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 보물 제1367호 |
---|---|
소재지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 송광사 |
소재지 | 송광사 |
지정일 | 2003.02.03 |
수량/면적 | 9폭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자 | 송광사 |
관리자 | 송광사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
순천송광사松廣寺응진당(전라남도유형문화재 제254호)에 있는 불화로, 정면 가운데 있는 후불탱화인 응진영산탱과 그 양옆에 각 4점씩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16나한도와 제석·범천탱화이다.
석가후불도는 ‘제화갈라(提華갈羅)’와 ‘미륵보살(彌勒菩薩)’이 협시하고 가섭·아난존자만을 등장시킨 석가오존불 형식의 아주 간단한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2중의 둥근 광배에 통견식 법의를 착용하고 있는 본존불은 수미단 위에 항마촉지인을 짓고 있다. 의겸 전성기의 작품으로 구성은 간단하나 정교하고 세련된 필치에 의한 얼굴과 손·발 등의 섬세한 표현, 조화로운 색채, 그리고 밝고 화려한 꽃무늬 구사로 말미암아 의겸의 탁월한 묘사력이 돋보인다.
16나한도는 응진당에 봉안되었던 것으로 현재 성보박물관에 수장되어 있는데 좌·우 3폭씩 모두 6폭으로 1·3·5, 7·9, 11·13·15존자도를 좌측(향우(向右))에, 2·4·6, 8·10, 12·14·16존자 그림을 우측(향좌(向左))에 배치하여 서로 마주 하게끔 그렸다. 각 폭마다 화기가 남아 있으나 조성연대 및 그림의 명칭에 대해서는 홀수ㆍ짝수존자의 첫째 폭에만 ‘옹정삼년(을사)오월일순천(조계산)송광사나한탱 회필경안(雍正三年(乙巳)五月日順天(曺溪山)松廣寺羅漢幀 繪畢敬安)’이라 명기되어 있을 뿐이다. 모두 황토색 바탕에 명암 처리가 두드러진 암벽과 수목을 배경으로 각 존자를 배치하였는데, 부드러운 중간 색조를 많이 사용하여 전반적으로 차분한 느낌이다.
제석(帝釋)·범천(梵天)도는 16나한도 좌·우 끝부분에 배치되는 그림으로 제석천도는 홀수 존자, 범천도는 짝수 존자도의 마지막 폭이다. 응진당 16나한도 및 제석·범천도 역시 석가후불도보다 1년 늦게 조성되었지만, 성격상 석가후불도와 한 조를 이루는 작품이다. 특히 의겸이 주도적으로 조성한 여수 흥국사 응진당 16나한도에 비해 보아 도식적이며 제석·범천도를 분리하고 존자들의 배치만 약간 달리 하고 있을 뿐, 인물의 형태 및 자세라든가 얼굴 표정 등이 거의 같고, 또한 각 존자 명칭과 함께 시주자(施主者) 이름을 밝혀놓아 동일본 사용의 예 파악과 조성의도를 짐작하는데 자료로서 의의가 크다.

십육나한(1,3,5존자)
십육나한(2,4,6존자)
십육나한(7,9존자)
십육나한(8,10존자)
십육나한(11,13,15존자)
십육나한(12,14,16존자)
제석천
범천
'한국의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369호 번역명의집(飜譯名義集) (0) | 2016.09.27 |
---|---|
보물 제1368호 송광사영산전후불탱.팔상탱(松廣寺靈山殿後佛幀.八相幀) (0) | 2016.09.27 |
보물 제1366호 송광사 화엄전 화엄탱 (0) | 2016.09.27 |
보물 제1365호 쌍계사팔상전팔상탱(雙磎寺八相殿八相幀) (0) | 2016.09.27 |
보물 제1364호 쌍계사대웅전삼세불탱(雙磎寺大雄殿三世佛幀) (0) | 2016.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