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불자의 예절

문성식 2010. 8. 24. 06:17
불자의 예절


사원은 마음의 번뇌를 정화(淨化)하고 지혜를 닦는 수행장으로써
부처님을 모신 신성하고 장점한 성전(聖殿)이며, 기도하고 참회하는
신앙의 귀의처이다.
불자는 정성을 다하여 도량의 성스러움을 보호해야 함은 물론 우
리들의 마음 자세도 신중하고 밝아야 하며, 또한 몸가짐을 경건하
게 하여 바른 신행 생활을 해야 한다.

◆ 사원을 찾는 몸가짐
사원을 찾을 때는 항상 정갈하고 단정한 옷차림으로 향·초·꽃·
과일 등을 준비하여 부처님께 공양올린다.
경내에 들어서면 법당을 향하여 반배하고 스님을 만나면 공손히
합장하여 인사한다.

◆ 법당 출입법
·먼저 큰 법당에 가서 부처님께 참배한 뒤 스님을 찾아 뵙는다.
·언제나 공손히 문을 열고 차례를 지켜 질서있게 들어가야 하며,
가운데 문(御間門)을 피하여 좌우측 문을 이용해야 한다.
·왼쪽 문으로 들어갈 때는 왼발, 오른쪽 문으로 들어갈 때는 오른
발이 먼저 들어가되 신발을 나가는 방향으로 가지런히 돌려 놓고
문을 닫는다.
·법당에 들어가서 뒷사람에게 방해되지 않도록 한 걸음 옆으로 옮
겨서 불단을 향해 반배하고 합장자세로 불단 앞까지 걸어간다.
·불단 앞에 단정히 서서 가볍게 반배하고 두 손으로 촛불과 향을
사룬 후, 한 발 뒤로 물러서서 반배하고 발꿈치를 든 채 적당한 자
리에 물러나와 예배드린다.
·항상 스님이 예배할 자리를 피해야 하며 다른 사람이 예배드리는
머리맡을 왕래해서는 안된다.
·맑은 물을 올릴 경우엔 다기(茶器) 소리가 나지 않게 차관(茶罐)
을 사용하여 올린다.
·향과 촛불이 켜져 있을 경우 적당한 자리에 서서 참배만 하는 것
이 바른 예의이며, 향은 한 개만 피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촛불을 끌 때는 손으로 심지를 잡아서 끄거나 도구를 사용해야
하며 참배가 끝나고 법당을 나올 때는 반드시 촛불을 끄고 반배의
예(禮)를 올린 후 나온다.

◆ 합장 예배
합장은 일심을 뜻하고 예배는 공경의 표시로서 아상(我相)과 교만
심을 극복하는 수행이기도 하다.
·절은 두 팔꿈치와 두 무릎과 이마가 바닥에 닿게 하는 큰절과
선 채로 합장하여 절하는 반배가 있다.
·스님들께 절할 때는 항상 "성불하십시오"하고 불자들끼리 만났을
때엔 "성불합시다."하고 반배를 하는 것이 좋다.
·절을 하려면 먼저 옷을 단정히 하고 자세를 바르게 하여 합장을
한다.
·예배의 대상을 우러러 바라본 다음 무릎을 꿇고 온 몸을 바닥에
댄다.

◆ 반배하는 법
합장은 고대(古代) 인도에서 행하던 인사법으로 산란한 마음을 한
데 모아 마음에 합일(合一)시킨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합장은 두 손바닥과 열 손가락을 합하여 어긋나거나 벌어지지
않게 한다.
·손목은 가슴에서 5cm 정도 떨어지게 하여 45°각도로 세우고
양쪽 팔꿈치가 거의 직선이 되도록 한다.
·손 끝은 코 끝을 향하도록 자연스럽게 세우며 고개는 반듯하게
한다.
위와 같은 자세로 허리와 머리를 60°정도 숙여서 공손히 반절하
는 것을 반배 또는 합장예(合掌禮)라고 한다.

◆ 큰절 하는 법
·합장한 자세로 반배를 한 다음 무릎을 꿇고 이마가 닿을 지점에
두 손을 나란히 짚으면서 엎드린다.
·무릎을 꿇고 엎드릴 때 오른발이 밑으로 왼발이 위로 가도록 포
갠다. 이때 두 무릎 사이는 한 뼘 쯤 띄우고 양 팔굽은 양 무릎에
닿게 한다.
·부처님을 받들어 모시는 동작으로 손을 뒤집어 귀 아래까지 들어
올린 후 머리를 들고 허리를 일으켜 세우면서 본래의 합장 자세를
취한다.
·일어설 때에는 오른손으로 바닥(무릎)을 짚고 일어나며, 세 번 절
하고 일어서서 반배의 예를 올린다.

◆ 고두례(叩頭禮)
삼정례(三頂禮)의 마지막 절을 할 때는 엎드린 채 고개와 두 손만
을 들어 합장하고 자신의 발원이나 소어 을 빈 뒤 다시 절하고 일
어난다.
예불문의 마지막 구절인 「유원 무진 삼보……」에서 발원하는 절
이라 하여 유원반배(唯願半拜)라 하기도 한다.

◆ 우슬착지(右膝着地)
맨 땅 위에서 부처님께 예배할 때 올릴 수 있으며, 합장한 자세로
반배를 한 후 왼발을 앞으로 내딛고 조용히 무릎을 꿇고 앉은 자세
를 취한다.
합장하고 고개 숙여 예배한 후 조용히 일어나 두 발을 모으고 반
배한다.

◆ 향 올리는 법
불단 앞에 나아가 반배한 후 오른손에 향을 쥐고 촛불에 붙인 다
음, 왼손을 받쳐 이마 위로 약간 올렸다가 향로에 꽂고 반배한 다
음 물러나 예배드린다.

◆ 도량에서의 몸가짐
·도량 안에서는 집에 돌아갈 때까지 엄숙 단정하게 정진해야 한
다.
·신을 꺾어 신거나 소리를 내어 끌지 말고 조용히 다녀야 한다.
·세속적인 화제로 신성한 도량을 시끄럽게 하거나 소란을 피워서
는 안된다.
·스님을 뵙거나 불자끼리 만났을 경우 합장하여 인사한다.
·종을 쳐본다거나 북을 두드려서는 안된다.
·사찰에 있는 모든 물건은 삼보(三寶)의 귀중한 공용물로서 소중
히 하며 항상 제자리에 두어야 한다.
·공양은 평등하게 나누어 먹어야 하며, 많을 경우는 미리 덜어내
어 남기거나 버리는 일이 없도록 한다.
·소지품은 스스로 분실치 않도록 잘 보관하여야 한다.
·마루에 걸터 앉거나 불전을 등지고 서 있는 것을 삼가해야 한
다.

◆ 스님을 대하는 예의
·스님은 삼보(三寶) 가운데 승보(僧寶)이며, 모든 이의 복전(福田)
이 되므로 공경스런 마음으로귀의해야 한다.
·사찰이나 길에서 스님(어린 스님, 낯선 스님)을 만나면 공손한
자세로 합장하고 인사드린다.
·어른 스님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는 것이 아니며, 스님에 관하여
말하는 것을 삼가해야 한다.
·스님께 여쭐 것이 있으면 찾아 뵙고 공손히 물어야 한다.
·스님의 방에 출입할 때는 노크하고 자신의 이름을 밝힌 다음 들
어간다.
·스님의 수행 생활에 필요한 음식·의복·의약·방사 등을 공양
한다.

◆ 경전(經典)을 대하는 태도
경전은 삼보 가운데 하나인 법보(法寶)이며, 부처님의 진리가 담긴
책으로 항상 소중히 간직해야 한다.
견정에 먼지나 더러운 것이 묻어 있을 경우 입으로 불어 털지 말
고 깨끗한 수건으로 잘 닦아내야 하며 더러운 손으로 만져서도 안
된다.
경전 위에 다른 책이나 물건을 함부로 올려 놓지 말며, 항상 높고
깨끗한 곳에 간직한다.
불자는 언제나 불교성전을 지니고 다니면서 때때로 읽고 깊이 음
미함으로써 자기 정화를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

◆ 법회에 임하는 자세
·부처님의 정법을 믿고 배우는 불자는 항상 돈독한 신심과 경건
한 마음가짐으로 법회에 임해야 한다.
·정해진 법회시간에 늦지 않게 참석해야 하며 법당에 들어가서는
부처님께 삼배(三拜)하고 자리에 앉아 좌선을 하거나 경전을 읽으
며 조용히 마음의 준비를 한다.
·법사는 부처님을 대신하여 설법하는 분이므로 법문을 청할 때는
반드시 삼배(三拜)를 올리고 윗 자리에 모신다.
·법회가 시작되고 설법을 들을 때에는 설법 내용이 다 아는 것일
지라도 경박한 마음을 내지 말고 자기 일상 생활에 실천되고 있는
가를 반성하며,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우고 익혀 생활의 길잡이로
삼아야 한다.
·법회를 마치면 자기가 사용했던 물건은 반드시 제자리에 정리한
다.
·법회란 함께 모여 설법을 듣고 참회·기도·발원하는 우리들의
신행 생활이므로 반드시 참석하는 것이 불자의 도리일 뿐 아니라
자신의 신행 행활에도 큰 도움이 된다.

◆ 공양(供養)의 의의(意義)
공양은 범어 푸자나(P jan )의 의역이며, 공시(供施)·공급(供給)이
라고 번역한다. 즉, 공급하여 자양(資養)한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불법에 귀의하여 감사하고 겸손한 마음으로 삼보께 올리는 청정한
모든 것을 공양이라고 한다. 공양은 탐욕에 가려져 있는 본래의 자
기를 회복하는 수행히며, 이우을 향한 끝없는 자비와 보살행원의
첫 출발이기도 하다.
이러한 공양의 의미를 불타께서 생존해 계실 때의 일화를 들어 살
펴본다.
「어느 날 사위성에 살고 있는 비사구라는 여인이 기원정사에 계
신 부처님을 뵙고 인사드린 후 "세존이시여, 수행에 지장이 없으시
면 제자분들과 함께 저의 집으로 오셔서 공양을 받아 주십시오"하
고 청을 올렸다. 청을 받아들인 세존께서는 제자들과 함께 비사구
의 집에 가서 공양을 받았다.
이때에 비사구는 세존께 "저의 소원이 있사오니 들어주시기 바랍
니다. 첫째, 비올 때 스님들께 우비(雨備)를 드렸으면 합니다. 둘째,
출가한 스님께 식사를 제공해 드리고 싶습니다. 셋째, 행각하는 스
님께 여비를 드리고 싶습니다. 넷째, 앓는 스님을 간호하는 분들께
공양을 드리고 싶습니다. 다섯째, 환자 스님께 약을 드리고 싶습니
다. 여섯째, 비구니 스님들께 욕의(浴衣)를 드리고 싶습니다.(중
략)……"
"무슨 인연으로 스님들께 그와 같은 공양을 하려고 생각을 내었나
요?" 하는 세존의 물음에 "세존이시여, 많은 원을 세워서 그런 뜻을
내었습니다. 비구 비구니 스님들이 세존의 설법을 듣고 깨달음을
얻은 후 열반에 들 때에나 아니면 평소에 비사구의 이야기를 자주
하실줄로 생각되오며 그럴 때마다 저의 마음은 청정해질 것이라는
바램에서 입니다."
"착한 비사구요, 나는 기쁜 마음으로 그대의 공양을 받도록 허락하
리라. 정직하고 순수한 공양은 마음의 평안을 얻게 할 것이며, 슬픔
을 이기고 행복을 얻게 하오. 아깝다는 생각, 바르지 못한 대가를
바라는 마음으로 공양하면 자신과 타인에게 이익이 없소. 그러나
기쁜 마음으로 하는 공양은 공양하는 자와 받는 자 모두를 행복하
게 하오"」

이상은 불타의 생애를 다룬 <조용한 폭풍> 중의 한 대목으로 공양
의 의미가 잘 나타나 있다.
공양은 크게 나누어 세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법공양(法供養): 교법에 따라 보리심을 일으켜 자리 이타의 행을
함.
·재공양(財供養): 의복·음식 등 세간의 재물을 공양함.
·공경공양(恭敬供養): 찬탄·예배 등이 있다.

◆ 공양 올리는 마음
향은 자신의 몸을 태워 아름다운 향기를 남기고 촛불은 자신의 몸
을 태워 세상의 어둠을 밝힌다.
이와 같이 불자는 부처님께 계의 향(戒香), 정의 향(定香), 혜의 향
(慧香), 해탈의 향(解脫香), 해탈지견의 향(解脫知見香)을 사루어야
한다.
이 몸과 마음을 태워 재가 될지라도 어두운 번뇌의 세계를 밝힌다
는 마음으로 향과 초를 사룬다.
부처님께 공양올리는 모든 공덕을 일체 중생에게 회향하여 중생의
고통을 덜어주고 참된 진리를 심어 줄 것을 기원하는 마음이어야
한다

출처 :나무아미타불 원문보기   글쓴이 :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 4대 성지  (0) 2010.08.24
절에서의 예절  (0) 2010.08.24
법당의 구조  (0) 2010.08.24
초심자를 위한 불교 생활 기초교리  (0) 2010.08.24
초심자를 위한 불교예절과 일반상식  (0) 2010.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