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의장풀 닭의장풀 : 닭의장풀과, 한해살이풀 닭장 주변에서 흔히 자라기 때문에 "닭의장풀"이라고 한다는데 그 유래가 다소 이채롭습니다. 그렇다면 차라리 "닭장풀"이라고 하면 됐을 텐데, 굳이 "닭의장풀"이라고 하니 언뜻 보기에는 닭의 내장이 저 꽃처럼 생겼나 하는 생각이 들게 만듭니다. 꽃의 모양이 닭.. 야생화 2010.09.05
놋젓가락나물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Aconitum ciliare 분류 미나리아재비과 분포지역 한국(경북·강원·경기·함북·함남)·중국·시베리아 서식장소 산의 숲속 크기 길이 약 2m 선덩굴바꽃이라고도 한다. 산의 숲속에서 자란다. 길이 약 2m이다. 덩굴로 다른 물체를 감아올.. 야생화 2010.09.05
앉은부채 18. 앉은부채 산지의 응달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짧고 끈 모양의 뿌리가 나와 사방으로 퍼지며, 줄기는 없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 나오고 길이 30∼40cm의 둥근 심장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불쾌한 냄새가 나고 잎자루가 길다. 꽃은 양성화이고 3∼5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불염포(.. 야생화 2010.09.05
천마산 & 야생화 천남성 포의 통부는 녹색이고 윗부분이 앞으로 구부러진다. 꽃대 상부가 곤봉 모양이나 회초리 모양으로 발달하는 것도 있다 포가 자주색 또는 보라색이고 세로로 흰 줄이 있는 것을 남산천남성(var. violaceum), 작은잎에 톱니가 없고 포가 녹색인 것을 둥근잎천남성(var. typicum)이라고 한다. 02. 큰괭이밥.... 야생화 2010.09.05
제주도 한라산의 특이식물 한라산의 신비 사진을 보고 혹 엉뚱한 생각을 하는 분들도 있겠지만 이건 버섯의 일종입니다. 지구상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제주도 한라산에서만 자라는 아주 특이한 버섯이. 한라산 자생 미기록종 동충하초 한라산 자생 한라새둥지란 : 이 란은 지난 1999년에 처음 발견 되었다 흰노루오줌 한라산 자.. 야생화 2010.09.05
보길도의 야생화 꽃댕강나무 2 달개비(닭의장풀) 2 며느리밑씻개 해란초 2 맥문동 2 선괭이밥 2 익모초 좀씀바귀? 2 왕고들빼기 2 메꽃 2 나팔꽃 2 계요등 2 3 누리장나무 2 사위질빵 2 수까치깨 2 3 등골나물 2 짚신나물 <출처;yahoo 귀수황하영 (hwanghayong)> 출처 :너와집 나그네 원문보기▶ 글쓴이 : 야생화 2010.09.05
오대산 야생화 오대산을 가게 되면 뭐 보물이 한두 개는 아닐 것이다. 전나무숲도 있고 방아다리약수터도 있고 또 어떤 이들은 농촌풍경을 보물로 꼽기도 할 것이다. 그 런데 나는 <한국자생식물원>을 내 보물이라 부른다. 늘 갈 때마다 아쉬움을 안겨주는 곳. 내 손길 끝에서 잡힐 듯 하면서 안 잡히는 여인네와 .. 야생화 2010.09.05
물향기수목원의 야생화 매발톱꽃이 가장 많이 피어있다. 고추나무꽃이다. 임업시험장을 수목원으로 꾸며서인지 많은 나무들을 접할 수가 있다. 그런데 이 수목원도 팻말에 대한 서비스가 부족한 것이 문제다. 친절한 팻말이 자연에 대한 관심 첫걸음인것을 관계자들은 빨리 인식했으면 좋겠다. 팻말도 사진 팻말이 필요한 .. 야생화 2010.09.05
연꽃 <출처;blog.chosun.com/sanhasa> 茶 / 성운(스님) 구름 한 점 없는 하늘이 푸르다 솔향기 바람에 실려 온산을 가득 메우고 은은한 차향에 내마음을 달랜다 아무도 들어 줄 수 없는 한적한 산사에 홀로 앉아 지지고 볶고 싸우는 인간세상 이 순간만큼은 훌훌 벗어 버렸네 솔향기, 차향, 새소리 벗을 삼아 이 .. 야생화 2010.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