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삼보(三寶)

문성식 2019. 5. 27. 08:09

삼보(三寶)

모든 종교에서는 믿음을 강조한다. 그 믿음은 세속적인 단순한 믿음이 아니라 목숨조차도 돌보지 않아야 할 절대적 믿음이다. 불교에서는 이러한 믿음을 귀명(歸命·목숨바쳐 돌아가고자 합니다) 혹은 귀의(歸依·의지해 돌아갑니다)라는 말로 표시하고 그 믿음의 대상으로 삼보(三寶)를 꼽는다.

삼보(三寶)는 불보(佛寶) 법보(法寶) 승보(僧寶)인데 ‘보’라는 말은 세상에서 가장 값지고 존귀하며 변하지 않는 존재라는 뜻에서 붙여진 것이다.

먼저 불보(佛寶)란 맨처음 불교를 일으키신 석가모니 부처님을 비롯한 여러 부처님을 가리킨다. 불(佛)은 산스크리트어 붇다(Buddha)의 음역으로 ‘깨달음을 성취한 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불’은 이세상 어디에도 비길바 없고 견줄바 없는 최상의 존재이다. 부처님 당시에는 부처님을 가리켜 세존·여래·응공 등의 열(十)가지 명호를 붙여 부르기도 했고, 후대에는 보왕·법왕·각왕·대웅·천중천 등의 여러가지 명호를 붙여 부르기도 했다.

다음의 법보(法寶)란 부처님이 깨달으신 내용, 즉 진리를 가리킨다. 부처님께서는 바로 이 법을 깨치시고 법을 중생들에게 열어 보이셨다. 법은 산스크리트어 다르마(Dharma)의 음역으로 ‘이법·교법·진실·본질·질서’ 등의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다음의
승보(僧寶)란 부처님과 부처님이 깨치신 진리에 귀의한 무리(衆)들을 가리킨다. 승은 산스크리트어 상가(Sanga)의 음역으로 ‘화합단체’ ‘수행하는 단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우리가 보통 말할때 ‘승’하면, 세속을 떠나 머리를 깎고 수행에만 전념하는 비구(Bikkhu)와 비구니(Bikkhuni)같은 스님만 지칭하는 것 같지만 본래는 불문에 귀의한 스님과 우바새(upasakha), 우바이(upa)와 같은 재가신도도 포함하여 사부대중 모두를 일컫는 말이다.

이러한 삼보에 대해서는 예로부터 세가지로 다시 해설하기도 한다.
별상삼보(別相三寶), 동체삼보(同體三寶), 주지삼보(住持三寶)가 그것이다.

별상삼보(別相三寶)는 불과 법과 승은 서로서로가 다른 존재이어서 별개의 것이라는 해석이다. 부처님 당시와 남방불교권에서는 이와같은 시각으로 삼보를 믿고 보아왔다고 할 수 있다.

동체삼보(同體三寶)는 불법승이 서로 다른 별개의 것이 아닌 하나의 존재라는 해석이다. <화엄경>을 비롯한 많은 대승경전에서는 삼보는 마음 밖의 존재가 아닌 마음안의 존귀한 존재이므로 차별이 있을 수 없고 떨어져 있을 수 없다고 본다.

주지삼보(住持三寶)란 진리는 후대에까지 사라지지 않고 보존되어야 하므로 불상과 불경과 스님을 보배로 보아야 한다는 해석이다.
이것은 부처님이 열반하신 뒤 중생들이 의지해야 될 형상을 가리키는 것으로 지금도 절에 가면 실질적으로 친견할 수 있는 요소들이다.

이 가운데 동체삼보는 매우 특이한 해석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동체삼보는 중국선종(中國禪宗)의 해석법과도 일치되어 삼보를 외향적 귀의 예배대상으로서가 아닌 수행자 자신이 체득해야 될 목표로 삼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선종의 세번째 조사인 승찬선사가 자신의 불치병인 문둥병 때문에 이조 혜가선사를 찾아 갔을 때다. 이때 혜가선사는 “그대는 그저 불·법·승 삼보에 귀의하라”라고 한다.

승찬선사는 “지금 큰스님을 뵈옵고 승보는 알겠으나 불보와 법보는 모르겠습니다. 어느것이 불보와 법보입니까”고 묻는다. 그러자 혜가선사는 “마음이 부처며 마음이 법(法)이니라. 법과 부처는 둘이 아니요. 승보(僧寶) 또한 그러하니라”하고 대답한다.

이 견해는 육조 혜능스님의 법문에서도 나타난다. 혜능선사는 불법승 삼보를 해석함에 있어 “한생각 깨달아 있음이 불(佛), 한생각 올바름이 법(法), 한생각 청정함이 승(僧)”이라는 입장을 취한다. 이와같은 삼보해석은 대상화되어 향해 있던 부처님과 진리와 수행자들을 자신의 일심내에 귀결시켜 일체화시키고 평등화시켜놓았다고 할 수 있다.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도제 봉행의 의미  (0) 2019.05.27
육법공양  (0) 2019.05.27
염불  (0) 2019.02.14
불공 잘 하는 법  (0) 2019.02.14
【 불교란 무엇인가 】사찰예절안내 - 17. 발우공양 《了》  (0) 2016.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