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 청도군 운문면 |
---|---|
원문참조 및 출처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전통사찰종합정보 |
사진출처 : | 문화재청 |
창 건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이다.
운문사는 557년(신라 진흥왕 18), 혹은 560년에 이름이 전해지지 않는 한 신승(神僧)이 창건하였다고 한다.
이 신승은 북대암 옆 금수동(金水洞)에 작은 암자를 짓고 3년 동안 수도하였는데, 마침내 도를 깨닫고 도반 10여 명의 도움을 받아 7년 동안 동쪽에 가슬갑사(嘉瑟岬寺), 서쪽에 대비갑사(大悲岬寺), 남쪽에 천문갑사(天門岬寺), 북쪽에 소보갑사(所寶岬寺), 중앙에 대작갑사(大鵲岬寺) 등 다섯 암자를 창건하였다.
이 가운데 대작갑사가 곧 지금의 운문사인 것이다. 그리고 대비갑사는 지금의 대비사를 가리킨다. 그런데 당시 대작갑사가 창건된 목적은 흉맥을 진압하기 위하였다고 한다. 지금의 운문사 동쪽에 솟아있는 산을 지룡산(池龍山)이라고도 부르지만 옛날 명칭은 호거산이라고 하였으니, 곧 호랑이가 엎드려 있는 형국인 것이다. 풍수지리적으로 본다면 용맹한 호랑이가 흉맥을 누르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그리고 산 정상에는 호거 산성이 있다. 이렇게 신승이 다섯 갑사를 지은 것은 이 지역이 교통상의 요충지였기 때문으로 생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대작갑사 외에 나머지 네 갑사도 역시 흉맥을 진압하는 지세로 교통상의 요지가 되는 입지를 이용하여 세워졌을 것으로 짐작된다.
중 창
창건에 이어서 608년(진평왕 30) 원광(圓光) 국사가 중창하였다. 원광 국사는 만년에 가슬갑사에 머물며 일생의 좌우명을 묻는 귀산(貴山)과 추항(輜項)에게 세속오계(世俗五戒)를 주었다고 한다. 그 뒤 중국 당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와 후삼국의 통일을 위해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왔던 보양(寶壤) 선사가 후삼국시대에 쇠락되어 버린 다섯 갑사를 대작갑사 하나로 통합하였다 한다. 고려의 후삼국 통일 직후인 943년(태조 26) 태조는 보양의 공에 대한 보답으로 대작갑사를 운문선사(雲門禪寺)로 바꾸어 편액과 전지(田地) 500결을 하사하였다.이로써 운문사는 경제적 기반을 튼튼히 구축한 대찰로서의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 고려 중기에 들어와서 1105년(숙종 10) 원응(圓應) 국사 학일(學一)이 중국 송나라에서 천태교관을 배운 뒤 귀국하여 1129년(인조 7)부터 운문사에 머무르며 절을 중창하고 나라에서 손꼽는 선찰(禪刹)로 삼았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1592년(선조 25)에 일어난 임진왜란 때 대웅보전 등 당우 일부가 소실되었다. 그 뒤 18세기 중반 운문사는 설송 연초(雪松演初) 대사가 중창하고, 운악 두안(雲岳斗安) 스님이 대대적인 중창을 하였다. 두안 스님은 1839년(헌종 5) 오백전을 중수하고 1840년 응진전·명부전·미타전 등의 전각과 내원암·북대암 등의 산내암자를 중건하였다. 그리고 1841년 청신암을 창건하였고, 1842년 금당을 중건하였다. 두안 스님은 아울러 운문사에서 만일염불회(萬日念佛會)를 이끌기도 하였다. 이렇게 연초 스님의 중창과 두안 스님의 중건이 이어지면서 운문사의 사세는 상당히 확장되었다. 만일염불회를 결성하여 사찰을 중창하였으며, 1912년 긍파(肯坡)가 중창하였다. 이어서 1913년 고전(古田)이 중수하였고, 계속해서 금광(金光)이 다시 중수하였다.
1945년의 해방 이후 제1세 김상명 스님부터 제4세 박상웅 스님까지 잠시 대처승이 거주하였지만, 1950년대 불교교단 정화 이후 비구니 금광 스님이 1955년 초대 주지로 취임하여 다시금 중창을 이루었다. 이후 2·3대 유수인, 4대 배묘전, 5대 이태구, 6대 안혜운, 7대 위혜안 스님을 거쳐 8대부터 12대까지(1977∼1998) 명성(明成) 스님이 운문사 주지와 학장을 겸임하면서 중창 불사를 이룩하였다. 명성 스님은 대웅보전과 요사 등 29동을 신축하고, 만세루 등 기타 전각들을 중수하는 등 명실공히 대가람으로서의 면모를 일신하였던 것이다. 이어 1998년부터 제13대 송혜은 스님이 주지로 부임하며 선원을 신축하였다. 한편 운문사는 승가대학과 강원이 유명하다. 강원은 1958년에 비구니 강원으로 개원된 후, 1987년 승가대학으로 명칭이 바뀌었고, 1997년 비구니 강사를 양성하는 전문 교육기관으로는 최초로 승가대학원이 개설되었다. 현재 운문사의 학인은 260여 명에 이르고 있다. 운문사 승가대학은 4년 과정으로 경학을 연구하는 대표적인 비구니 수행도량으로 이름이 높은데, 2001년 운문사 남쪽 학소대 방향에 선원을 건립하였다
문화재
중요문화재로는 보물 제193호로 지정된 금당 앞 석등을 비롯하여 보물 제316호로 지정된 원응국사비(圓應國師碑), 보물 제317호로 지정된 석조여래좌상, 보물 제318호인 사천왕석주(四天王石柱), 보물 제678호로 지정된 삼층석탑, 보물 제208호로 지정된 동호(銅壺) 등이 있으며, 오백나한전 안의 나한상은 보기 드문 작품이다.
이 중 대웅전 앞에 있는 2기의 3층석탑은 대웅전이 위치한 자리의 지세가 행주형(行舟形:전복되기 쉬운 배 모양)의 흉맥이라 하여 그 지세를 누르기 위해서 양쪽에 탑을 세운 것이라고 한다. 만세루는 조선 초기의 건물로 우리 나라 사찰건물 중 가장 큰 것이라고 한다. 입구에 천연기념물 제180호로 지정된 처진 소나무가 있다.
산내암자
부속 암자로 절의 동쪽에는 청신암(淸神庵)과 약수로 이름난 내원암(內院庵), 북쪽에는 북대암(北臺庵), 동남쪽에는 사리암(舍利庵), 서쪽에는 호거암(虎踞庵)이 있다. 이 절은 1958년 불교정화운동 이후 비구니 전문강원으로 선정되어 승려교육과 경전연구기관으로도 유명하다.
사찰풍경
호거산 운문사(虎踞山 雲門寺). 운문사 북동쪽에 위치한 호거산은 호랑이가 의연하게 앉아 있는 모습과 닮았다 해서 불러진 이름입니다. 운문사란 짙은 안개가 펼쳐져 구름 속으로 들어가는 문임을 의미합니다. 운문사는 호거산 아래 넓은 평지 자락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남쪽은 운문산, 북동쪽은 호거산, 서쪽은 억산과 장군봉. 그리고 이들이 이룬 높고 낮은 봉우리가 돌아가며 운문사를 감싸고 있습니다. 이 모양이 연꽃 같다고 하여 운문사를 ‘연꽃의 화심’이라고도 합니다.
운문사는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심성은 연꽃이요, 그 기개는 호랑이 같이 용맹스럽다는 것 같습니다. 번뇌 망상과 탐욕, 성냄, 어리석음이란 구름을 헤치고 나아가는 수행력은 호랑이 같은 용맹정진이며, 구름의 문을 열고 들어서는 순간 우리들은 연꽃 같은 심성과 아름다움을 얻는다는 가르침이 아닐까 합니다.
그래서 그렇지 신라의 삼국통일 주역이었던 화랑들의 정신적 지침인 세속오계를 원광법사가 이곳에서 전수하였으며, 고려때 일연선사는 삼국유사를 저술하였습니다. 지금은 우리나라 최대의 비구니 교육도량으로 많은 후학들을 양성하고 있습니다.
유홍준 문화재청장은 운문사의 다섯 아름다움은 첫째, 항상 사미니계를 받은 200여 명의 비구니 학인스님이 있으며 둘째, 비구니 스님들의 장엄한 아침예불이 있기 때문이며 셋째, 운문사 입구의 솔밭이며 넷째, 운문사의 평온한 자리매김이며, 다섯째, 일연스님이 이곳에서 삼국유사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천년의 시간과 공간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운문사는 다양한 성보와 유물로서 역사의 흔적을 보여주고 있으며, 비구니 스님들의 용맹정진하는 수행력으로 천년의 공간을 채우고 있습니다.
설화
보양국사가 중국에서 불법을 수학하고 돌아오는 길에 서해에서 용왕을 만났는데 용궁에서 설법해주기를 청하였다. 용왕은 설법해준 답례로 금라가사 한 벌을 보시하고 다음과 같이 청했다.
“지금 삼국이 혼란하여 아직 불법에 귀의한 군주가 없지만 만약 내 아들과 함께 본국에 돌아가 작갑에 절을 지어 살면 도적을 피할 수 있고 또한 몇 년이 안 되어 반드시 불법을 보호하는 어진 임금이 나와서 삼국을 평정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 후 보양국사는 작갑 어귀에 도착하여 하룻밤을 유숙하게 되었는데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나 도장궤를 주며 “내가 원광이다” 하고는 사라졌다. 이에 보양국사는 허물어진 절을 일으키기 위해 북쪽 고개에 올라가서 내려다보니 까치가 땅을 쪼고 있었다. 국사는 ‘작갑’이라고 한 용왕의 말이 생각나서 그곳을 찾아가 파보니 예전의 전돌이 수없이 나왔다. 이것을 모아 탑을 이루니 남은 전돌이 하나도 없으므로 옛 절터임을 알고 그곳에 절을 세워 이름을 작갑사라 했다.
한편 이목은 항상 절 곁에 있는 작은 못에 살면서 불법의 교화를 음으로 돕고 있었다. 어느 해에 몹시 가물어 밭에 채소가 마르자 보양국사가 이목을 시켜 비를 내리게 하니 온 지방이 흡족하였다. 천제가 하늘의 법칙을 어겼다 하여 이목을 죽이려 함에 보양국사가 침상 밑에 이목을 숨겼다. 천사가 보양국사에게 이목이 있는 곳을 물으니 보양국사가 뜰 앞의 배나무를 가리키자 그곳에 벼락을 내리고 하늘로 올라갔다고 한다. 그 후로 이목이 살던 작은 못을 이목소라 부른다.
(삼국유사 보양이목조)
도로안내
1) 경부고속도로 하행선 : 경산 인터체인지→69번 지방도→자인면 사무소→919 번 지방도 용성면 사무소 방향→20번 국도 만나서 운문댐 방향 우회전→운문면 노재지(대천)에서 좌회전
2) 경부고속도로 상행선 : 삼남(서울산) I.C → 밀양간 24번 국도, 석남사 입구에서 우회전, 운문령 넘어 삼계리 경유→운문사 (승용차로 35분 소요)
3) 청도에서 경주간 20번 국도 → 운문면 소재지→ 운문사(승용차로 45분 소요)
현지교통 : 1) 대구 남부정류장 → 운문사행 : 1시간 간격(1시간 20분 소요)
2) 청도 → 운문사행 : 하루 10회 운행(1시간 소요)
현지숙박 : 청운장여관 054-371-6700
운문파크랜드 054-371-3204
산수장여관 054-373-4335
주변관광지
입 장 료 : 개인 ₩1,300 (단체 ₩1,200) / 청소년 및 군인 ₩700 (단체 ₩600)/어린이 ₩500 (단체 ₩400)
주 차 비
1) 16인 이상 버스 ₩3,000
2) 봉고 및 승용차 ₩2,000
3) 소형경차 ₩1,000
등산코스
1) 운문사 주차장→운문사→대비사→팔풍제→석골사→원서리(8.9km, 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