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천주교 聖地 순례ㅡ완주 비봉면 천호(天呼) 순교자 묘 聖地
천호성지는 150여 년의 전통을 가진 교우촌 천호(天呼) 공소의 천호산(天壺山) 기슭에 있다. 천호공소는, 그 이름처럼 하느님의 부르심을 받은 백성들이 하느님을 부르며 사는 신앙 공동체로서 존재하고 있고, 천호산 역시 이름 그대로 순교자의 피를 담은 병(甁)의 구실을 하고 있다.
천호 사적지는 호남 지역이 자랑하는 대표적 사적지로 박해의 모진 회오리가 불어 닥치던 1866년 병인년(고종 3년, 병인박해) 12월 13일 전주 숲정이에서 순교한 여섯 성인 중 성 이명서(베드로), 성 손선지(베드로), 성 정문호(바르톨로메오), 성 한재권(요셉)와 같은 해 8월 28일 충청도 공주에서 순교한 김영오(아우구스티노), 1868년 여산에서 순교한 열 분의 무명 순교자들이 묻혀 있다.
그 밖에도 1868년 여산에서 순교한 많은 순교자들이 이곳 천호산에 종적을 감춘 채 묻혀 있다. 천호 성지 지역에는 박해시대에 다리실 공소를 포함한 총 7개의 공소가 있었다. 이 공소가 구성된 각 지역은 '택리지'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산세가 험해 사람이 살 수가 없는 곳이라 말할 정도로 첩첩산중에 묻혀있었다.
이런곳으로 숨어 들어와 밭을 일구고 기도생활을 하던 교우들의 피와 땀이 지금의 한국 천주교를 일구었다. 천호성지는 성인들의 묘와 순교자들의 묘 뿐만이 아닌 한국 천주교의 큰 핵으로 자리잡고 있는 성지이다.
천호성지와 그 주변의 산은 본래 고흥 유씨 문중의 사유지로서 조선조 때 나라에서 고흥 유씨 문중에 하사한 사패지지(賜牌之地)였다. 이러한 남의 땅에서 사는 신도들은 산 자들의 집이건 죽은 자들의 무덤이건 언젠가는 쫓겨나야 할 처지였다.
그러던 중 1909년 뜻하지 않게 이 땅을 매입할 수 있는 기회가 와서 되재 본당 목세영 신부를 중심으로 12명의 신도들이 어렵사리 돈을 마련하여 150 정보의 임야를 매입했다. 이렇게 해서 공소 신도들은 생활 터전을 마련하게 되었고, 이미 모셔진 순교자들의 묘소들을 보존할 수 있게 되었다.
그 후 1941년경 150 정보 중에서 순교자들의 묘와 종적은 알 수 없지만, 순교자들이 묻혀 있을 것으로 예상 되는 땅 75 정보를 교회에 봉헌했다. 이 땅을 봉헌한 사람들은 목세영(베르몽)신부, 김여선(金汝先), 이만보(李萬甫), 장정운(張正云), 김현구(金顯九), 박준호(朴準鎬), 민감룡(閔甘龍), 송예용(宋禮用) 등 8명이며, 이로써 오늘의 성지를 보존하게 된 것이다.
전주교구 호남교회사연구소는 1983년 5월, 천호산에 묻힌 순교자들의 유해 발굴 작업을 하여 현재의 위치에서 그동안 실전(失傳)되어 왔던 성 정문호와 성 한재권의 유해, 그리고 1868년 여산에서 치명한 후 합동으로 묻혀 있던 여덟 분의 유해와 천호산 기슭에서 두 분의 유해를 발굴하였다.
그러나 천호산에는 지금도 어디에 묻혔는지 알 수 없어 발굴하지 못하는 많은 순교자들이 계셔 우리의 마음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
▲천호성지 위치도
천호 성지에는 1866년 병인년 12월 13일 전주 숲정이에서 순교한 여섯 성인 중 이명서(일명 재덕, 1821~1866, 베드로), 손선지(1820~1866, 베드로), 정문호(일명 계식, 1801~1866, 바르톨로메오), 한재권(일명 원서, 1836~1866, 요셉/베드로)과 1866년 8월 28일 충청도 공주에서 순교한 김영오(1806~1866, 아우구스티노), 그리고 1868년 여산에서
순교한 열 명의 순교자가 묻혀 있으며, 이들과 함께 수많은 무명순교자들이 천호산에 종적을 알리지 않은 채 묻혀 있다.
천호 성지는 성인들의 묘와 순교자들의 묘뿐만이 아닌 한국 천주교의 큰 핵으로 자리 잡고 있는 성지다.
천호 성지에 손선지, 정문호, 한재권 성인이 묻힌 것은 1867년이었다. 세 성인이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성동
신리골에서 함께 거주하다가 체포되었고, 같은 날 한 장소에서 처형되었다.
생전에 친분도 두터웠는데, 그들 가족이 천호 마을로 피신해 살고 있었던 까닭이다. 그리고 이명서는 세 성인들과 한 날 같은 장소에서 순교하였지만 다른 곳(진안 어은동)에 묻혀 있다가 1988년 이곳에 안장되었다.
관아에서는 여산 순교자들을 처형한 후 미나리꽝에다가 집어 던졌다. 그래서 신자들은 순교자들의 시체를 야음을 틈타 목숨을 걸고 건져 내었다. 순교자들의 시체를 거둔 신도들은 이들을 묻을 장소로 천호산을 택했다.
어떤 순교자들은 야음에 천호산으로 짊어지고 와서 묻었지만 어떤 순교자들은 다급한 나머지 적당한 곳에 가매장했다가 훗날 전주의 순교자들 곁에 묻었다. 천호 성지 성인들 묘소 아래 무명 순교자들의 묘소를 볼 수 있다.
그 순교자들 모두가 이곳 여산에서 순교한 분들이다.
▲천호성지 마을
천호 성지는 150여 년의 전통을 가진 교우촌 천호 공소의 천호산 기슭에 있다. 천호 마을이 형성된 것은 1839년 기해박해를 전후해서였는데 주로 충청도 신도들이 목숨을 보존하고 신앙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이 산골짜기로 숨어 들어와 신앙 공동체를 이룸으로써 비롯되었다.
신도들이 처음 마을을 이룬 곳은 성인들의 묘지 맞은 편 골짜기인 무능골이었다. 그리고 신앙의 자유가 주어진 후 골짜기 밑으로 마을을 이루었다가 다시 서서히 아래쪽으로 내려와 현재의 마을터를 이루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천호성지 마을
◆ 천호 공소(다리실·용추네)
천호 공소는 다리실 또는 용추네라는 다른 지명을 갖고 있는데, 박해시대에는 다리실 또는 용추네라고 불렀다. 다리실은 월곡(月谷)이라고도 썼으며, 용추네는 본래 용이 등천한 내(川)가 있다 해서 용천내라고 했는데 용추네는 용천내가 변한 이름이다. 천호라는 행정명은 후대에 교우 마을이 형성되면서 용천내가 천호로 바뀐 듯하다.
천호 마을이 형성된 것은 1839년 기해박해를 전후해서였는데 주로 충청도 신자들이 목숨을 보존하고 신앙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이 산골짜기로 숨어 들어와 신앙 공동체를 이룸으로써 비롯되었다.
신자들이 처음 마을을 이룬 곳은 성인들의 묘지 맞은편 골짜기인 무능골이었다. 그리고 신앙의 자유가 주어진 후 골짜기 밑으로 마을을 이루었다가 다시 서서히 아래쪽으로 내려와 현재의 마을터를 이루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천호 성지에 묻힌 순교 성인 중, 손선지 베드로와 한재권 요셉은 충청도에서 전라도로 피신하여 유랑 생활을 하던 중 다리실에 잠시 살았던 적이 있으며,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성동 신리골로 옮겨 그곳에 정착하여 살다가 체포되었다.
그리고 1866년 12월 13일 손선지 성인이 처형된 후 그의 아들 손순화(요한)는 70여세 된 할머니 임 세실리아와 어머니 루시아와 동생들을 데리고 천호 마을로 다시 피신해 왔다. 이 때 성 한재권과 성 정문호의 가족들은 무능골과 인접한 시목동으로 피신해 왔다.
◆ 다리실 신앙공동체가 겪은 박해
1868년(고종 5년, 무진년)에는 다리실에도 박해의 손길이 뻗혔다. 그래서 6월 9일 문회장, 이요한, 김치선, 김영문(요셉), 장윤경(야고버) 회장 등 천호 신도들이 여산으로 끌려갔는데, 그 중 장윤경 회장은 1868년 10월 1일(양력 11월 14일) 참수형으로 순교하였다. 이 때 손선지 성인의 아들 마태오가 사망했는데, 그 사연은 이러하다.
다리실 신도들이 체포되던 날이었다. 손선지 성인의 아들 마태오는 병으로 앓아 누운지 스무날이나 되어 피신하지 못하고 집에 있다가 포교 일행에게 발각되었다. 그들은 마태오를 욱지르며 신도들이 도망간 곳을 대라고 하다가는 체포한 신도들의 압수한 재산을 가지고 여산 관아로 갔다.
그날 밤 마태오의 큰형 요한은 환자가 걱정이 되어 집에 왔다가 환자로부터 포졸들이 남기고 간 말을 듣고는 환자인 마태오를 데리고 산 속으로 숨어들어 갔다. 그런데 마침 장마철이어서 찬비를 맞으며 3, 4일을 지내고 나니 병세가 극도로 악화되었다. 그래서 할 수 없이 집으로 돌아가려 하였으나 포졸들이 찾아 올 것이 두려워 자기 집으로는 가지 못하고 남의 집에 들어갔다.
그러나 마태오는 불안해서 산 속으로 들어가고 싶은 마음 뿐 다른 생각이 없었다. 요한은 환자가 무엇이든 먹어야 살 것 같아 음식을 주었지만 먹지를 못하더니 마침내 풍증(風症)으로 1868년 6월 12일 1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입전으로는 이런 말이 전해 져 오고 있다. 환자가 몹시 앓고 있는데 포졸들이 다시 마을에 와서 집을 뒤지고 다니다가 환자와 요한이 숨어 있는 집 울안에까지 왔다.
환자는 고열의 고통을 못 이겨 신음하고 있던 터였다. 형 요한은 발각되는 날에는 숨은 곳이 발각되어 떼죽음을 당할 것이 두려웠다. 그래서 환자의 신음소리가 새 나가지 않도록 이불을 덮어 씌워 누르고 있다가 포졸들이 떠난 후에 이불을 걷어 보니 질식해 숨져 있더라는 것이다.
박해시대에 천호산 기슭에는 다리실(용추네=천호), 산수골, 으럼골, 낙수골, 불당골, 성채골, 시목동 등 7개의 공소가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다리실, 성채골, 그리고 후대에 터를 옮겨 새로이 시작한 산수골 공소만이 남아 있는데 이들 공소 중 다리실 공소는 예나 지금이나 가장 큰 공소이다.
1877년 한국천주교회에는 블랑 신부와 드게트 신부밖에 없었는데, 블랑 신부는 1877년 으럼골을 사목활동의 거점지로 하여 정착한 후, 리우빌 신부와 라푸르카드 신부 등 3명의 선교사가 10여년 동안 이곳으로 부임했다. 그러나 이들 선교사들이 주로 머문 곳은 천호 공소였다. 오늘의 천호 공소는 150여년의 전통을 지닌 교우촌 답게 주민 전체가 신도들로 구성되어 있다.
▲성지 입구 추모석
▲성지 안내도
▲천호성지 봉안경당
▲천호성지 봉안경당
▲천호성지 봉안경당
▲천호성지 봉안경당
▲천호성지 봉안경당
▲천호성지 봉안경당 성 가족상
▲천호성지 봉안경당
▲천호성지 봉안경당 피에타 상
▲천호성지 봉안경당 성 요셉상
▲천호성지 봉안경당
▲천호성지 봉안경당
▲천호성지 봉안경당 제대
▲천호성지 봉안경당
▲천호성지 봉안경당
▲천호 성지 봉안 경당(부활 성당 아래층) 내부의 성인 유해실
▲성인 유해실
▲성 손선지(베드로) 실
▲성 손선지(베드로) 실
▲성 이명서(베드로) 실
▲성 이명서(베드로) 실
▲성 한재권(요셉) 실
▲성 한재권(요셉) 실
▲성 정문호(바르돌로메오) 실
▲성 정문호(바르돌로메오) 실
▲순교자 묘역
▲야외 제대
▲순교자 묘역
▲순교자 묘역
▲순교자 묘역
▲성 이명서 베드로 (1821~1866)
▲성 손선지 베드로(1821~1866)
▲순교자 묘 입구
▲게세마니 동산
▲십자가의 길
▲십자가의 길 1처
▲십자가의 길 2처
▲천호 공소(다리실·용추네)
천호공소는 다리실 또는 용추네라는 다른 지명을 갖고 있는데, 박해시대에는 다리실 또는 용추네라고 불렀다. 다리실은 월곡(月谷)이라고도 썼으며, 용추네는 본래 용이 등천한 내(川)가 있다 해서 용천내라고 했는데 용추네는 용천내가 변한 이름이다.
천호(天呼)라는 행정명(行政名)은 후대에 교우마을이 형성되면서 용천내가 천호로 바뀐 듯하다. 천호마을이 형성된 것은 1839년 기해박해를 전후해서 였는데 주로 충청도 신도들이 목숨을 보존하고 신앙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이 산골짜기로 숨어 들어와 신앙 공동체를 이룸으로써 비롯되었다.
신도들이 처음 마을을 이룬 곳은 성인들의 묘지 맞은편 골짜기인 무능골이었다. 그리고 신앙의 자유가 주어진 후 골짜기 밑으로 마을을 이루었다가 다시 서서히 아래쪽으로 내려와 현재의 마을터를 이루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1868년(고종 5년, 무진년)에는 다리실에도 박해의 손길이 뻗혔다.
그래서 6월 9일 문회장, 이요한, 김치선, 김영문(요셉), 장윤경(야고버) 회장 등 천호 신도들이 여산으로 끌려 갔는데, 그 중 장윤경 회장은 1868년 10월 1일(양력 11월 14일) 참수형으로 순교하였다. 이 때 손선지 성인의 아들 마태오가 사망했는데, 그 사연은 이러하다.
다리실 신도들이 체포되던 날이었다. 손선지 성인의 아들 마태오는 병으로 앓아 누운지 스무날이나 되어 피신하지 못하고 집에 있다가 포교 일행에게 발각되었다. 그들은 마태오를 욱지르며 신도 들이 도망간 곳을 대라고 하다가는 체포한 신도들의 압수한 재산을 가지고 여산 관아로 갔다.
그날 밤 마태오의 큰형 요한은 환자가 걱정이 되어 집에 왔다가 환자로부터 포졸들이 남기고 간 말을 듣고는 환자인 마태오를 데리고 산 속으로 숨어들어 갔다. 그런데 마침 장마철이어서 찬비를 맞으며 3, 4일을 지내고 나니 병세가 극도로 악화되었다. 그래서 할 수 없이 집으로 돌아가려 하였으나 포졸들이 찾아 올 것이 두려워 자기 집으로는 가지 못하고 남의 집에 들어 갔다.
그러나 마태오는 불안해서 산 속으로 들어가고 싶은 마음 뿐 다른 생각이 없었다. 요한은 환자가 무엇이든 먹어야 살 것 같아 음식을 주었지만 먹지를 못하더니 마침내 풍증(風症)으로 1868년 6월 12일 1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입전으로는 이런 말이 전해 져 오고 있다. 환자가 몹시 앓고 있는데 포졸들이 다시 마을에 와서 집을 뒤지고 다니다가 환자와 요한이 숨어 있는 집 울안에까지 왔다. 환자는 고열의 고통을 못이겨 신음하고 있던 터였다. 형 요한은 발각되는 날에는 숨을 곳이 들통나 떼죽음을 당할 것이 두려웠다.
그래서 환자의 신음소리가 새 나가지 않도록 이불을 덮어 씌워 누르고 있다가 포졸들이 떠난 후에 이불을 걷어 보니 질식해 숨져 있더라는 것이다. 박해시대에 천호산 기슭에는 다리실(용추네=천호), 산수골, 으럼골, 낙수골, 불당골, 성채골, 시목동 등 7 개의 공소가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다리실, 성채골, 그리고 후대에 터를 옮겨 새로이 시작한 산수골 공소 만이 남아 있는데 이들 공소 중 다리실 공소는 예나 지금이나 가장 큰 공소다.
1877년 한국천주교회에는 블랑 신부와 드게트 신부밖에 없었는데, 블랑 신부는 1877년 으럼골을 사목활동의 거점지로 하여 정착한 후, 리우빌 신부와 라푸르카드 신부 등 3명의 선교사가 10여년 동안 이곳으로 부임했다. 그러나 이들 선교 사들이 주로 머문 곳은 천호공소였다. 오늘의 천호공소는 150여년의 전통을 지닌 교우촌 답게 주민 전체가 신도들로 구성되어 있다
▲피정의 집
전주교구는 1984년부터 천호성지를 개발하여 1985년 11월 30일 자치교구 설정 50주년 기념 선포일에 맞추어 성지를 축성하였고, 50주년 기념의 해인 1987년에는 전주 교구민들이 선조들의 순교 정신을 이어받기 위한 신앙의 수련장으로 피정의 집을 세웠다. 이곳은 천호산 기슭에 형성되었던 박해시대 교우촌의 옛 터와 주변 환경이 손상되지 않고 온전하게 보존 되어 있어서 그 시대 교우촌의 입지적 특성을 보여 주는 교육장으로서도 가치가 있다.
▲천호성지 부활성당
▲천호성지 부활성당
▲천호성지 부활성당
▲천호성지 부활성당 내부
▲천호성지 부활성당 내부
▲천호성지 부활성당 내부
▲천호성지 부활성당 내부 성수대
◆십자가의 길 14 처(The Via Dolorosa)
제1지점 : 빌라도 법정에서 예수가 재판을 받은 곳.
제2지점 : 예수가 가시관을 쓰고 홍포를 입고 희롱당한 곳.
제3지점 : 예수가 십자가를 지고 가다 처음 쓰러진 곳.
제4지점 : 예수가 슬퍼하는 마리아를 만난 곳.
제5지점 : 시몬이 예수 대신 십자가를 진 곳.
제6지점 : 성 베로니카 여인이 예수의 얼굴을 닦아준 곳.
제7지점 : 예수가 두번째로 쓰러진 곳.
제8지점 : 예수가 여인들을 위로한 곳.
제9지점 : 예수가 세번째로 쓰러진 곳.
제10지점 : 예수가 옷 벗김을 당한 곳.
제11지점 : 예수가 십자가에 못박힌 곳.
제12지점 : 예수가 십자가 위에서 운명한 곳.
제13지점 : 예수의 시신을 놓았던 곳.
제14지점 : 예수가 묻힌 곳.
'가토릭 성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문경시***한국 천주교 聖地 순례ㅡ문경읍 중평리ㅡ문경 진안리성지 (0) | 2022.08.13 |
---|---|
경북 문경시***한국 천주교 순교자 묘 聖地 순례ㅡ문경읍 증평리ㅡ여우목 성지 (0) | 2022.08.13 |
전북 익산시***한국 천주교 순교 聖地 순례ㅡ익산 여산면 동헌길ㅡ여산 순교 聖地(동헌 白紙死 터, 숲정이, 배다리, 여산성당) (0) | 2022.08.06 |
전북 전주시***한국 천주교 순교聖地 순례ㅡ전주 덕진구 진북 2동ㅡ전주 숲정이 순교터 성지(카톨릭신학원 내) (0) | 2022.07.23 |
전북 익산시***한국 천주교 聖地 순례ㅡ익산 망성면 나바위 성지 (0) | 2022.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