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나는 대화법 573

질문해보세요

♣ 질문해보세요 ♣ 어떤 대답을 얻느냐는 어떤 질문을 했느냐에 달려 있다고 합니다. 바른 질문만이 바른 답을 가져옵니다. 훌륭한 커뮤니케이터들은 한결같이 질문의 대가들이었습니다. 질문이 세상을 바꿉니다. 최상품의 질문으로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고정관념을 깨뜨리고 편견을 줄이는 길은 질문하는 일입니다. 늙지 않는 비법도 질문에 있습니다. 끊임없는 호기심을 가지고 질문을 던지며 살면 늙지 않습니다. 많은 말을 하는 사람이 대화를 이끄는 것이 아니라 질문하는 사람이 대화의 방향과 흐름을 주도합니다. 질문을 잘하는 사람이 진정한 커뮤니케이터입니다. 질문을 피하지 말고 질문과 대면하여 맞서라 상상을 자극하는 질문을 던져보세요. 긍정의 질문을 던져보세요. 어머니의 마음으로 물어보세요. 말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잘 듣는 사람이 잘 이해한다.

♣ 잘 듣는 사람이 잘 이해한다.♣ 부탁, 교섭, 상담은 모두 대담이라는 형식으로 행해진다. 기본적으로 1대 1의 개별 커뮤니케이션이다. 그러나 정해진 자리에서의 공공 연설은 다수의 청중이 상대가 되는 것이므로, 아무래도 생각하고 다듬어진 말들을 조심스럽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청중과의 심리적인 거리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거기에 비해서 대담은 바로 눈앞에 상대편이 있다. 상대와의 심리적인 거리를 좁힐 수 있고, 인간적인 접촉 속도가 매우 빨라진다. 대담은 청자와 화자의 공동작업이다. 말하는 것과 듣는 것은 표리일체가 되어야 한다. 특히 사태가 긴박한 때에 상대가 노하든가, 비통해하든가, 흥분할 때는 마땅히 청자의 입장이 되어야 한다. 링컨이 변호사로서 성공한 이유를 질문받고 이렇게 대답한 적이 있다..

바른 자세의 대화법

♣ 바른 자세의 대화법 ♣ 좋은 대화는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고 사업을 성공으로 이끌며, 신실한 우정과 화목한 가정을 약속한다. 많은 이들이 대화를 통해서 상대방의 인격, 성정, 사고의 깊이와 너비를 가늠한다. 말은 마음의 옷과 같기 때문이다. 즐거운 대화를 위해선 나름의 에티켓을 지켜야 한다. 대화하는 사람 사이의 거리는 GO∼70cm가 이상적이다. 너무 가까이 다가가면 상대에게 불쾌감이나 위협받고 있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 그 외 일상 대화 중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시선은 상대방의 얼굴에 둔다. 주위를 두리번거리거나 대화 중 창문 등 엉뚱한 곳을 뚫어져라 응시하는 것은 큰 실례가 된다. ♣ 팔짱을 끼거나 다리를 포개지 않는다. 거만하고 몰상식한 사람이란 평을 들을 ..

아이에게 좋은 8가지 말

아이에게 좋은 8가지 말 1. 엄마는 정말 너를 사랑한단다 사랑한다는 말처럼 아이가 좋아하는 말은 없다. 늘 아이에게 사랑한다는 확신을 심어주고 또 말로도 사랑한다고 표현하자. 아이에게 제일 중요한 것은 자기가 부모로부터 사랑받고 있다는 확신이다. 아이가 엄마의 사랑을 확신하고 있다면 아이는 긍정적인 자아를 가질 수 있고 자신감 있는 성격으로 자라게 된다. 아이들에게 하루 한 번 꼭 사랑한다고 말해주자. 2. 틀려도 괜찮아 소심한 아이들은 틀릴까 봐, 혹은 잘못했다는 말을 들을까 봐 두려워하기 때문에 어떤 행동을 하는 데 상당한 제약을 받게 된다. 이럴 땐 아이가 용기를 가지고 어떤 일에 도전해볼 수 있도록 엄마가 항상 격려하는 말을 해주면 좋다. 틀리면 어떠니? 틀려도 괜찮은 거야, 누구나 실수할 수 ..

疏通(소통)의 法則

疏通(소통)의 法則 사람들은 귀 때문에 망하는 사람보다 입 때문에 망하는 사람이 많다는 사실을 기억하세요. 1. '앞'에서 할 수 없는 말은 '뒤'에서도 하지 마라. 뒷말은 가장 나쁘다. 구시렁거리지 마라. 2. '말'을 독점하면 '적'이 많아진다. 적게 말하고 많이 들어라. 들을 수록 내편이 많아진다. 3. 목소리의 '톤'이 높아질수록 '뜻'은 왜곡된다. 흥분하지 마라. 낮은 목소리가 힘이 있다. 4. '귀'를 훔치지 말고 '가슴'을 흔드는 말을 하라. 듣기 좋은 소리보다 마음에 남는 말을 하라. 5. 내가 '하고'싶은 말보다 상대방이 '듣고'싶은 말을 해라.

말 잘하는 기술보다 화제 전환 기술이 필요하다

말 잘하는 기술보다 화제 전환 기술이 필요하다 관심 없는 이야기를 끝까지 참고 들어야 했거나 어설프게 말을 돌렸다가 상대방과 어색해진 경험이 있다면 화제 전환의 기술이 필요하다. 자신이 원하는 주제와 방향으로 대화를 이끌고 싶은 이들을 위한 화제 전환 비법 완벽 가이드! 적절한 타이밍 연애만 타이밍이 중요한 게 아니다. 대화를 할 때도 타이밍이 생명이다. 특히 화제를 전환할 때 적절한 타이밍을 맞추지 못하면 상대방은 물론 스스로도 민망해진다. 타이밍이 너무 빠르면 상대방이 자신의 말을 자른다고 오해할 수 있고, 반대로 타이밍이 늦으면 무의미한 이야기만 오가며 분위기가 어색해질 수 있기 때문. 적당한 타이밍에 화제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먼저 잘 들어야 한다. 상대방의 말을 제대로 듣지 않으면 적당한 타이밍을..

긴장하지 않고 당당하게 말 잘하는 노하우!

긴장하지 않고 당당하게 말 잘하는 노하우! - 긴장감을 털어버리는 7가지 마음가짐 1) 체면을 버려라. 2) 자존심을 버려라. 3) 권위의식을 버려라. 4) 실수를 두려워하지 마라. 5) 완벽하게 잘해야 된다는 마음을 버려라. 6) 자연스러운 마음가짐을 가져라. 7) 상황에 적응하여라. - 긴장하지 않고 당당하게 말하는 14가지 시선처리 요령 1) 친밀감 있는 상대와 대화를 할 때는 마주 보면서 말하도록 하여라. 2) 초면인 경우에는 눈인사를 먼저 하고나서 말하도록 하여라. 3) 어려운 상대와 면담을 할 때는 정면을 피하고 측면에 앉아서 자연스럽게 보면서 말하도록 하여라. 4) 상사 앞에서는 약간의 거리를 두고 자연스럽게 보면서 말하도록 하여라. 5) 평상시에는 부드럽고 평온한 얼굴표정을 짓도록 하여라...

의사소통에서 흔히 범하는 오류 8가지

의사소통에서 흔히 범하는 오류 8가지 인간관계에 있어 문제점은 상대방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다. 보다 나은 인간관계를 원한다면 자신이 상대방에게 어떤 반응을 했는지를 돌아보며 비판의 눈을 자신에게 돌려야 한다. 인간관계 회복 전문가 데이비드 박사가 말한 '의사소통에서 흔히 범하는 오류' 목록은 자신의 잘못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우리가 의사소통에서 흔히 범하는 오류는 무엇일까? 1. 진실 따지기 자기가 옳고 상대방은 틀렸다고 생각한다. 자기의 태도나 행동이 상대방에게 부정적이고 비판적이거나 마뜩지 않아하는 것 같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다. 관계가 원만치 않다는 것도 인정하지 않는다. 2. 탓하기 상대방을 탓한다. “난 할 만큼 하고 있어”라고 말하는 것은 상대방과 잘 지내기에 아주 힘든 사람이라는 뜻..

대화를 잘하는 지혜

대화를 잘하는 지혜 ◇ 훌륭한 대화를 하기 위한 비결은 다른 사람을 우리 곁으로 가까이 다가오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상대방에게 자신의 가치를 느끼게 해주는 것이다. 가치 있는 존재라는 느낌과 중요한 존재라는 느낌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갖고 싶어 한다. '가치 있고 중요한'것이 바로 우리 인간의 본질이다. 자신을 열고, 힘을 합쳐서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일을 할 준비를 할 것이다. 자신의 가치를 인정해준 우리를 신뢰하는 것은 물론이다. 열린 마음으로 서로 신뢰하면서 힘을 합치는 것보다 더 즐거운 유대관계는 없다. 우리의 열정과 자신감 그리고 힘을 다른 사람에게 얘기하자. 그러면 곧 우리와 일하는 즐거움을 함께 나누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 둘러싸인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대화..

자존감을 세워주는 대화

자존감을 세워주는 대화 자존감이란 내가 나 자신을 얼마나 귀하게 여기느냐는 감정입니다. 그래서 자존감이 높다는 것은 자기를 존중하고 가치 있게 여기는 감정이 확고하다는 뜻이지요. 일반적으로 자존감이 높은 부부는 부부 사이의 대화가 잘되고 행복하지만 반대로 자존감이 낮은 부부는 다른 사람과의 대화를 피합니다. 대화 속에서 자신의 약점이 드러날까 두려워하기 때문이지요. 이처럼 낮은 자존감 때문에 고통받는 배우자와 원만한 대화를 갖기 위해서는 그를 격려해 주어야 합니다. 부부 사이에서 만큼은 자신의 약점이 드러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아도 된다고 편안하게 생각하도록 해 주는 겁니다. 누구나 낮은 자존감을 갖게 된 데에는 어린 시절에 부모로부터 사랑받지 못했던 상처의 아픔이 도사리고 있습니다. 따라서 부부는 상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