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국보 제205호 |
---|---|
명 칭 | 충주 고구려비(忠州 高句麗碑) |
분 류 |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
수량/면적 | 1기 |
지정(등록)일 | 1981.03.18 |
소 재 지 | 충북 충주시 가금면 용전리 입석부락 280-11 |
시 대 | 고구려 |
소유자(소유단체) | 국유 |
관리자(관리단체) | 충주시 |
국내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고구려 석비로, 장수왕이 남한강 유역의 여러 성을 공략하여 개척한 후 세운 기념비로 추정된다. 1979년 입석마을 입구에서 발견되었는데, 오랜 세월이 흐른 탓에 발견 당시 비면이 심하게 마모되어 있었다. 석비는 돌기둥 모양의 자연석을 이용하여 4면에 모두 글을 새겼는데, 그 형태가 만주에 있는 광개토대왕비와 비슷하다. 비문은 심하게 닳아 앞면과 왼쪽 측면 일부만 읽을 수 있는 상태로, 내용 중 처음에 ‘고려대왕(高麗大王)’이라는 글자가 보이는데 여기에서 고려는 고구려를 뜻한다. ‘전부대사자(前部大使者)’·‘제위(諸位)’·‘사자(使者)’ 등 고구려 관직 이름과 광개토대왕 비문에서와 같이 ‘고모루성(古牟婁城)’등의 글자가 보이고, ‘모인삼백(募人三百)’·‘신라토내(新羅土內)’ 등 고구려가 신라를 불렀던 말들이 쓰여 있어 고구려비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 <충주(중원) 고구려비 내용> 5월 중에 고구려 대왕이 상왕공(相王公)과 함께 신라의 매금(寐錦, 왕)을 만나 영원토록 우호를 맺기 위해 중원(中原)에 왔으나,신라 매금이 오지 않아 실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고구려 대왕은 태자공 전부(前部), 대사자 다우환노(多于桓奴)가 이 곳에 머물러 신라 매금을 만나게 하였다. (중략) 신라 매금이 신하와 함께 고구려의 대사자 다우환노를 만나 이 곳에 주둔하고 있던 고구려 당주(幢主)인 발위사자 금노(錦奴) 신라 매금이 신하와 함께 고구려의 대사자 다우환노를 만나 있던 고구려 당주(幢主)인 발위사자 금노(錦奴)로 하여금 신라 국내의 중인(衆人)을 내지(內地)로 옮기게 하였다. ------------------------------------------------------------------------------------------------------- 고구려 영토의 경계를 표시하는 비로, 백제의 수도인 한성을 함락하고 한반도의 중부지역까지 장악하여 그 영토가 충주지역에까지 확장되었음을 말해준다. 또한 역사적으로 고구려와 신라, 백제 3국의 관계를 밝혀주는 귀중한 자료로서,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유일한 고구려비라는 점에서 커다란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
'한국의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207호 천마도장니(天馬圖障泥) (0) | 2014.01.03 |
---|---|
국보 제206호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陜川 海印寺 高麗木板) (0) | 2014.01.03 |
국보 제204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三十六) (0) | 2014.01.03 |
국보 제203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六) (0) | 2014.01.03 |
국보 제202호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7(大方廣佛華嚴經 晋本 卷三十七) (0) | 201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