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역사】
제3절 한국불교
2. 통일신라시대의 불교
1) 불교정책과 대중의 불교 1
왕실의 불교관
신라에 의해 삼국의 통일이 이뤄지면서 사회는 크게 변하게 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불교계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불교계에 나타난 가장 중요한 변화는 불교의 정치이념으로서의 역할이 축소되었고,
그 대신에 개인의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측면이 강화되었다는 점이다.
삼국시대의 불교는 왕실과 귀족을 중심으로 수용되면서
국가체제의 정비와 왕실의 권위를 높이기 위하여 불교사상을 이용한 측면이 많았다.
반면 통일신라에서는 불교의 철학적, 종교적 측면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세계와 인생의 가치에 대한 반성 및 불교신앙을 통한 대중들의 삶의 위안 등이
보다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변화는 삼국통일을 이루어 낸 중기 왕실에 의해서 주도되었다.
또한 태종무열왕(김춘추) 이후의 왕실에서는
왕실의 정당성을 종교적 신성성이 아닌 군주의 도덕적 자질과
백성들에 대한 실제적 혜택을 줄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하는
유교적 정치이념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는 불미스럽게 폐위당한 진지왕의 손자인 김춘추가 이전의 국왕들처럼 신성함을
주장하기에 부족했다는 출신상의 약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과 관련된다고 보여 진다.
하지만 그보다는 당시에 불교적 신성성을 근거로 하여 왕실의 권위를 내세운다는 것은
이미 한계에 이르렀기 때문이었다.
불교 수용 이후 신라가 국가체제를 정비하고 대외적으로 팽창하면서
불교적 정치이념은 상당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하지만 선덕여왕대 이후 고구려와 백제의 공격으로 국가의 세력이 위축되면서
불교적인 수식만으로는 왕실의 권위를 내세우기 어려운 상황이 나타나고 있었다.
더욱이 여왕의 즉위에 불만을 가진 일부 정치세력들이
여왕의 교체를 요구하며 반란을 일으키는 등 정치적으로 불안한 상황이 계속되었다.
또한 격화되어 가는 삼국의 항쟁 속에서
백성들의 자발적인 지지를 끌어낼 수 있는 정책들도 필요해졌다.
이에 따라 이제는 실제적으로 정치를 안정시키고 외국의 침략을 막아낼 수 있는
정치적 운영이 절실하게 요구되었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왕위에 오른 김춘추는
불교적 정치이념 대신 국왕의 실제적 능력과
백성에 대한 덕치(德治)를 강조하는 유교적 정치이념에 관심을 갖게 되었던 것이다.
김춘추는 왕위에 오르기 전에 이웃 나라들의 침략에 대처하기 위하여
고구려는 물론 일본과 중국을 오가며 외교 활동을 벌였고
가야 왕실 출신인 김유신과 함께 군사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노력을 벌여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왕실의 입장만이 아닌 일반 백성들의 입장을 고려하는
새로운 정치운영 원리를 모색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김춘추의 아들로 통일을 달성하였던 문무왕이
‘용은 미물로서 국왕에게는 적합하지 않다’라는 승려의 권유에도 불구하고,
국가의 안정을 위하여 스스로 동해의 용이 되고자 했던 것은
불교적 신성함보다 국가와 백성에 대한 군주의 책임을 강조하는
왕실의 사고방식을 잘 보여 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삼국통일을 이룬 중기 왕실이 정치운영에 있어서
불교보다 유교의 원리를 중시하였지만 불교에 대한 신앙을 경시했던 것은 아니다.
통일을 완성한 문무왕은 사후에 자신의 유해를 불교식으로 장사 지내라고 유언했고,
고승들에 대한 왕실의 귀의도 여전하였다.
또한 선왕들을 위한 원찰을 건립하는 것도 중기에 들어와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신앙은 대부분 개인적인 차원의 것이었고
불교를 정치에 직접 이용하려는 모습은 보이지 않게 되었다.
정치에서 불교적 이념 대신 유교적 원리가 강조되면서
불교계에 대한 운영방식도 변화를 보이게 되었다.
통일 이전에는 자장을 대국통에 임명하고 불교계의 운영을 맡긴 것에서 볼 수 있듯이,
국가가 직접 불교계를 통제하기보다는 자율적인 운영을 중시하였다.
반면에 통일 이후에는 이러한 불교계의 자체적인 조직과 별도로
중앙에 불교계의 운영을 담당하는 관청인 정법전(政法典)을 설치하고,
일반 관료들이 불교계에 관여하도록 하였다.
또한 주요 사찰을 건립하고 운영하는 일도 승려가 아닌 고위관료들이 담당하였다.
불교의 대중화
통일신라에 들어와 정치이념으로서의 불교의 영향력은 축소되었지만
불교의 사회적 비중이 줄어든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통일기에는 일반대중들의 불교신앙에 대한 참여가 확대되어
불교가 사회 전체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더욱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삼국시대의 불교가 주로 왕실이나 귀족들을 중심으로 한 지배층 위주의 신앙체계였다면,
통일 이후의 불교는 지배층은 물론 하층민까지 포함하는
사회 구성원 전체의 신앙으로 발전되었다.
불교 대중화라고 불리는 이와 같은 변화를 주도한 사람들은
통일전쟁기를 전후하여 활동하였던 일군의 승려들이었다.
이들은 왕궁이나 사찰이 아닌 시장과 마을을 다니면서
불교의 가르침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직접 서민적 신앙생활을 보여 주었다.
이로 인하여 일반대중들은 불교를 가깝게 접할 기회를 갖고
자신들의 신앙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
진평왕대에 활동한 혜숙(慧宿)은
이러한 불교 대중화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다.
본래 화랑의 낭도에 속하였던 혜숙은 600년에 안홍과 함께 중국 유학을 시도했지만
풍랑으로 실패한 후에는 시골에 숨어 살면서 일반대중들과 함께 수행과 교화를 하였다.
전기에 의하면, 그는 사냥하러 온 국선(國仙)에게
자신의 허벅지 살을 베어 줌으로써 살생을 그치게 하였고,
그의 명성을 들은 국왕이 초청했을 때에는
일부러 여자와 같이 있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지배층보다는 민중 속에 있기를 택했다고 전한다.
혜숙에 이어서 불교의 대중화에 힘쓴 인물로 혜공(慧空)과 대안(大安)이 있다.
혜공은 원래 귀족 집안의 심부름꾼 출신이었지만
타고난 재능을 드러내어 출가할 수 있었다.
교학에 뛰어났고 종종 특별한 이적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출가한 이후에는 작은 절에 살면서 삼태기를 둘러쓰고 길거리에서 춤을 추고 노래하며
일반대중들과 함께 지냈다.
대안 역시 당시 불교계의 대표적인 학승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왕궁의 초청이나 호화로운 생활을 거부하고
스스로 미친 척하며 거리에서 일반대중과 어울려 지냈다.
이와 같은 불교 대중화의 흐름을 계승하여
일반인들에게 불교신앙을 폭 넓게 전파한 인물이 원효(元曉)이다.
중급관료 집안 출신인 원효는 출가하여 불교학을 깊이 연구한 이후에
세간과 출세간의 걸림이 없음을 직접 실천하기 위하여 환속하였고,
이후에는 스스로 소성(小姓)거사로 자처하면서
광대들의 놀이도구를 가지고서 수많은 마을과 거리를 다니면서
노래와 춤으로써 불법의 가르침을 전했다.
또한 그는 모든 중생들이 염불을 통하여 극락에 왕생할 수 있다는
아미타 정토신앙을 강조했다.
이러한 원효의 교화에 의하여 미천한 사람들까지도 불교를 알게 되었고,
곳곳에서 ‘나무 아미타불’을 염송하는 소리가 그치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