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섬김에 대하여9.

문성식 2015. 8. 21. 00:26

섬김에 대하여9. (이명진 목사 )

 

 

IX. 섬김 주체와 대상들, 영역

1. 디아코니아의 주체와 대상
(1) 누가 섬겨야 하나
누구나 해야 한다 특별한 사람만 섬기는 것이 아니다 각 사람은 은사받은 대로 섬겨야 합니다 (벧전4:10) 각각 은사를 받은 대로 하나님의 각양 은혜를 맡은 선한 청지기 같이 서로 봉사하라 성도들은 누구나 은사를 받았습니다 누구나 주신 은사를 활용하여 섬겨야 합니다 디아코니아의 주체는 예수를 믿는 모든 사람들이다. 물론 특별한 직분을 감당하는 디아코니아는 그 직분을 맡은 사람만 하면 된다. 그러나 물질적으로 이웃을 돕는 디아코니아는 모든 신자들이 해야 할 일이다. 그것은 마25:31-46에 나오는 양과 염소의 비유가 잘 보여준다. 그 비유는 이웃을 돕지 않으면 구원도 받지 못한다고 함으로써 이웃 섬김의 디아코니아는 모든 신자들의 의무임을 알려준다. 심지어 가난한 신자도 이 의무를 면재받지 못한다. 세상에는 그보다 더 가난한 사람이 있기 때문이다.(눅3:11; 21:1-4; 고후8:2,19 참조)

(2) 누구를 섬기나 ?
(가) 우리가 먼저 우선적으로 섬길 대상은 하나님이시다 (마4:10 삼상7:3)목사가 아니고 이웃이 아니다 주의 종을 잘 섬겨야 복을 받는다 틀린말은 아니나 섬김의 대상은 우선적으로 하나님이시다 하나님은 우리가 예배를 드림으로 섬긴다 복종함으로 섬긴다 (마4:10) 이에 예수께서 말씀하시되 사단아 물러가라 기록되었으되 주 너의 하나님께 경배하고 다만 그를 섬기라 하였느니라 (삼상7:3) 사무엘이 이스라엘 온 족속에게 일러 가로되 너희가 전심으로 여호와께 돌아오려거든 이방 신들과 아스다롯을 너희 중에서 제하고 너희 마음을 여호와께로 향하여 그만 섬기라 너희를 블레셋 사람의 손에서 건져내시리라

(나) 교회를 섬겨야 한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다 교회를 섬김은 그리스도를 섬기는 것이다 주신 은사대로 직분을 따라 교회를 섬겨야 한다(벧전4:10) 각각 은사를 받은 대로 하나님의 각양 은혜를 맡은 선한 청지기 같이 서로 봉사하라

(다) 이웃을 섬겨야 한다
섬길 대상은 하나님과 이웃이다 (마22:34-40) 이웃은 가까운 부모로부터 형제 자매로 시작해서 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모둔 족속 , 원수까지도 섬김의 대상이 된다


디아코니아의 대상은 어려운 사람이다. 특히 물질로 섬기는 디아코니아는 물질이 결핍된 사람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 이것은 양과 염소의 비유에서 오른편에 선 자들이 구원을 받는 이유가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도왔기 때문이라는 데서도 잘 나타난다. 또한 눅14:12-14도 어려운 사람을 도운 사람만 하나님의 보상을 받는다고 가르치고 있다.


이렇게 디아코니아가 모든 신자들이 해야 할 일이라면 디아코니아는 교회의 필수적인 사명이다. 아울러 그 대상도 신자로 국한해서는 안된다(마25:31-46). 누구든지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라면 교회는 최선을 다해 섬겨야 한다. 불신자도 대상이 된다는 것은 디아코니아가 복음전파에 유익하다는 것을 생각하면 더욱 분명해진다.

예배와 세상에 대한 봉사를 분리해서는 않된다 (암4:4-5) (마5:23-24) 그러므로 예물을 제단에 드리다가 거기서 네 형제에게 원망 들을만한 일이 있는줄 생각나거든 (24) 예물을 제단 앞에 두고 먼저 가서 형제와 화목하고 그 후에 와서 예물을 드리라 -형제와 먼저 화해하는 것이 예배의 전제이다 하나님과 하나됨은 이웃과의 하나됨을 배제하고서는 불가능하다

2. 그리스도인의 섬김의 영역 (스위스에서 있었던 세계교회 협의회 보고서)

(1). 말씀에 대한 섬김 (본질적 섬김, 하나님 섬김 ; 임창복 교수 추가)
-말씀 자체이신 그리스도를 섬기는 것이다 이 섬김을 통해 하나님은 무조건적인 은혜로 인간의 죄를 용서하시고 인간에게 다가오셔서 은혜를 주신다 교회는 말씀자체이신 예수그리스도 복음을 전파하고 실천하는 가운데 그리스도를 섬겨야 한다
(2). 이웃 섬김
-교회의 생명과 존재를 위해 필수적이다 예수님이 우리를 섬기셨던 것처럼 우리는 우리 이웃을 섬겨야 한다 나눔, 섬김으로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해야 한다
(3). 지역사회의 섬김 :
-지역 사회 주민의 필요에 눈을 돌리고 그들을 위해 봉사해야 한다
(4). 세계를 섬긴다 :
-국가적 상황에만 섬김을 제한하지 말고 세계 고통 당하는 사람들에게도 섬김을 실천한다
(5). 예방적 섬김 :
교회 안과 밖에서 수행도고 있는 섬김 사역을 본질적으로 분석하여 이것 들이 진정 예수그리스도의 섬김 사역인지 분석하고 교육하여 효과적인 섬김 사역이 되게 한다
(6). 구조적 또는 정치적 섬김 :
이웃의 고통과 비참의 원인에 대해 구조적이고 정치적인 원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7). 인도주의적 섬김
그리스도인들은 인도적인 차원에서 생태계 보전, 자연재해 복구, 전쟁 폭력으로 고통 당하느 이들을 비그리스도인들과 함께 인도적인 방법으로 섬긴다
(8). 상호적 섬김
섬기는 그리스도인은 우월감을 배제하고 그리스도의 정신을 본받아 고통 받는자와 함께 동등한 입장에서 고통을 함께 나눈다. 실제적 섬김은 사람들 속에 있는 하나님의 형상을 인정하는 것이다
(9). 자유하게 하는 섬김
그리스도인은 섬김 사역을 수행 할 때 섬기는 대상을 그들 자신과 동등하게 생각하며 섬김의 대상이 궁극적으로 예수그리스도의 사랑에 응답함으로써 죄와 율법으로부터 자유하는 마음의 공간을 열도록 해야한다

 

 

'기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국과 지옥의 체험을 어떻게 분별하는가?  (0) 2015.08.31
섬김에 대하여10.  (0) 2015.08.21
섬김에 대하여8.  (0) 2015.08.21
섬김에 대하여7.  (0) 2015.08.21
섬김에 대하여 6  (0) 2015.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