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천주교 聖地ㅡ백곡면 양백리. 배티성지(梨峙 聖地)
▲배티성지입구
배티(梨峙)는 신유박해(1801년)로부터 병인박해(1866년)까지 이어지는 천주교 박해시대 때 천주교인들이 박해를 피해 숨어들었던 골짜기로, 1830년을 전후로 교우촌(비밀신앙공동체)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1866년 즈음에는 교우촌이 15곳에 이르렀던 곳이다.
또 조선교구 최초의 신학교가 있던 마을이고, 한국 천주교회의 첫 번째 신학생이자 두 번째 사제였던 최양업(토마스 1821~1861) 신부의 사목 중심지로 교리서인 <천주가사>가 탄생되었던 곳이었다.
또 배티와 그 주변으로는 27여 기에 이르는 순교자들의 무덤이 산재해 있다.
1976년 9월 성지로 개발된 배티성지에는 1996년 6월 완공된 성당(최양업 신부 탄생 175주년 기념성당)과 성당에서 야외제대까지 연결된 청동으로 만든 십자가의 길, 야외제대 및 성모상, 최초의 조선교구 신학교와 최양업 신부의 성당 및 사제관으로 사용되던 초가집을 재현한 건물, 양업영성관 및 수련관, 무명순교자 6인 묘역 및 14인 묘역, 최양업 신부 동상 등이 조성되어 있다.
▲배티성지 입구
충북 진천군 백곡면에 위치한 배티성지는 예전에 동네 어귀에 골배나무가 많은 배나무 고개라서 이치(梨峙) 라 는 말이 생겨 다시 순 우리말로 배티가 되었다. 언제부터 이곳으로 교난을 피해 교우들이 몰려들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많은 교우들이 은거하였음에는 틀림없고 배티만큼 치명자의 묘소가 집중적으로 몰려있는 곳도 드물다.
배티성지는 최양업 신부님의 사목 활동 중심지였다. 배티 일대 모두가 신부님의 손길이 가득한 지역이었다. 박해시대 교통의 중심지였던 배티는 배티는 차령산맥 줄기를 따라 북쪽으로는 제천 (堤川), 배론, 원주(原州)로 이어지고 서쪽으로는 안성(安成),용인(龍仁),서울로, 남쪽으로는 공주 (公州), 전라도로, 동쪽으로는 문경 새재를 지나, 경상도로 이어지는 네거리였다.
교회사의 기록에 진천이라는 이름이 처음 나타난 것은 1813년 경이다. 이때 충남의 홍주 덕머리 출신인 원(元) 베드로 형제가 박해를 피해 진천 '질마로'로 피신했다는 기록이 있다. 따라서 배티에 교우촌이 형성된 것은 그 후 1830년 무렵으로 추정될 수 있다. 배티 일대의 교우촌은 기해박해(1839년)와 병오박해(1846년)가 거듭되면서 지리적 여건으로 인해 신자들의 은신처가 되어 골짜기마다 교우촌이 늘어갔다.
1866년 병인박해 전 배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교우촌은 삼박골, 정삼이골, 절골, 용진골, 발래기, 통점, 동골, 새울, 은골, 불무골, 모니, 소골, 지구머리, 지장골, 굴티 등 10여 군데가 넘는다. 이곳에 모여든 신자들은 주로 충청도 지역교회의 중심지가 된 내포지방 출신 신자들이었고 일부는 경기도와 충주 출신이었다.
1866년 병인박해와 1868년 무진박해 때에 배티 일대의 교우촌은 순교자 55여명(교회역사에 기록된 진천 출신 순교자 29명과 배티 일대에 산재해 있는 무명 순교자 묘 26기)을 탄생시키고 일시적으로 와해되기도 했다. 그러나, 박해가 그친 1870년 무렵부터 다시 이곳에 모여 복음의 새 터전을 닦아 나갔다. 이 일대에서 배티 인근만큼 깊은 산골짜기도 없었다. 그 중에서도 . 왼쪽 골짜기에는 유사시에 배티로 도망하던 신자들의 비밀 통로가 있다.
이처럼 박해 시대에 형성된 교우촌으로, 신자들의 삶과 애환이 서려 있다는 것이 배티 성지가 지니고 있는 첫 번째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신자들은 박해의 칼날을 피해 어렵게 터전을 잡은 이곳에서도 마음놓고 살 수가 없었다. 신앙 생활은 언제나 감추어진 상태였고, 교회 서적이나 성물도 충분하지 못했으며, 더욱이 죽는 날까지 성사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다가 신자들은 1850년 초에 최양업 신부를 모시는 기쁨을 얻게 되었다. 이 때 최 신부가 거처로 정한 곳이 바로 배티 이웃에 있는 동골 교우촌이었는데, 당시 이곳에 있는 그의 친척집에는 셋째 아우인 최우정(바실리오)이 살고 있었다. 또 산너머에 있는 서덕골 교우촌의 백부 댁에는 둘째 아우가 있었다.
◆충청북도 기념물 150호로 지정된 배티성지.
충청북도는 4일 “청주교구의 배티성지는 제천 배론성지, 괴산 연풍성지와 함께 충북의 3대 천주교 성지로서 조선 후기 천주교 유입 역사를 한눈에 보여주는 중요한 사적지”라며 “이번에 기념물로 지정된 곳은 배티성지의 ‘조선교구신학교지’와 ‘무명 순교자 14인 묘소’, ‘삼박골 모녀 순교자 묘역’ 등 3개소”라고 밝혔다.
충청북도 기념물 제150호로 지정된 배티성지는 한국천주교회사에서 교우들의 신앙과 삶, 박해 등의 역사를 알 수 있는 성지로, 박해를 피해 숨어든 천주교 신자들에 의해 1830년대 교우촌이 형성된 곳이다.
양업교회사연구소 차기진 소장은 “이번 문화재 지정은 ▲ 배티신학교가 최초의 조선교구 신학교였다는 점 ▲ 배티신학교가 1883년 함경도 덕원에서 문을 연 원산학사보다 33년이나 앞선 근대식 서양교육 기관이었다는 점 ▲ 천주교 박해기에 목숨을 바쳐 신앙을 증거한 무명 순교자들의 묘는 교회사뿐만 아니라 지역사적으로도 중요한 가치가 있다는 점 등이 공식적으로 확인된 것”이라며 “최양업 신부님의 시복 안건에 대한 예비심사 조서의 법적 유효성 교령이 발표되고 자발적인 기도와 현양운동이 지속되고 있는 이때 그의 사목중심지였던 배티성지가 문화재로 지정됐다는 것은 뜻 깊다”고 말했다.
▲성지 오르는 길
■ 최양업 신부와 배티 교우촌
◆절골에서 순교자 행적 정리
1850년에서 1851년까지 8개월 동안 127개의 교우촌을 순방(두 번째 순방)하고 5,936명의 신자들을 만나 본 최양업 신부는 과다한 성무 집행으로 인해 휴가를 받아야만 하였는데, 여기에서 그와 배티 일대의 교우촌이 깊은 관련을 맺게 되었다. 휴가를 얻은 그는 충북 진천의 절골(백곡면 용덕리) 교우촌에 우선 거처를 정하고 순교자들의 행적에 관한 자료를 모으기 시작하였다.
◆동골 친척 집에서 셋째 동생 양육
당시 그가 절골을 찾게 된 이유는 이곳 주변에 이미 여러 개의 교우촌이 형성되어 있었고, 또 그 이웃인 동골에 셋째 동생 가족이 살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의 집안은 1839년의 박해로 부모가 순교한 뒤 모두 흩어져 살게 되었는데, 첫째 아우인 최희정(崔羲鼎, 야고보, 당시 12세)은 어린 동생 둘을 데리고 서덕골과 한덕골(용인, 중백부 최영겸 거주)로 다니며 생활하였고, 셋째인 최우정(崔禹鼎, 바시리오)은 동골의 친척 집에서 양육되었다. 이로 인해 훗날 셋째가 성장하여 동골에 자리를 잡게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8개월간 7,000리 전교 여행
최양업 신부가 절골에 도착한 시기는 1851년 6월 무렵이었다. 이후 그는 이곳에서 4개월 정도를 지낸것으로 기록에 나타나는데, 그때 이웃의 여러 교우촌들을 둘러보았을 것임이 분명하다. 특히 1854년 말까지 이곳 절골과 이웃의 동골은 최양업 신부의 사목활동 중심지였다.
또 《최 바시리오의 이력서》에 따르면 비록 연대적으로나 내용적으로 약간 문제는 있으나, 최양업 신부는 귀국한 다음 동골에 우선 거처를 잡고 전국을 순방하는 사이사이에 여름 휴가 때면 이곳에 머물었다고 한다. 당시 최 신부는 매년 10월경부터 이듬해 6월 무렵까지 약 8개월간 사목 순방을 하면서 5,000리 내지 7,000리를 돌아 다녔고, 여름에는 휴식을 취하였다.
◆사제들이 순교자적 표양을 보여 준 교우촌
한편 1866년에 서울 새남터에서 순교한 프티니콜라(Petitnicolas, 朴德老, 1828~1866, 미카엘) 신부가 1858년부터 1860년까지 주로 이곳 배티에 거처를 정하고 충청, 경상, 경기, 강원 일부의 사목을 맡았다는 기록이 있다.
이 사실은 1890년에 이곳을 방문한 파스키에(Pasquier, 朱若瑟, 1866~?, 베드로) 신부의 보고서에 의해서도 확인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배티 일대, 더 나아가 소학동 일대의 신자들은 최양업 신부는 물론 여러 선교사들의 순교자적 신앙 태도에 많은 영향을 받았을 것이며, 따라서 훗날 병인박해(1866년)와 무진박해(1868년) 때 이 지역에서 많은 순교자들이 나오게 된 것도 결코 우연이 아니라 하겠다.
■ 순교자
◆ 복자 송 베네딕도 (1798∼1867년)
송 베네딕도는 충청도 충주 서촌의 양반 집안에서 태어나 일찍이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였다. 그리고 자식들에게도 열심히 교리를 가르쳐 가정 공동체를 이루었으며, 온 가족이 함께 열심히 교리를 실천하였다. 이후 베네딕도는 좀 더 자유롭게 신앙생활을 하기 위해 아들 가족과 함께 진천 배티 교우촌으로 이주하였다. 이곳에서 그는 교우촌 신자들과 어울려 열심히 신앙생활을 하였다.
1866년 병인박해 때 배티로 몰려온 포졸들은 그곳에 거주하던 송 베네딕도를 비롯하여 아들 가족 모두를 체포하여 진천 관아로 압송하였다. 그런 다음 경기도의 죽산 관아로 끌고 가서 가두었다가 다시 한양으로 이송하였는데, 이때 체포된 이들은 가장 나이가 많은 베네딕도와 그의 아들 베드로, 베드로의 처녀 딸, 베드로의 며느리 이 안나, 안나의 아이 등 모두 5명이었다. 이들 가족은 한양으로 압송된 후 모두 신앙을 굳게 지킨 다음 순교하였으니, 그때가 1867년으로, 당시 베네딕도의 나이는 70세였다.
◆ 복자 송 베드로 (1821∼1867년)
송 베드로는 충청도 충주 서촌의 양반 집안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천주교 교리를 배우면서 신앙생활을 하였다. 그리고 장성한 뒤에는 부친 베네딕도를 모시면서 성 가정을 꾸려나가는 데 열중하였다. 이후 베드로는 좀더 자유롭게 신앙생활을 하기 위해 부친 베네딕도와 함께 가족들을 데리고 진천 배티 교우촌으로 이주하였다. 이곳에서 그는 교우촌 신자들과 어울려 열심히 신앙생활을 하였다.
1866년 병인박해 때 배티로 몰려온 포졸들은 그곳에 거주하던 송 베드로의 가족 모두를 체포하여 진천 관아로 압송하였다. 이들 가족은 한양으로 압송된 후 모두 신앙을 굳게 지킨 다음 순교하였으니, 그때가 1867년으로, 당시 베드로의 나이는 47세였다.
◆ 복자 이 안나 (1841∼1867년)
이 안나는 인천 재궁골의 신자 가정에서 태어나 일찍부터 신앙생활을 하였다. 그러다가 나이가 들자 충청도 충주 서촌에 살던 교우 송 베드로의 아들과 혼인을 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그녀는 남편과 함께 시조부 송 베네딕도와 시부모를 모시면서 교리를 실천하는 데 열중하였다. 이후 송씨 집안이 좀더 자유롭게 신앙생활을 하기 위해 진천 배티 교우촌으로 이주하게 되자, 그녀도 남편을 따라 그곳으로 이주하였다. 이곳에서 그녀는 교우촌 신자들과 어울려 열심히 신앙 생활을 하였다.
1866년 병인박해 때 배티로 몰려온 포졸들은 그곳에 거주하던 이 안나와 그녀의 시댁 식구 모두를 체포하여 진천 관아로 압송하였다. 이들 가족은 한양으로 압송된 후 모두 신앙을 굳게 지킨 다음 순교하였으니, 그때가 1867년으로, 당시 안나의 나이는 27세였다.
◆ 송 베드로의 처녀 딸 (?∼1867년)
본명은 미상이나 송 베드로의 미혼 딸로서 1866년 병인박해 때 배티로 몰려온 포졸들이 그곳에 거주하던 송 베네딕도를 비롯하여 가족 모두를 체포할 때 함께 잡히여 진천 관아로 압송되었다. 동리 마을 사람들이 전부 나와서 “포도청에 가서 천주교를 믿지 않는다고 한마디만 하고 꼭 살아서 돌아오라”고 당부 하였으나, 끝내 그들은 돌아오지 못하고 서울 형장에 나가 순교의 영광을 받았는데, 그의 나이 18세였다. 그녀는 동정 순교자이다.
▲최양업 신부 선종 150주년 기념성당
▲성지 오르는 길
▲순교현양비
▲수녀원
▲최양업 신부 상
▲최양업 신부 기념성당
배티성지의 성당은 최양업 신부님을 기념하는 성당으로 그 규모는 크지 않지만 1층과 2층으로 나뉘어져 있어 웬만큼의 순례자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이다
▲최양업 신부 기념성당
▲성모상
▲기념성당 아래 있는 삼박골 쉼터
▲사제관
▲성당 내부
▲감실
▲내부 스테인드글라스
▲내부 스테인드글라스
▲내부 스테인드글라스
▲성모상
▲십자가의 길 1처
▲십자가의 길 2처
▲십자가의 길3처
▲십자가의 길 4처
▲십자가의 길 5처
▲십자가의 길 6처
▲십자가의 길 7처
▲십자가의 길 8처
▲십자가의 길 9처
▲십자가의 길 10처
▲십자가의 길 11처
▲십자가의 길 12처
▲십자가의 길 13처
▲십자가의 길 14처
◆십자가의 길 14처(The Via Dolorosa)
제1지점 : 빌라도 법정에서 예수가 재판을 받은 곳.
제2지점 : 예수가 가시관을 쓰고 홍포를 입고 희롱당한 곳.
제3지점 : 예수가 십자가를 지고 가다 처음 쓰러진 곳.
제4지점 : 예수가 슬퍼하는 마리아를 만난 곳.
제5지점 : 시몬이 예수 대신 십자가를 진 곳.
제6지점 : 성 베로니카 여인이 예수의 얼굴을 닦아준 곳.
제7지점 : 예수가 두번째로 쓰러진 곳.
제8지점 : 예수가 여인들을 위로한 곳.
제9지점 : 예수가 세번째로 쓰러진 곳.
제10지점 : 예수가 옷 벗김을 당한 곳.
제11지점 : 예수가 십자가에 못박힌 곳.
제12지점 : 예수가 십자가 위에서 운명한 곳.
제13지점 : 예수의 시신을 놓았던 곳.
제14지점 : 예수가 묻힌 곳.
▲126위 하느님의 종 계단
▲십자가 고난
▲126 위 계단
▲최양업 신부 성당 터
▲성당 터와 잔해
▲103 위 성인 계단
▲야외제대, 철제 십자가의길
▲철제 십자가의길
▲철제 십자가의길 1처
▲철제 십자가의길 2처
▲철제 십자가의길 3처
▲철제 십자가의길 4처
▲철제 십자가의길 5처
▲철제 십자가의길 6처
▲철제 십자가의길 7처
▲철제 십자가의길 8처
▲철제 십자가의길 9처
▲철제 십자가의길 10처
▲철제 십자가의길 11처
▲철제 십자가의길 12처
▲철제 십자가의길 13처
▲철제 십자가의길 14처
▲최양업 신부 성당 겸 사제관 복원, 103위 계단을 올라 정원 옆에 위치해있다.
성지를 나와 고개쪽으로 조금만 올라가면 최양업신부님 성당터라는 곳이 나오는 데 신부님께서는 7,8월 장마때는 이곳에서 머무르시며 '천주가사'와 '성교공과'를 집필하기도 하시며 지내셨다고 한다.
▲최양업 신부 성당 겸 사제관 복원
▲미사를 집전하는 최양업 신부상
▲최양업 신부
최양업(1821-1861) 신부는 한국인으로서 두번째 사제이다. 그는 1836년 모방 나 신부에 의해 한국 최초의 신학생으로 선발되어 마카오 유학을 떠나 서구사상을 처음으로 배운 한국 최초의 유학생이다.
그는 1849년 상해에서 강남교구 마레스카 주교님께 신품성사를 받고 사제가 되었고 그후 고국을 떠난 지 13년만인 1849년 12월 천신만고 끝에 무사히 입국한 최 신부는 용인 학덕골과 진천 동골에 살던 동생들을 찾아본 후 즉시 신자들을 찾아 나섰다.
최양업 신부는 위대한 목자요 백색 순교자이다. 1861년 선종하기까지 12년동안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강원도를 순회하며 목자없는 양처럼 지치고 방황하는 신자들을 찾아 "길에서 살다가 길에서 과로로 죽은" 착한 목자이다.
▲최양업 신부 성당 겸 사제관 정원에 있는 유 데레사 묘
▲배티성지에서 안성가는 도로 1km쯤 입구에서 1km를 등산 산 중턱에 자리잡고있다.
병인박해 당시에 배티에서 교우촌을 이루며 살아가던 교우들에게도 박해의 시련은 피할 수가 없었다. 정확히 누가 얼마나 순교를 했는지는 알 수가 없지만 배티 성지 부근에 있는 무명 순교자들의 묘를 보면 당시 순교자가 얼마나 많았는지 알 수가 있다.
특히 안성으로 넘어가는 경계지점에 있는 배티는 당시에 처형을 하기 위해 끌고가던 순교자들이 꼭 넘어야 할 고개였다. 배티 성지를 나와 안성으로 가는 고개 방면으로 가다보면 왼편으로 조그만 비석이 하나가 나온다. 바로 6인의 무명순교자 묘로 올라가기 시작하는 지점인데 여기서부터는 산속으로 걸어가야 한다.
한사람이 겨우 다닐 만한 오솔길을 가다보면 순교자묘로 가는 갈림길이 나온다. 이곳부터의 경사가 만만치 않다.
▲6인 순교자 묘역
▲6인 순교자의 묘
14인 순교자 묘역
6인의 무명순교자의 묘를 내려와서 다시 안성방면의 고개로 50m 정도를 걸어가면 또 하나의 무명순교자 묘를 알리는 비석이 세워져 있다. 이곳에는 14인의 무명순교자 들의 묘가 안장되어 있는데 이들은 기구하게도 박해시에 안성으로 넘어 가다가 포졸들이 집단으로 처형을 한 순교자들이 묻혀있다. 그 중에는 아이의 무덤도 있다고 하니 그 당시의 비참함이 어떠했는지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배티는 1866년 병인박해와 1868년 무진박해 때에 50여 명의 순교자를 냈는데 그 가운데 29명은 교회 역사에 기록돼 있고 나머지는 배티 일대에 이름 없는 묘소들로 산재해 있다.
▲14인 순교자 묘역
▲14인 순교자 묘역
삼박골 교우촌과 비밀통로
삼박골은 배나무 고갯길 바로 옆에 있으면서도 길에서는 전혀 보이지 않는 곳에 자리잡고 있다. 백곡에서 배티로 오는 길 중간에 '삼박골 비밀통로'라는 푯말이 하나 나오는데 이 통로로 걸어가면 조그만 오솔길을 따라 배티성지로 나오는 지름길이 된다.
예전의 교우들은 외교인을 피하여 이런 조그만 길로 다녔었다. 지금은 아무런 흔적도 없이 순교자의 묘소만 남아있는 삼박골은 병인박해 당시에 장 베르뇌 주교가 숨어들었던 공소이기도 했다.
지금은 집터나 돌담의 흔적, 우물터만이 겨우 남아 있고, 마을 뒷편에는 유명한 신자인 순교자 이 진사의 부인과 딸의 묘소만이 남아 있다.
▲삼박골 교우촌과 비밀통로 설명문
▲삼박골 이진사의 부인과 딸 순교자의 묘, 이 진사는 피신하였다
▲삼박골 이진사 부인과 딸 순교자 묘
▲삼박골 이진사 부인 순교자 묘
▲삼박골 이진사 딸 순교자 묘
'가토릭 성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남 아산시***한국 천주교 순교자 聖地 순례ㅡ아산 공세리(貢稅里) 순교자 성지 (0) | 2022.05.26 |
---|---|
충남 예산군***한국 천주교 순교 聖地 순례ㅡ대흥면 의좋은 형제길ㅡ예산 봉수산 성지 (0) | 2022.05.26 |
충북 제천시***한국 천주교 순교자 聖地 순례ㅡ봉양읍 학산리ㅡ학산묘재(남종삼 생가) 聖地 (0) | 2022.05.20 |
충북 괴산군***한국 천주교 순교자 묘 聖地 순례ㅡ연풍면 삼풍리ㅡ연풍 순교자 묘 성지. (0) | 2022.05.07 |
충북 제천시***한국 천주교 최양업 신부 묘 聖地 순례ㅡ제천 봉양읍. 배론 성지(舟論聖地) (0) | 2022.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