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중 30대 남자인 김 씨는 어려서부터 장이 약하다고 항상 생각해왔다. 1주일에 6,7일은 가스가 많이 차고 하루에 대변은 4,5회를 보면서 항상 묽은 변을 보고 대변을 참지 못하여 대중교통을 타려고만 하면 긴장되어 항상 힘들어했다. 또, 만성적인 피로를 달고 있었고 음식이 조금만 맞지 않아도 복통과 설사를 반복했다. 내시경 검사와 혈액검사, 대변검사를 여러 번 했지만 특별한 염증 소견이나 궤양 등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예처럼 과민성대장 증후군으로 고민인 현대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복통, 복부 팽만, 변비, 설사 등을 동반하는 과민성대장 증후군은 우리나라 인구의 7 – 15% 정도가 의심될 정도로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다. 환자는 불편하여 여러 가지 검사를 받아 보아도 기질적인 이상은 나타나지 않지만 본인은 항상 소화가 안되고 잦은 설사와 변비를 반복하고 복통, 가스 참, 만성피로로 고생을 하게 된다.
과민성대장 증후군은 과음, 스트레스와 잘못된 식생활 습관 등으로 발생한다. 스트레스와 잘못된 식생활 습관은 비위와 대장의 기능을 손상시켜 음식물을 섭취해도 음식물을 제대로 소화시키지 못하게 된다. 음식물에서 충분한 에너지의 공급이 안 되어 만성적인 피로에 시달리게 된다. 비위와 대장의 기능 저하는 만성적인 소화불량과 설사와 변비와 같은 대변의 이상, 잔변감, 복통 등을 유발하게 되고 항상 배에 가스가 차게 되어서 생활에 많은 불편을 주게 된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식사와 운동을 하고 위에 부담이 될 수 있는 기름진 음식 ( 고기류, 기름이 들어간 음식), 인스턴트 음식, 유제품, 찬 음식 등을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과민성 증후군을 유발하고 악화시킬 수 있는 스트레스를 피하고 규칙적인 운동과 충분한 수면을 취하여 몸의 원기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는데 위내시경, 복부 ct, 대변검사, 혈액검사 상 특별한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다.
1. 복부에 가스가 많이 차고 복부 팽만감이 심하다.
2. 설사와 변비를 번갈아 반복한다.
3. 대변을 참기가 힘들다.
4. 잔변감이 심하다.
5. 만성피로가 있다.
6. 대변보는 횟수가 하루에 3,4회 이상이다.
7. 대변에 점액 변이 나온다.
/기고자 : 동보한의원 성청목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