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국보 제10호 |
---|---|
명 칭 | 실상사백장암삼층석탑(實相寺百丈菴三層石塔) |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
수량/면적 | 1기 |
지정(등록)일 | 1962.12.20 |
소 재 지 | 전북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975 |
시 대 | 통일신라 |
소유자(소유단체) | 백장암 |
관리자(관리단체) | 백장암 |
실상사는 지리산 천왕봉 서편에 위치한 절로,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에 홍척(洪陟)이 창건하였다. 이 곳에서 북쪽으로 얼마쯤 가다보면 백장암이 나타나는데, 실상사에 딸린 소박한 암자로, 그 아래 경작지에 이 탑이 세워져 있다. 낮은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각 부의 구조와 조각에서 특이한 양식과 수법을 보이고 있다. 즉, 일반적인 탑은 위로 올라갈수록 너비와 높이가 줄어드는데 비해 이 탑은 너비가 거의 일정하며, 2층과 3층은 높이도 비슷하다. 층을 이루지 않고 두툼한 한 단으로 표현된 지붕돌의 받침도 당시의 수법에서 벗어나 있다. 또한 탑 전체에 조각이 가득하여 기단은 물론 탑신에서 지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조각이 나타난다. 기단과 탑신괴임에는 난간모양을 새겨 멋을 내었고, 탑신의 1층에는 보살상(菩薩像)과 신장상(神將像)을, 2층에는 음악을 연주하는 천인상(天人像)을, 3층에는 천인좌상(天人坐像)을 새겼다. 지붕돌 밑면에는 연꽃무늬를 새겼는데 3층만은 삼존상(三尊像)이 새겨져 있다. 통일신라시대 후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측되는 이 탑은 갖가지 모습들의 조각으로 화려하게 장식하는 등 형식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운 구조가 돋보이고 있어, 당시를 대표하는 아름다운 석탑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기단(基壇) 구조(構造)와 각부(各部) 장식 조각에서 특이한 양식을 보여 주는 전고(全高) 5m의 이형석탑(異形石塔)이다. 기단부(基壇部)는 방형(方形) 대석(臺石)을 놓아서 기단을 삼았으며 그 위로 방형(方形) 3층 탑신부를 올려 놓고 있다. 탑신부(塔身部)에 있어서 아래층 탑신은 폭(幅)에 비해 높이가 높으며 2층, 3층의 탑신은 일반 석탑에서와 같이 감축도가 심하지 않다. 옥개석(屋蓋石)의 옥개받침에 층단을 두지 않은 것도 특이하다. 상륜부(相輪部)는 노반(露盤), 복발(覆鉢), 보개(寶蓋), 수연(水煙)이 완전한 찰주(擦柱)에 겹쳐있는 것도 희귀한 예이다. 탑 전체의 구조가 특이할 뿐만 아니라 각층 탑신 상부에는 목조건축(木造建築)의 두공형(枓공形)을 모각(模刻)하였다 1층 탑신 4면에는 보살상과 신장상 2구 씩을 배치하고 2층 탑신에는 주악천인상(奏樂天人像) 2구씩을, 3층 탑신 4면에는 천인좌상(天人坐像) 1구 씩을 각각 새기고 있어 탑신 전체가 천인(天人), 보살(菩薩), 천왕상(天王像) 등으로 가득 찬 화려한 탑이다. 이상으로 볼 때 탑의 구조가 전형적인 형식에 구애되지 않고 자유로운 설계에 의해 조성된 참신한 통일신라(統一新羅) 하대(下代)의 아름답고 대표적인 석탑의 하나라 하겠다. |
'한국의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12호 화엄사각황전앞석등(華嚴寺覺皇殿앞石燈) (0) | 2013.12.31 |
---|---|
국보 제11호 미륵사지석탑(彌勒寺址石塔) (0) | 2013.12.31 |
국보 제9호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扶餘定林寺址五層石塔) (0) | 2013.12.31 |
국보 제8호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聖住寺郎慧和尙白月葆光塔碑) (0) | 2013.12.31 |
국보 제7호 봉선홍경사사적갈비(奉先弘慶寺事蹟碣碑) (0) | 2013.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