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 봉숭아 효능
뼛속까지 파고드는 약효
토종 흰봉숭아(홑꽃잎)는 요통, 불임증, 생리불순, 대하, 적취, 어혈, 신경통, 신장결석, 요도결석, 물고기 중독, 변비 등의 갖가지 질병에 놀랄 만큼 신비한 효력을 나타낸다.
이 외에도 갖가지 문명 병들 곧 비만증, 과음과식으로 생긴 병, 두통, 공해독으로 인한 병, 체한데, 종기, 소화기 계통의 암 등에도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봉숭아는 침투력이 매우 강한 약초이다. 약성이 뼛속까지 파고 든다 하여 투골초(透骨草)라는 이름이 생겼다.
단단한 각질인 손톱 속까지 붉은 물이 드는 것을 보면 침투력이 얼마나 강한지를 알 수 있다. 봉숭아 꽃잎으로 손톱을 물들이면 그 손톱이 다 자라서 없어질 때까지는 결코 붉은 빛깔이 빠지지 않는다.
봉숭아 꽃잎으로 손톱을 물들이면 마취제를 주사해도 마취가 잘 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므로 열 손톱을 모두 물들이지 말고 새끼손톱 두 개는 남겨두는 것이 좋다. 약효가 뼛속까지 파고드는 성질과 딱딱한 것을 무르게 하는 특성을 잘 활용하면 갖가지 난치병을 고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신장결석이나 요로결석 등 몸 안에서 생긴 돌을 빨리 녹아 나오게 할 수 있고, 역시 딱딱한 덩어리인 암덩어리를 물렁물렁하게 할 수도 있지 않겠는가.
식도암이나 위암에 봉숭아 씨앗을 써서 상당한 효과를 보았다는 임상결과가 있다. 죽은 피가 뭉쳐 생긴 덩어리인 어혈이나 뱃속이 차가워 생긴 덩어리 같은 것도 봉숭아 씨앗을 쓰면 어렵지 않게 풀린다. 신장결석이나 요로결석에는 흰봉숭아씨 30g쯤을 물 1ℓ에 넣고 10분쯤 끓여서 단숨에 마시면 격심한 통증이 두세 시간 뒤면 먿는다.
씨앗을 구하기 어려우면 봉숭아 줄기를 대신 쓸 수도 있다. 물 1.8ℓ에 잘게 썰어 말린 봉숭아 줄기 1냥(37.52g)쯤을 넣고 약한 불로 한 시간쯤 달여서 물이 반쯤으로 줄어들면 미지근할 정도로 식혔다가 단숨에 마신다. 작은 결석이라면 1주일에서 10일, 좀 큰 것은 2주일 넘게 복용해야 녹아 없어진다.
식도암이나 위암 등 소화기관에 생긴 암에는 흰봉숭아 씨앗 30-60g을 물1ℓ에 넣고 물이 반쯤 되게 은근한 불로 달여서 하루에 두 번으로 나누어 마신다. 흰봉숭아 씨앗은 딱딱한 암 덩어리를 물렁하게 할 뿐만 아니라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통증을 없애는 작용도 강하다.
드물게 민간에서 흰봉숭아 씨앗으로 위암에 좋은 효과를 보았다는 예가 있고 중국에서도 봉숭아 씨앗에 몇 가지 약재를 더하여 식도암, 위암, 임파선암 등에 효과를 본 사례가 있다. 말기 암보다는 초기 암에 효과가 더 좋다고 한다. 흰봉숭아씨는 약성이 몹시 급하고 날카로우므로 병이 다 낫고 나면 즉시 복용을 중단해야 한다. 또 태아를 떨어뜨리는 작용이 있으므로 임산부는 절대로 복용해선 안된다. 봉숭아씨에는 기름이 50%쯤 들어있다. 이 기름에는 불포화지방산인 파리나르산이 50%쯤 들어 있다. 이밖에 씨앗에는 사포닌, 쿠에르체틴, 켐페톨 같은 배당체 성분이 들어있는데, 이들 성분들이 염증을 없애고 황색백선균, 황색포도상구균, 용혈성연쇄구균, 녹농균, 티푸스균, 적리균 등 갖가지 균을 죽이거나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돌과 뼈도 물러진다 흰봉숭아씨는 그 약효가 매우 빨리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중국 명나라 때의 본초학자 이시진은 <본초강목>이라는 의학책에서 봉숭아의 약성에 대해 '성질이 급하고 빨라서 뼛속까지 들어가 단단한 것을 무르게 한다. 요리사가 물고기를 끓일 때 봉숭아씨를 몇 개 넣으면 단단한 뼈까지 물러지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고 적었다. 뱃속이 오랫동안 차가우면 죽은피와 몸 안의 노폐물 같은 것이 쌓여서 덩어리가 생기게 된다. 이 덩어리는 몹시 단단한 것도 있고, 정구공처럼 탄력이 있는 것도 있으며, 눌러서 아픈 것이 있고, 아프지 않은 것도 있다. 이런 덩어리를 한의학에서는 적취(積聚)라 부르는데, 체질에 맞지 않은 음식을 오래 먹거나 춥게 지내는 것, 다치거나 얻어맞은 것, 여성의 경우 산후조리를 제대로 못한 것 등 여러 원인으로 생긴다. 여성이 아랫배가 차가우면 임신하기 어려워진다. 자궁이 차가우면 정자와 난자의 수정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수정이 되었다 하더라도 낙태를 하게 된다. 뱃속에 덩어리가 뭉쳐져 있거나 아랫배가 차가워 임신이 되지 않을 때에는 흰봉숭아 줄기나 뿌리 말린 것 40g쯤을 물 1.8ℓ에 넣고 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뭉근하게 달여 하루 두 번으로 나눠 마신다. 대개 10-15일쯤 마시면 몸 안에 쌓인 덩어리가 다 빠져나가고 몸이 따뜻하게 되어 임신할 수 있게 된다. 허리가 몹시 아픈 것, 신경통, 골관절염, 류머티즘관절염에도 흰봉숭아를 쓰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줄기나 뿌리, 잎을 달여 복용하여 어떤 방법으로도 낫지 않던 요통이나 신경통이 아주 짧은 기간에 치유된 예가 적지 않다. 그러나 모든 사람들에게 반드시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므로 봉숭아의 약효를 지나치게 믿지는 말 것이다. 이빨에 닿지 않게 하라 흰봉숭아 씨나 줄기, 꽃, 뿌리, 잎 등을 달인 물을 마실 때에는 치아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치아에 닿으면 이가 물렁물렁해져서 흔들리거나 빠져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흰봉숭아 달인 물을 마실 때에는 빨대를 써 바로 목구멍으로 삼키는 것이 좋다. 씨앗, 줄기, 꽃, 잎, 뿌리 등 어느 부위나 비슷한 효력이 있으므로 절대로 치아에 닿지 않도록 해야 된다는 것을 기억해 두어야 할 것이다. 봉숭아는 성질이 따뜻하므로 대개 몸이 차가운 편인 소음체질이나 태음체질에 좋은 약이다. 특히 여성들의 갖가지 자궁병에 효과가 크다. 봉숭아의 약성에 대해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는 이렇게 적혔다. "봉숭아 씨앗의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간경 폐경에 작용한다. 어혈을 없애고 적(덩어리)을 삭이며 딱딱한 것을 무르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자궁수축작용을 하는 것이 밝혀졌다. 생리가 없는데 적취 타박상 악창 등에 쓴다." 봉숭아의 옹근 풀이나 꽃도 풍기(風氣)를 없애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는 약으로 쓴다. 민간에서는 봉숭아를 매우 다양하게 병 치료에 활용했다. 씨앗은 종기의 고름을 빼내는데, 무좀, 배 아픈데, 머리 아픈데, 돼지고기 소고기 개고기 생선을 먹고 체 한데, 뱀이나 모기에 물린 데, 손가락 곪은 데, 생리가 제대로 안 나오는데 등에 썼고, 줄기는 생선뼈가 목구멍에 걸린 데, 고기 먹고 체한 데, 습진, 여성의 갖가지 자궁질환 등에 썼다. 여러 가지 부인병에는 오골계에 흰봉숭아씨나 꽃잎을 넣고 푹 끓여서 복용하고, 습진이나 무좀에는 흰봉숭아 꽃잎을 술로 우려내어 그 술을 바르며, 갖가지 피부병 종기 종창에는 흰봉숭아 줄기 뿌리 잎을 진하게 달여 고약처럼 만들어 바르면 효과가 있다. 귀하도다, 토종 흰봉숭아여 세상을 구료하라 봉숭아 씨앗은 부러진 뼈를 붙이는데도 효과가 좋다. 뼈가 부러졌을 때에는 먼저 뼈를 잘 맞춘 다음에 흰봉숭아 씨앗을 가루 내어 부러진 부위에 붙이고 헝겊으로 잘 싸매 둔다. 흰봉숭아 줄기나 잎을 날로 짓찧어 붙이거나 말린 줄기를 달인 물로 수시로 씻어도 된다. 흰봉숭아는 접골작용과 함께 진통작용이 있어서 통증 없이 뼈를 빨리 아물어 붙게 한다. 부러지거나 금간 뼈를 더 빨리 아물어 붙게 하려면 토종달걀이나 오골계의 알 흰자위 2-3개에 천일염 한 숟가락, 흰 봉숭아씨 가루 낸 것 한 숟가락을 합쳐 반죽하여 떡처럼 만들어 골절부위에 붙인다. 부러진 뼈가 놀랄 만큼 빨리 아물어 붙는다. 흰봉숭아씨를 구할 수 없으면 토종 달걀과 소금, 참기름만을 써도 효과가 있다. 부러진 뼈가 단 며칠 사이에 엑스레이 사진에 아무 흔적 없이 나아버린 거짓말 같은 예가 여럿 있다. 흰봉숭아는 죽은피를 없애 피를 깨끗하게 하고 새로운 피를 생겨나게 하며 혈액순환을 좋게 한다. 그러므로 중풍을 예방하는데 좋다. 옛 의학책에 흰봉숭아는 풍을 없애고 뭉친 기를 흐트러뜨리며 붉은 봉숭아는 죽은 피를 없애고 아이를 떨어뜨린다고 하였으나 붉은 봉숭아는 독성이 있으므로 약으로 쓰지 않는 것이 좋다. 손발이 늘 차갑고 아랫배가 냉하며 찬 음식을 먹어서 설사가 날 때에는 봉숭아 줄기나 잎을 달인 물로 목욕을 자주 하면 효과가 있다. 몸이 따뜻하게 되어 냉증으로 인한 갖가지 병이 낫는다. 봉숭아줄기나 잎 200-300g을 푹 끓여 그 물을 욕조에 부어 목욕하면 된다. 피부가 부드러워지고 피부 속에 들어 있는 노폐물들도 밖으로 빠져 나온다. 줄기와 잎을 달여 먹으면 변비와 비만증에도 효과가 있다. 그러나 오래 복용하지는 않는 것이 좋다. 가능하면 한 달 넘게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흰봉숭아는 공해독, 뱀독, 벌독, 화학약품독 같은 갖가지 독을 풀어주는 효과도 있다. 특히 뱀에 물렸을 때 줄기를 달여 먹으면 부은 것이 내리고 통증이 없어지면서 차츰 낫는다. 흰봉숭아씨를 소주에 사흘쯤 담가 두었다가 말려서 가루 내어 쓰면 약성이 더 높아지고 독성은 적어진다. 꽃잎도 소주에 담가서 한 달쯤 우려내 그 술을 약으로 쓰는 것이 효과가 더 높다. 어혈이나 뱃속의 덩어리가 뭉친 것 등에 효과가 매우 빠르다. 흰 봉선화는 토종으로 겹꽃으로 피지 않고,홑꽃으로 피어납니다. 요즘은 거의 보기 힘들게 되었다. 있다 해도 겹꽃이 피는 개량종 봉숭아뿐이고, 홑꽃이 피는 토종 흰봉숭아는 거의 찾기 어렵다. 우리나라의 산과 들에는 야생봉숭아 종류가 몇 가지 있는데 이들을 물봉선이라 부른다. 이들 야생물봉숭아들은 대체로 집에서 가꾸는 봉숭아와 약효가 비슷하다. 토종 흰봉숭아 대신 쓸 수 있으나 약효는 다소 약하고 독성은 더 세므로 함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토종 흰봉숭아는 요즘 사람들의 갖가지 병을 물리쳐서 많은 사람을 병고에서 구할 수 있는 귀한 약초이다.
악창과 종기 없애는.... (위암. 불임. 비만 치료효과가 큼) 토종 흰봉숭아 씨앗을 소주에 3일쯤 담가 두었다가 말려서 가루내거나 달여서 사용하면 약성은 더 높아지고 독성은 적어진다. * 단단한것을 무르게하는 데 불가사의한 효력을 발휘하는 토종약초 이다. * 요통, 불임증, 적취, 어혈, 신경통, 신장결석, 요도결석, 물고기 중독, 변비 등의 질병에 신비한 효력을 나타낸다. 1. 생선이나 고기를 삶을때 흰봉숭아 씨를 몇개 넣고 삶으면 뼈가 물렁물렁해 진다. 2. 봉숭아를 "투골초"라고도 하는데 이는 약효가 뼛속까지 침투한다 하여 붙인 이름이다. 3. 봉숭아 씨앗이나 줄기 달인 물을 마실때 주의 해야할 것은 절대로 이빨에 닿지 않토록 해야한다. 이빨에 닿으면 이빨이 물렁해져 빠져버릴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빨대를 이용하여 목 안으로 바로 삼키는게 좋다. 4. 줄기, 잎, 뿌리, 꽃 등도 모두 씨앗과 같은 효과가 있다. 5. 반드시 흰꽃이 피는 토종 봉숭아 만이 갖가지 난치병에 신효한 효력이 있다. 노랑꽃이나 붉은꽃 자주꽃들은 효능은 떨어지고 독성이 강하다. 물봉선의 종류들도 효능은 떨어지고 독성은 더 강하다. 6. 식도암, 위암, 대장암 등 소화기 계통에 생긴 암에는 흰봉숭아 씨앗 30~60Gg을 물 한 대접에 넣고 달여 하루 2번에 나누어 마신다. 7. 신장결석이나 요도결석으로 통증이 심할때는 씨앗과 꽃을 술에 담가 두엇다가 소주잔으로 한잔씩 마시면 두 시간쯤 뒤에 통증이 사라진다. 결석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10~20일이면 결석이 녹아서 뜨물처럼 오줌에 섞여 나온다. ▶ 결석을 녹이며 식도암 위암 대장암에 신효 봉선화는 봉선화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 식물이다. 우리나라에 산이나 계곡 습지에 자생하는 물봉선은 순수 토종 식물이다. 청양해독, 거부(去腐)의 효능이 있어 악창과 피부궤양에 짓찧어 붙인다. 종류도 있다고 전해진다. 봉선화에는 뱀이나 벌레들이 싫어하는 물질이 들어 있어 병충해 예방을 위해 수박밭이나 참외밭에 곳곳이 심기도 하며 장독대 옆에도 분꽃과 함께 심기도 한다. 꽃은 좌우상칭인 ?꽃이다. 꽃받침은 3~5개인데 아래 것은 뿔 모양의 꼬리를 이루고 꽃잎은 5개이다. 수꽃술도 5개이다. 열매는 튀는 열매이다. 씨에는 눈젖이 없다. 2속 400종의 식물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속 5종, 3변종의 식물이 자란다. 씨기름에는 불포화도가 높은 지방산인 파리나르산이 있다. 식물의 높이는 약 60센티미터 되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반투명하다. 여름과 가울에 흰색 또는 붉은색, 가지색 꽃이 핀다. 열매는 타원형인데, 여물면 터져 씨가 떨어진다. 각지에서 꽃보기풀로 심는다. 꽃(봉선화)을 따서 말린다. 씨(봉선자) 즉 여문 씨를 모아 말린다. 꽃에는 라우손과 그의 메틸에테르, 시아니딘, 델피니딘, 펠라르고니딘, 말비딘 등의 안토시안과 켐페롤, 쿠에르세틴이 있다. 씨에 발사미나스테롤, 사포닌, 쿠에르세틴과 켐페롤의 배당체, 싹튼 어린식물에 인돌-3-ㅇ세토니트릴, 줄기에 켐페롤, 쿠에르세틴, 펠라르고니딘과 시아니딘의 3배당체(글루코시드), 잎에 1, 2, 4-트리히드록시나프탈렌-4-글루코시드, 켐페롤과 3-아라비노시드, 뿌리에 시아니딘모노글루코시드가 있다. 또한 줄기를 투골초라하여 아픔멎이약, 염증약, 통경약으로 류마티즘, 타박상, 폐경에 쓴다. 씨를 물과 함께 삼킨다. 이때 이에 닿지 않도록 해야한다. 또한 물고기를 삶을 때 몇 알의 씨를 넣으면 뼈가 물러진다고 한다. 씨가루를 벌레먹은 이에 뿌리면 이가 뽑기 쉽게 흔들리게 된다. 봉숭아 달임약은 3~6그램을 달여서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물고기, 고기를 먹고 중독되었을 때 쓴다. 소화기암에는 씨 30~60그램을 달여 먹는다. 꽃, 잎, 줄기즙은 무좀에 바른다. 한해살이풀이다. 잎은 긴 타원형이고 성긴 톱니가 있다. 노란색 꽃이 핀다. 각지의 산기슭, 습한 곳에서 자란다. 성분은 전초에 플라보노이드, 세릴알코올, 스티그마스테롤, 수지, 타닌질, 쓴맛물질, 68.5mg 퍼센트의 아스코르브산, 씨에 55퍼센트의 기름(기름의 약 32퍼센트는 파리나르산)이 있다. 습관성 관절통, 월경통, 임파선염, 독사에 물린데 등에 치료한다." 불가사의한 효력을 발휘하는 토종약초이다. 봉숭아 중에서도 흰꽃이 피는 토종 흰봉숭아는 요통, 불임증, 적취(뱃속에 딱딱한 덩어리가 뭉쳐 있는 것), 어혈, 신경통, 신장결석, 요도결석, 물고기 중독, 변비 등의 갖가지 질병에 놀랄 만큼 신비한 효력을 나타낸다. 봉숭아 씨는 딱딱한 것을 연하게 하는 작용이 강하다. 생선 가시가 목에 걸렸을 때 봉숭아 씨앗을 가루 내어 물에 타서 마시면 가시가 녹아 없어진다. 생선이나 고기를 삶을 때 흰 봉숭아 씨를 몇 개 넣고 삶으면 뼈가 물렁물렁해진다. 난산으로 고생할 때에도 씨앗 몇 개를 달여 마시면 골반 뼈가 연해져서 쉽게 아이를 낳을 수 있게 된다. 봉숭아를 투골초(投骨草)라고도 하는데 이는 약효가 뼛속까지 침투한다 하여 붙인 이름이다. 봉선화, 금봉화(金鳳花), 봉사, 지갑화(指甲花) 등의 여러 이름이 있다. 봉선화란 이름은 꽃의 생김새가 머리와 날개를 펴고 펄떡이는 봉황새를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봉숭아 씨앗을 급성자(急性子)라고 하는데 약성이 급하여 즉시 효력이 나타나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토종 흰 봉숭아는 갖가지 문명병들 곧 비만증, 과음과식으로 생긴 병· 두통·공해독으로 인한 병·체한 데·종기·소화기 계통의 암·어혈· 신경통·여성의 월경불순·대하·불임증·신장결석·요도결석 등에 효과가 크다. 물고기를 먹고 체했을 때나 생선 가시가 목에 걸려 넘어가지 않을 때, 생선 가시가 살 속에 깊이 박혔을 때에는 봉숭아 씨앗을 가루 내어 마시면 곧 낫는다. 가시가 살갗에 박혔을 때에는 씨앗을 가루 내어 바르면 효과가 있다. 씨앗을 술에 담가 두었다가 그 술을 먹거나 바르면 효과가 더 좋다. 절대로 이빨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다. 봉숭아 가루나 줄기 달인 물이 이빨에 닿으면 이빨이 물렁해져 빠져 버릴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빨대를 이용하여 목안으로 바로 삼키는 게 좋다. 30∼60그램을 물 한 대접에 넣고 달여 하루 두 번에 나누어 마신다. 뱃속에 딱딱한 덩어리가 있을 때와 냉증으로 인한 불임증에는 붕숭아 줄기와 뿌리 말린 것 40그램쯤을 달여서 한번에 맥주 잔으로 한잔씩 하루 세 번 빨대를 사용하여 이빨에 닿지 않게 마신다. 대개 10∼15일이면 딱딱한 덩어리나 냉증이 풀리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하루 세 번 마신다. 대개 줄기를 달여 하루 세 번, 한 달쯤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특히 심한 요통이 있는 불임여성은 봉숭아 줄기와 잎 달인 물을 20일쯤 마시면 요통도 없어지고 임신 가능성도 높아진다. 신장결석이나 요도결석으로 통증이 심할 때에는 씨앗과 꽃을 술에 담가 두었다가 소주잔으로 한잔씩 마시면 두 시간쯤 뒤에 통증이 사라진다. 결석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10~20일이면 결석이 녹아서 뜨물처럼 되어 오줌에 섞여 나온다. 봉숭아 줄기, 잎, 뿌리, 꽃 등도 모두 씨앗과 같은 효과가 있다. 봉숭아에는 붉은 꽃이 피는 것과 노란 꽃이 피는 것, 자주색 꽃이 피는 것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반드시 흰 꽃이 피는 토종 봉숭아만이 갖가지 난치병에 신효한 효력이 있다. 그러나 흰 꽃이 피는 봉숭아는 거의 멸종되어 찾아보기 어렵다." 아래와 같이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는 것을 볼 수 있다. 해납(海蒳), 염지갑초(染指甲草) 대부분의 정원에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봉선화의 뿌리(鳳仙根), 꽃(鳳仙花), 종자(急性子)도 모두 약용한다. 봉선화의 건조한 줄기는 투골초(透骨草)라는 약재료 중에 한가지로 사용한다. 투골초는 중국에서 대극과 식물인 지구엽(Speranskia tuberculata 'Bge' Baill)과 봉선화과 식물인 봉선화 (Impatiens balsamina L.)의 전초를 대표적으로 많이 쓰고 있다. 그 외에도<능소화과 식물인 각호의 전초>, <미나리아재비과 식물인 철선련의 말린 전초>, <콩과 식물인 산야완두, 광포야완두, 가향야완두>, <두견과 식물인 운남백주수의 가지와 잎>을 투골초라고 하여 사용한다. <풍을 제거하고 습을 제거하여 근육과 힘줄을 풀며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능이 있어 풍습 동통, 풍습성관절염, 음낭 습진, 근골의 모든 풍습과 경련, 한습각기, 창선종독, 열독 >치료한다. 하루 12~20그램을 물로 달여 복용하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시 탕액으로 달여 그 약기운을 쏘인다. 주의 사항으로 임신부는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잎은 맛이 달고 쓰며 매우며 독이 조금있다. 풍을 제거하고 혈을 잘 순환하게 하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통증을 완화시킨다. 관절 풍습통, 타박상, 나력, 독사에 물린데, 생건가시가 목에 걸린데, 모든 부스럼, 변비, 오래된 궤양, 습으로 발등이 붓는데, 옹저, 정창을 치료한다. 하루 12~20그램, 신선한 것은 40~8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시 찧어서 붙이거나 달인 물로 씻거나 김을 쏘인다. 봉선화 줄기나 잎을 다린물로 목욕을 하면 몸이 냉한 사람은 몸이 더워진다.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경락을 통하게 하며 단단한 덩어리를 연하게 하고 부기를 가라앉힌다. 풍습성 관절통과 근육통, 수종, 타박상 종통, 목에 생선 가시가 걸린 증상을 치료한다. 뿌리를 가루내어 먹거나 술에 담가 사용한다. 외용시 찧어서 붙인다. 풍을 제거하고 혈을 잘 순환하게 하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통증을 완화시킨다. 풍습으로 인한 반신 불수, 독사에 물린 상처, 허리아픈데, 어깨아픈데, 이뇨, 회지갑 즉 손발톱무좀, 정창, 냉증, 옹저, 월경 중지로 인한 복통, 산후 어혈, 탯속에 죽은 태아를 배출, 골절 동통, 백일해, 토혈, 각혈, 백대하, 항균 작용이 있다. 하루 2~4그램씩 신선한 것은 4~12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가루내어 쓰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시는 찧어서 즙을 귀에 떨구어 넣거나 찧어서 붙이거나 달여서 김을 쏘이거나 씻는다. 손톱에 봉선화 물을 들이면 수술할 때 마취가 잘 되지 않는다고 한다. 간, 폐 2경에 들어간다. 파혈, 소적, 굳은 것을 무르게 하는 효능이 있다. 무월경, 무좀, 대하, 복통, 복통, 돼지고기 쇠고기 개고기 먹고 체한데, 모기물린데, 적괴, 식도암, 외양견종, 목구멍에 뼈가 걸려 내려가지 않는 증상, 독사에 물린데, 벌에 물린데, 생안손, 모든 악창, 모든 화독, 난산, 태의가 내려오진 않을 때, 먹은 음식이 위장으로 내려가지 않고 올라올 때, 치아가 흔들리고 빠질 것 같은 때, 한쪽 또는 양쪽 급성 편도선염, 음낭이 심하게 문드러져 있을 때, 피임작용, 타박상 등을 치료한다. 가을에 성숙과실을 채취하여 열매 껍질 등의 잡물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시 갈아서 가루내어 목구멍에 불어 넣거나 개어서 치아에 붙이거나 달여서 고약으로 만들어 붙인다. 음식을 조리할 때 굳은 고기나 생선도 몇 알의 씨와 함께 넣고 삶으면 연하게 된다. 많이 복용하면 인후를 자극한다. 독성이 있어 30개 이상을 먹으면 사망할 수도 있다. 1회 12~20그램씩 도수가 낮은 술로 복용한다. [강서초약] 다음 더운 물로 양치질을 하면 이빨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닭뼈가 걸려쓸 때 더 좋다. 또는 봉선화 씨앗을 잘 씹어서 삼킨다. 종자가 없으 때에는 뿌리를 써도 좋다. 목구명의 뼈가 빠진 다음 치아가 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더운 물을 마신다. 닭뼈일 때에는 효과가 더욱 좋다. 또는 부스러뜨려 물에 녹여 복용하는 처방도 있다. [세의득효방] 한 시간 후에 상처가 뻣뻣해지면 접골 할 수 잇다. [귀주민간방약집] 하루에 3회 한 번에 3.7그램을 당귀 12그램을 달인 물로 복용한다. [현대실용중약] 따로 피마자를 짓찧어 연령에 따라 발바닥에 붙인다. [빈호집간방] 하루에 2~3회 한다. [민동본초] 녹두만한 크기의 환을 만들어 1회에 8알을 더운 술로 복용한다. 많이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적원방]
봉숭아 줄기, 잎, 뿌리, 꽃 등도 모두 씨앗과 같은 효과가 있다. 봉숭아에는 붉은 꽃이 피는 것과 노란 꽃이 피는 것, 자주색 꽃이 피는 것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반드시 흰 꽃이 피는 토종 봉숭아만이 갖가지 난치병에 신효한 효력이 있다.
개량종 봉숭아들은 약효가 토종봉선화에 훨씬 못 미칠 뿐더러 독성이 있어서 함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물봉선을 야봉선화(野鳳仙花)라고 부르며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아프리카 봉선화에는 원주민들이 잎, 줄기를 삶아 졸여서 소금을 얻는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봉선화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봉숭아과(Balsaminaceae) 이 과의 식물은 한해살이풀이며
봉숭아(Impatiens balsamina L.)의 다른 이름은 봉선화이다.
성분은 씨에 들어있는 지방산의 약 50퍼센트는 불포화도가 높은 파리나르산이다.
작용은 씨 달인 액은 자궁수축작용, 피임작용(배란억제, 산소수축작용)이 있다.
응용은 동의치료에서는 씨를 독풀이, 월경불순에 쓴다.
민간에서는 씨가 물고기뼈를 무르게 한다고 하여 뼈에 찔렸을 때
노랑 물봉숭아(Impatiens noli-tangere L.)의 식물은 높이 약 50센티미터 되는
민간에서는 봉선화가 활혈, 진통, 소종의 효능이 있다고 하여
봉숭아는 단단한 것을 물렁물렁하게 하는 데
봉숭아는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한해살이풀이다.
봉숭아 씨앗이나 줄기 달인 물을 마실 때 주의해야 할 것은
식도암, 위암, 대장암 등 소화기 계통에 생긴 암에는 봉숭아 씨앗
심한 요통이나 신경통, 어혈에도 봉숭아 씨앗이나 잎을 30∼40그램을 달여서
봉선화에 대해서 중국 고의서를 살펴보면
1, 구황본초: 봉선(鳳仙), 소도홍(小桃紅), 협죽도(夾竹桃),
2, 본초강목: 한진주(旱珍珠)
3, 진이약품: 투골초(透骨草), 봉선초(鳳仙草)
4, 분류초약성: 소분단(小紛團)
5, 절강중약수책: 만당홍(滿堂紅)
6, 남영시약물지: 수지갑(水指甲)
7, 중약임수책: 지갑초(指甲草)
봉선화의 개화기는 6~8월이고 결실기는 9월이다.
가장 많이 쓰이는 지구엽과 봉선화에 대한 효능은
봉선화의 전초(봉선)는 여름과 겨울에 채집한다.
봉선화의 뿌리(봉선근)는 맛은 다면서 쓰고 매우며 독이 조금 있다.
봉선화의 꽃(봉선화)은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봉선화의 종자(급성자)는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있다.
하루 3~6그램을 물로 달여서 치아에 닿지 않도록 빨대로 마시거나
주의 사항으로 허약한 사람이나 임신부는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1, 풍습성 관절염 및 통증
신선한 봉선화 전초 40그램을 물로 달여서 술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
2, 타박상
봉선화 전초를 찧은 즙 한 잔을 황주에 풀어 복용한다. [호남약물지]
봉선화 뿌리 적당량을 햇볕에 말려 가루를 내어 1일 1회,
봉선화 씨앗, 침향 각 2그램을 가루내어 더운 물에 타서 복용한다. [민동본초]
3, 독사에 물린 상처
신선한 봉선화 전초200그램을 찧어서 그 즙을 짜서 복용한다. 찌꺼기는 환부에 붙인다. [복건중초약]
봉선화 꽃을 짓찧어 술에 담가 복용한다.[본초강목]
4, 뼈가 목 안에 걸렸을 때
봉선화 뿌리를 잘 씹어 넘기면 뼈도 저절로 내려간다.
5, 수종
신선한 봉선화 뿌리를 매회에 4~5개씩 돼지고기와 같이 달여 복용하면 3~4회만에 효과를 본다. [천주본초]
6, 백일해, 토혈, 각혈
신선한 봉선화 꽃 7~15송이를 물로 달여 복용하거나 빙당을 조금 넣고 달여 복용한다. [민동본초]
7, 손발톱 무좀
흰 봉선화 꽃을 찧어서 붙인다. [섬감녕청 중초약선]
8, 뼈가 부러져 아픔이 심하고 수술이나 접골이 불가능할 때
먼저 침주약(浸酒藥)으로 지통시킨다. 마른 봉선화 꽃 4그램, 신선한 것은 12그램을 술에 담가 복용한다.
9, 월경불순
봉선화 씨앗 110그램을 가루낸 다음 꿀에 반죽하여 환을 만들어,
10, 난산에 해산 촉진을 할 때
봉선화 씨앗 7.5그램을 가루내어 치아에 닿지 않도록 물로 복용한다.
11, 자궁속에 태의가 내려오지 않을 때
봉선화 씨앗을 노르스름하게 볶아 가루내고 황주로 3.7그램을 복용한다. [경험방집]
12, 음낭이 심하게 문드러져 두 개의 고환만 남아 있을 때
봉선화 씨앗과 감초를 가루내어, 참기름에 개어서 바르면 점차 새살이 돋아 나온다. [영남채약록]
13, 치아가 흔들리고 빠질 것 같은 때
봉선화 씨앗을 가루내어 자황석 적은 향을 넣고 아픈 치근에 바른 다음 치아를 뺀다. [적원방]
14, 한쪽 또는 양쪽 급성 편도선염
흰 봉숭아 씨앗을 가루내어 종이로 말은 대롱으로 목구명에 불어넣은 후 입을 다물고 있는다.
15, 먹은 음식이 위로 내려가지 않고 올라올 때
봉선화 씨앗을 술에 3일간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 가루내어, 술에 반죽하여
출처 :사랑방 원문보기▶ 글쓴이 :
'약초, 산나물,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백초의 효능 (0) | 2010.08.29 |
---|---|
산야초의 종류 (0) | 2010.08.29 |
산나물의 종류 (0) | 2010.08.27 |
꾸 지 뽕 나 무 (0) | 2010.08.27 |
토종약초의 효능과 복용법 (0) | 2010.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