다.(「三國遺事」권3 洛山二大聖및「新僧東國與地勝覽」권 44 襄陽 佛字 洛山事)
도로안내 : 1) 양양에서 속초방면 7번 국도로 5.8킬로미터 지점에 낙산해수욕장 입구에 도착. 2) 설악동 입구인 물치 3거리에서는 5.4킬로미터 떨어져 있음.
현지교통 : 양양-낙산간 시내버스 매10분 간격 운행/10분 소요 속초-낙산간 시내버스 매10분 간격 운행/25분 소요
주변 유적지(관광지)
설악산국립공원, 오색약수.온천, 설악해수욕장, 소금강국립 공원, 통일전망대
입 장 료
주차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