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국보 제16호 |
---|---|
명 칭 | 안동신세동칠층전탑(安東新世洞七層塼塔) |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
수량/면적 | 1기 |
지정(등록)일 | 1962.12.20 |
소 재 지 | 경북 안동시 법흥동 8-1 |
시 대 | 통일신라 |
소유자(소유단체) | 국유 |
관리자(관리단체) | 안동시 |
전탑(塼塔)이란 흙으로 만든 벽돌을 이용하여 쌓아 올린 탑을 말한다. 법흥동에 세워져 있는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법흥사에 속해있던 탑으로 추정되나, 탑 주위로 민가와 철도가 들어서 있어 정확히 확인할 수 없다. 탑은 1단의 기단(基壇)위로 7층의 탑신(塔身)을 착실히 쌓아올린 모습이다. 기단의 각 면에는 화강암으로 조각된 8부중상(八部衆像)과 사천왕상(四天王像)을 세워놓았고, 기단 남쪽 면에는 계단을 설치하여 1층 몸돌에 만들어진 감실(龕室:불상을 모시는 방)을 향하도록 하였다. 진한 회색의 무늬없는 벽돌로 쌓아 올린 탑신은 1층 몸돌에 감실을 마련하였고, 지붕돌은 위아래 모두 계단모양의 층단을 이루는 일반적인 전탑양식과는 달리, 윗면에 남아 있는 흔적으로 보아 기와를 얹었던 것으로 보인다. 기단의 윗면을 시멘트로 발라 놓아 아쉬움을 남기는 이 탑은 7층이나 되는 높은 층수에 높이 17m, 기단너비 7.75m의 거대한 탑임에도 매우 안정된 자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국내에 남아있는 가장 크고 오래된 전탑에 속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지붕에 기와를 얹었던 자취가 있는 것으로 보아 목탑을 모방하여 전탑이 만들어졌다는 것을 입증해 주는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이 탑은 우리 나라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전탑이다. 이 일대의 지명< 地名 >을 법흥리< 法興里 >라 부르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통일신라시대< 統一新羅時代 >에 창건되었다는 법흥사< 法興寺 >에 세워진 전탑< 塼塔 >으로 추정되며 높이는 16.4m 이다. 단층< 單層 >의 기단< 基壇 >은 팔부중상< 八部衆像 >과 사천왕상< 四天王像 >을 조각한 판석< 板石 >을 세워 만들고 탑신부< 塔身部 >는진회색의 무늬 없는 전< 塼 >돌을 쌓아 만들었는데 전의 크기는 길이가 약 28cm, 폭 14cm,두께가 6cm 이다. 각층 지붕 윗 면에는 기와를 이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이는 목탑< 木塔 > 양식< 樣式 >의 수법< 手法 >을 모방< 模倣 >하여 전탑이 조성되었음을 입증해 주는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탑의 윗 부분에는 금동제< 金銅製 > 상륜부< 相輪部 >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나 지금은 없어졌다. |
'한국의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18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榮州 浮石寺 無量壽殿) (0) | 2013.12.31 |
---|---|
국보 제17호 부석사무량수전앞석등(浮石寺無量壽殿앞石燈) (0) | 2013.12.31 |
국보 제15호 안동 봉정사 극락전(安東 鳳停寺 極樂殿) (0) | 2013.12.31 |
국보 제14호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永川 銀海寺 居祖庵 靈山殿) (0) | 2013.12.31 |
국보 제13호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0) | 2013.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