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 보물 제283호 |
---|---|
소재지 |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관) |
소재지 | 간송미술관 |
지정일 | 1963.01.21 |
수량 | 1책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자 | 전성우 |
관리자 | 전성우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거문고 악보. 현금보(玄琴譜)의 줄임말이다. 현재까지 발굴된 약 70여 종의 고악보(古樂譜) 중에서 40여 종이 거문고보이며, 이 중에서 ‘금보’라는 표지제명(表紙題名)으로 된 거문고 악보는 24종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금보’는 ≪금합자보 琴合字譜≫·≪양금신보 梁琴新譜≫ 등 목판본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필사본(毛筆寫本)이며, 또한 유일본이다. 악사(樂師) 또는 문인(文人)들의 손에 의해 이루어진 이들 금보는 민찬악보(民撰樂譜)로서 1책으로 되어 있다.
현재까지 발견된 금보 중 가장 오래된 것은 ≪금합자보≫로 1572년(선조 5)에 만들어졌으며, 조선 말기인 고종 때의 금보가 많이 발견되고 있다. 민족항일기에는 미농지(美濃紙:일본 종이의 하나. 닥나무 껍질로 만드는데 아주 얇고 질기며 빛이 휨) 또는 당시에 사용하던 원고지에도 기보하였다.
편저자 및 연대가 확실한 것도 있으나, 대부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악보에 따라서 서(序)·발(跋)·지(識) 등이 있는 것도 있으나 없는 것이 더 많다. 악보의 크기는 다양하며 대개 선장(線裝)으로 만들었다.
이들 24종의 ‘금보’ 중 ≪금합자보≫가 현재 보물 제283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들 금보들은 악곡(樂曲)들을 시간적·공간적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전해 줄 뿐만 아니라 당시 이름을 떨치던 음악가를 알게 해주며, 악곡의 변화 연구, 변주법 연구, 변천과정 연구, 국악사의 보충, 전통 연주기법 연구, 구음법(口音法) 연구, 기보법 연구, 장단 연구 등 우리 나라 전통음악의 이론 정립에 가장 중요한 문헌자료가 된다.
또한, 금보에 적혀 있는 주(註)와 잡기(雜記)들은 음악 연구에서 수수께끼를 푸는 열쇠 구실을 하기도 하며, 우리 민족의 음악미(音樂美)·음악관 연구에도 큰 도움을 준다. 국악계에서는 ‘금보’라고만 적혀 있는 이 악보들을 편저자명, 서문·발문의 필자명 또는 아호(雅號), 소장자명 등을 ‘금보’의 앞에 접두어식으로 붙여 혼란을 피하고자 구별하고 있다.
'한국의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285호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 (0) | 2015.07.11 |
---|---|
보물 제284호 금동여래입상(金銅如來立像) (0) | 2015.07.11 |
보물 제282호 고달사지쌍사자석등(高達寺址雙獅子石燈) (0) | 2015.07.11 |
보물 제281호 광한루(廣寒樓) (0) | 2015.07.11 |
보물 제280호 선운사지장보살좌상(禪雲寺地藏菩薩坐像) (0) | 2015.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