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국보 제13호 |
---|---|
명 칭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
수량/면적 | 1동 |
지정(등록)일 | 1962.12.20 |
소 재 지 |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1174 무위사 |
시 대 | 조선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무위사 |
관리자(관리단체) | 무위사 |
무위사는 신라 진평왕 39년(617)에 원효대사가 관음사라는 이름으로 처음 지은 절로, 여러 차례에 걸쳐 보수공사가 진행되면서 이름도 무위사로 바뀌게 되었다. 이 절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인 극락전은 세종 12년(1430)에 지었으며, 앞면 3칸·옆면 3칸 크기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으며 간결하면서도 아름다운 조각이 매우 세련된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극락전 안에는 아미타삼존불과 29점의 벽화가 있었지만, 지금은 불상 뒤에 큰 그림 하나만 남아 있고 나머지 28점은 보존각에서 보관하고 있다. 이 벽화들에는 전설이 전하는데, 극락전이 완성되고 난 뒤 한 노인이 나타나서는 49일 동안 이 법당 안을 들여보지 말라고 당부한 뒤에 법당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49일째 되는 날, 절의 주지스님이 약속을 어기고 문에 구멍을 뚫고 몰래 들여다 보자, 마지막 그림인 관음보살의 눈동자를 그리고 있던 한 마리의 파랑새가 입에 붓을 물고는 어디론가 날아가 버렸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지금도 그림속 관음보살의 눈동자가 없다. 이 건물은 곡선재료를 많이 쓰던 고려 후기의 건축에 비해, 직선재료를 사용하여 간결하면서 짜임새의 균형을 잘 이루고 있어 조선 초기의 양식을 뛰어나게 갖추고 있는 건물로 주목 받고 있다. 이 건물(建物)은 조선(朝鮮) 초기(初期) 세종(世宗) 12년(1430)에 건립(建立)된 주심포식(柱心包式)의 대표적(代表的)인 불전(佛殿)으로 맞배지붕 형식(形式)을 갖추고 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알맞은 평면(平面) 구성(構成)에 현저(顯著)한 배흘림이 있는 기둥을 세우고 간결(簡潔)하고 아름다운 조각(彫刻)의 공포(공包)를 얹어 가구(架構)를 짰는데 그 수법이 고려기(高麗期) 양식(樣式)보다 세련미(洗鍊美)가 있다. 건물 내부에는 삼존(三尊)을 안치(安置)하고 후불벽(後佛壁)과 양측벽(兩側壁)에는 성종(成宗) 7년(1476)에 그린 벽화(壁畵)가 있어 더욱 내부공간(內部空間)을 장엄(莊嚴)하게 하였다. 고려(高麗) 말기(末期) 건축(建築)에 곡선재(曲線材)를 많이 쓴 데 비하면 이 건물은 직선재(直線材)를 써서 측면관(側面觀)이 간결하면서도 짜임새가 균형을 잘 이루었고 조선 초기 양식을 어느 건물보다 유감 없이 발휘(發揮)하고 있어 주목받는 건물이다. |
'한국의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15호 안동 봉정사 극락전(安東 鳳停寺 極樂殿) (0) | 2013.12.31 |
---|---|
국보 제14호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永川 銀海寺 居祖庵 靈山殿) (0) | 2013.12.31 |
국보 제12호 화엄사각황전앞석등(華嚴寺覺皇殿앞石燈) (0) | 2013.12.31 |
국보 제11호 미륵사지석탑(彌勒寺址石塔) (0) | 2013.12.31 |
국보 제10호 실상사백장암삼층석탑(實相寺百丈菴三層石塔) (0) | 2013.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