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88.jpg 고려 중기의 청자정병. 높이 34.2㎝, 입지름 1.3㎝, 밑지름 9.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려(高麗)시대에 들어서서 그 조형과 기교가 매우 세련되었던 청동은입사포유수금문정병(靑銅銀入絲蒲柳水禽文淨甁) 양식을 청자양각으로 재료를 바꾸어 시도한 작품이다. 따라서 청동정병(靑銅淨甁)과 형태와 곡선 등도 매우 흡사할 뿐더러 장식도문(裝飾圖文)도 같은 내용을 같은 배치로써 다루고 있다.

동체(胴體)의 전면에는 물가의 갈대와 그 밑에서 쉬고 있는 기러기 한 쌍을 새겼고, 뒷면에는 수양버들 아래 쉬고 있는 원앙 한 쌍이 새겨져 있다. 굽다리 가장자리의 버드나무 그루가 서 있는 부위에서 바로 물가가 시작되어 있으므로, 그 이상의 청자 소지(素地)는 수면으로 생각해도 무방하다. 병 목 중간에 있는 넓은 마디의 천부(天部)는 내구(內區)와 외구(外區)로 나누어 내구(內區) 사방에는 운문(雲文) 하나씩을, 외구(外區)에는 당초문대(唐草文帶)를 새겼고, 병 목 언저리에는 여의두문대(如意頭文帶), 병 ·입 ·뚜껑가장자리에는 뢰문대(雷文帶)를 양각했다. 병 목 중간마디에 직립해서 세워진 주구(注口)는 6각으로 모깎기를 했으며, 굽다리는 밖으로 약간 퍼져서 안정된 자세를 보였다.

유약은 회청색으로 발색되어 있으며, 대체로 유조(釉調)가 고르고 전신에 그물무늬의 유열(釉裂)이 나타나 있다. 이 정병(淨甁) 양식이나 같은 계통의 양각기법을 보인 청자 파편은 전남(全南) 강진군(康津郡) 대구면(大口面) 사당리(沙堂里) 요지(窯址)에서 출토된 바 있다.

 

이러한 정병은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정병(靑銅銀入絲蒲柳水禽文淨甁, 국보 제92호)의 양식을 재료를 바꾸어 청자양각으로 시도한 작품으로, 형태와 장식문양의 내용도 비슷하게 포치(布置)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