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국보 제9호 |
---|---|
명 칭 |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扶餘定林寺址五層石塔) |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
수량/면적 | 1기 |
지정(등록)일 | 1962.12.20 |
소 재 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54 |
시 대 | 백제 |
소유자(소유단체) | 국유 |
관리자(관리단체) | 부여군 |
부여 정림사터에 세워져 있는 석탑으로, 좁고 낮은 1단의 기단(基壇)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신라와의 연합군으로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백제를 정벌한 기념탑’이라는 뜻의 글귀를 이 탑에 남겨놓아, 한때는 ‘평제탑’이라고 잘못 불리어지는 수모를 겪기도 하였다. 기단은 각 면의 가운데와 모서리에 기둥돌을 끼워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을 세워놓았는데, 위아래가 좁고 가운데를 볼록하게 표현하는 목조건물의 배흘림기법을 이용하였다. 얇고 넓은 지붕돌은 처마의 네 귀퉁이에서 부드럽게 들려져 단아한 자태를 보여준다. 좁고 얕은 1단의 기단과 배흘림기법의 기둥표현, 얇고 넓은 지붕돌의 형태 등은 목조건물의 형식을 충실히 이행하면서도 단순한 모방이 아닌 세련되고 창의적인 조형을 보여주며, 전체의 형태가 매우 장중하고 아름답다. 익산미륵사지석탑(국보 제11호)과 함께 2기만 남아있는 백제시대의 석탑이라는 점에서도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며, 세련되고 정제된 조형미를 통해 격조높은 기품을 풍기고 있는 아름다운 작품이다. |
'한국의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11호 미륵사지석탑(彌勒寺址石塔) (0) | 2013.12.31 |
---|---|
국보 제10호 실상사백장암삼층석탑(實相寺百丈菴三層石塔) (0) | 2013.12.31 |
국보 제8호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聖住寺郎慧和尙白月葆光塔碑) (0) | 2013.12.31 |
국보 제7호 봉선홍경사사적갈비(奉先弘慶寺事蹟碣碑) (0) | 2013.12.31 |
국보 제6호 중원탑평리칠층석탑(中原塔坪里七層石塔) (0) | 2013.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