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로은 삶

내성적인 성격고치는 법

문성식 2014. 1. 20. 04:22


    내성적인 성격고치는 법 ◈ 사실을 직시하라 ▷ 내성적 성격을 극복하려면 정말 싫어하는 생활 태도를 갖도록 자신에게 강요해서는 안 된다. 조용한 것을 좋아한다고 해도 그것이 반드시 내성적인 성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그러나 그 경우, 조용함에 대한 욕구가 타인을 피하고 싶다는 신경증적 충동에 바탕을 두고 있지 않다는 것을 분명히 확인해야 한다. ▷ 만일 내성적인 성격 때문에 타인과 있을 때 불안을 느낀다면 그것을 솔직하게 인정해야 한다. ▷ 결코 자신을 기만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 또한 고독을 좋아한다고 자신을 정당화하지 말아야 한다. ▷ 내성적인 성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왜 자신이 내성적인가, 그리고 그것이 자신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알아내야 한다. ◈ 내성적 성격의 시작 ▷ 타인과의 관계가 고통과 굴욕으로 이어질 때 여러분은 내성적으로 된다. ▷ 이러한 상태는 보통 여러분이 아직 경험이 적고 혼자서 처신하거나 사물의 가치를 올바로 판단할 수 없는 유년기에 시작된다. ▷ 어린 시절에 느낀 긴장이나 불쾌감은 그 불쾌한 경험을 조금이라도 생각나게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면 되살아난다. ▷ 그러나 어쩌면 여러분의 내성적 성격은 사람들과 만날 기회가 적고, 그 때문에 마음의 평정을 잃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처음에는 아무리 불편하게 느껴질지라도, 여러분은 좀더 교제를 넓혀야 한다. ▷ 또한 여러분은 신체적 결함이 있기 때문에 혹은 매력이 없다고 생각하여 내성적인 사람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그러한 열등감은 의식이 자신에게 집중되어 있는 경우 엄청나게 과장된다. 여러분의 관심을 부디 주위 사람들에게 돌리도록 하라. ◈ 마음가짐 ▷ 여러분의 약점이나 어려움에 대해서 항상 건설적으로 대처하라. ▷ 자신을 실패자로 생각하는 것은 주위 사람들의 기분을 상하게 만드는 따분한 인간이 될 뿐이다. ▷ 대부분의 사람들이 실패하는 것은 '태어나면서부터 실패자'이기 때문이 아니라 지나치게 많은 것을 원하기 때문이다. ▷ 칭찬 받고 싶고 주목받고 싶다는 충동을 조절하라. 그러한 충동에 사로잡히면 타인의 마음에 들려고 지나친 걱정을 하거나, 지나치게 긴장하거나, 사람들 사이에서 어색하게 행동하게 될 뿐이다. ▷ '여러 사람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 간주되는 것에 만족한다면 다른 사람과 함께 있어도 훨씬 마음이 편해질 것이다. ◈ 긴장을 조절하라 ▷ 다른 사람이 당신을 주시하거나 비판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말라. 그런 일은 없으니까 말이다. ▷ 긴장하거나 겁먹을 일은 없다고 늘 자신에게 들려 주라. ▷ 하나 하나의 근육을 푸는 동시에 마음의 긴장을 풀어라. ▷ 의식적으로 고상하게 행동하려 하지 말라. 그렇게 하면 자의식 과잉이 되기 때문이다. ▷ 자신의 일을 생각하는 것을 그만두고 타인의 일이나 타인의 대화에 진지한 관심을 갖도록 하라. ◈ 신경과민의 증상 ▷ 불쾌한 일을 해야 할 때에는 잠재의식이 항상 그것을 뒤로 미룰 이유를 만들어 준다. ▷ 그 이유는 처음에는 막연한 불쾌감이지만, 쉴새없이 생각을 집중하고 있으면 차츰 더 강하게 의식되어 마침내는 과장이 되어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난다. ▷ 그 증상은 긴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 이외에는 중요한 의미가 없다. ▷ 그 증상은 중요시해서는 안 된다. 신경을 쓰지 않으면 않을수록 고민이 적어진다. ▷ 자신의 일이나 개인적 감정보다는 다른 사람의 일에 더 많은 관심을 갖도록 노력하라. ◈ 당신과 타인 ▷ 그냥 안면이 있는 사람과 참다운 친구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 ▷ 만나는 사람 모두에게 호감을 받고 싶다든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싶다는 충동을 조절해야 한다. ▷ 타인의 동정을 기대해서는 안 된다. ▷ 타인의 마음의 움직임에 대해서 과민한 것은 감정이 타인에게 좌우당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그것을 바꾸지 않으면 여러분의 마음은 끊임없이 상처를 입게 될 것이다. ▷ 타인이 까다롭게 보이는 것은, 여러분과 마찬가지로 소심함 때문에 고민하고 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 친구의 필요성 ▷ 친구의 기회를 만드는 기회가 될 수 있는 관심이나 취미를 찾아야 한다. ▷ 누군가를 좋아하게 되면 그 사람과의 교제가 즐겁고 좀더 친하게 교제하고 싶다는 심정을 태도로 나타내야 한다. ▷ 친구를, 끊임없이 여러분의 고민을 들어주는 사람으로 대하면 안 된다. 또 그 친구의 관심을 독점하고 싶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 여러분의 동정이나 이해를 아낌없이 친구에게 주어야 한다. 또한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평판을 얻어야 한다. ▷ 친구를 격려자로 생각해야지 자신의 열등감이나 불만감을 메우는 보상 수단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 ◈ 어색한 순간 ▷ 타인의 비평에 신경을 쓰지 말아야 한다. ▷ 정직하게 최선을 다하는 것으로 만족하고 쓸데없는 걱정은 하지 말아야 한다. ▷ 늘 편안한 마음으로 있도록 하고, 타인에게 잘 보이겠다는 희망을 억제해야 한다. ▷ 사려가 부족한 사람이나, 소수이긴 하지만 고의적으로 불친절한 사람과 교제할 때에는, 그 영향으로 열등감을 갖거나 우울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누구에게나 마음이 불편할 때가 있는 법이다. 다른 사람들이 그렇게 보이지 않는 것은 '무표정한 얼굴'로 숨기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