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은 우리나라 여성암 신규발생률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다. 다행히 유방암은 치료를 빨리 시작할수록 결과가 좋아, 생존율이 90%를 넘는다. 일반적으로 암이 치료됐다고 보는 '5년 상대 생존율'이 전이가 없을 땐 98%, 전이됐을 때는 90%에 달한다. 유방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자.
◇30세 이상은 자가검진·35세 넘으면 진료 권고
항암제와 방사선 요법 등이 발전하면서 전체적인 유방암 생존율은 높아졌으나, 3~4기 환자의 사망률은 높은 변화가 없다. 유방암은 조기에 발견만 하면 치료가 잘 되지만, 초기 자각증상이 거의 없기에 조기발견을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
그 때문에 유방암 전문가는 자가검진이라도 주기적으로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유방갑상선외과 송정윤 교수는 "30세 이후라면 매월 유방 자가검진을 하고, 35세 이후엔 2년 간격으로 임상 진찰을 추가하길 권한다"고 말했다. 그는 "40세 이후의 여성이라면, 1~2년 간격으로 임상 진찰과 유방 촬영을 추천한다"고 했다.
만일 유방암 가족력이 있거나 이상이 발견된 사례라면, 더 일찍부터 주기적인 검진이 필요하다. 송 교수는 "어머니와 자매 중 유방암 환자가 있다면 20대부터 검사를 받은 것도 이르지 않다"고 말했다. 또한 과거 건강검진에서 양성종양이 있다는 진단을 받았거나, 이로 인해 시술을 받았던 여성도 조기 검진 대상이므로 유방 외과 진료가 필요하다고 했다.
◇멍울 유무·모양 변화 살펴야
30대 유방조직은 치밀해 유방 촬영으로 발견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자가진단을 하는 게 좋다. 자가검진은 생리가 끝나고 나서 3~4일경 양손을 머리 뒤쪽으로 올려 깍지를 낀 자세를 취한 후 팔에 힘을 주고, 가슴을 내밀면서 거울에 비친 유방의 변화를 보면 된다. 만일 암 조직이 있다면, 가슴 모양이나 윤곽이 평소와 달라진다.
모양을 살핀 다음엔 촉진이 필요하다. 직접 유방을 만져 비정상적인 혹이나 멍울이 잡히는 지 확인해야 한다. 멍울이 잡힐 정도라면 어느 정도 진행된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촉진은 중요하다.
촉진은 검진하는 유방 쪽 반대편 손으로 빗장뼈 위, 아래 부위를 겨드랑이 밑에서부터 약간씩 힘주어 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안쪽으로 만져보는 방식으로 진행하면 된다. 촉진 후에는 유두를 가볍게 짜서 분비물이 나오는지도 살펴야 한다.
◇암 크기 2cm 넘거나 전이 있다면 항암 후 수술 권고
만일 자가진단, 전문의 진단을 통해 유방암이 확정됐다면, 치료를 시작하면 된다. 유방암을 진단받으면 암의 크기와 절제범위, 암이 유두나 피부에서 얼마나 가까운 곳에서 발생했는지, 전이는 없는지 확인해 치료방법이 결정된다.
암의 크기가 작고 전이가 없다면 바로 수술을 진행하게 되고, 암의 크기가 지름 2㎝가 넘거나, 림프절 전이가 있다면 화학요법 이후에 수술하는 것을 권한다. 수술도 부분절제가 가능한지, 전 절제가 필요하다면 유두를 포함해 피부까지 절제할지, 아니면 피부와 유두를 보존하고 안에 있는 유선만을 제거할 것인가를 결정이 필요하다.
송정윤 교수는 "유방암 수술은 예전에는 재발을 줄이기 위해 광범위하게 절제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방사선이나 항암제를 이용해 최소로 절제하고 유방을 보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송 교수는 "만일 보존이 힘든 상태라도 종양 성형술과 유방 재건술을 통해 유방형태 보존이 가능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