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 보물 제94호 |
---|---|
소재지 | 충북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1002 |
소재지 | 한수면 |
지정일 | 1963.01.21 |
수량 | 1기 |
시대 | 고려시대 |
소유자 | 국유 |
관리자 | 제천시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사자빈신사지(獅子頻迅寺址)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 높이 4.5m. 기단부에 네 마리의 사자를 원각(圓刻)하여 배치한 특수형식의 석탑이다.
석탑의 구성은 기단부(基壇部)와 탑신부(塔身部)로 이루어져 있는데, 하대석(下臺石) 밑에는 지대석(地臺石)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나 현재는 8각 석재로 대치하여 원형을 잃었다.
하대석은 상부에 갑석(甲石)을 표현한 것처럼 두꺼운 테를 둘러서 부연(副椽 : 탑 기단의 갑석 하부에 두른 쇠시리)을 삼았고, 그 밑에 각 면 3구씩의 안상(眼象)을 조각하여 장식적인 의장(意匠)을 보이고 있는데, 안상 양측의 선이 연장되어 안상 내에 큼직한 꽃모양이 솟아 있는 고려시대 특유의 수법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상면에는 낮은 굄이 있어 기단부를 받고 있다. 기단은 상하 2층으로 구성되었으며, 하층기단 면석(面石)에는 각 면에 양쪽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만이 각출(刻出)되었을 뿐 탱주(撑柱 : 받침기둥)는 마련되지 않았다.
하층기단 갑석은 1매의 판석으로 조성되었는데, 상면은 평평하며 하면에 부연의 표현이 보이나 부연의 형태는 정연한 각형(角形)이 아니고 내면으로 완만한 곡선을 그리고 있다.
상층기단은 이 석탑에서 가장 특색 있는 부분이며 아울러 특수양식의 면을 대표하는 구조로서, 네 귀에 하나씩 모두 네 마리의 원각한 사자를 배치하여 두발(頭髮)로 갑석을 받도록 하고 중심부에는 지권인(智拳印)을 결한 비로자나불좌상(毘盧舍那佛坐像) 1구를 안치하였다.
이러한 양식은 바로 통일신라시대의 화엄사사사삼층석탑(華嚴寺四獅三層石塔)을 모방한 것으로서, 이 밖에도 몇 기의 탑이 더 전해지고 있다.
상층기단 갑석은 평박(平薄)한 1매의 판석으로 만들어졌는데 하면은 하층기단 갑석의 하면에서와 같이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으나 그보다 더욱 얕게 하여 부연을 표시하였다.
상층기단 갑석의 상면에는 방형의 16판복련(十六瓣覆蓮)이 둘려 있는 높은 연화문대(蓮華文臺)를 마련하고 탑신부(塔身部)를 받고 있는데, 이것 또한 고려시대 석탑에서 볼 수 있는 특색이다. 이 중 연판은 복엽복련(複葉覆蓮)으로 판내에는 아무 조식이 없다.
탑신부는 이 복련대 상면에 각출한 1단의 각형 굄 위에 놓였으며, 옥신과 옥개석이 각기 1석으로 조성되었는데 현재는 5층옥신까지만 남아 있다. 초층옥신은 다른 옥신석에 비하여 유난히 크고 높으며 2층부터는 급격히 체감되었다. 각 층 옥신의 양식은 각 면에 양쪽 우주가 새겨진 것 등이 일반형과 같다.
옥개석은 4층까지 남아 있는데 전체적으로 매우 평박하며 각 층 하면에 표현된 3단의 옥개받침도 매우 낮다. 추녀는 전각(轉角)에 이르러 크게 반전(反轉)되었고, 따라서 낙수면의 경사는 극히 완만하여 우동(隅棟 : 탑 옥개석의 귀마루)에서는 거의 수평을 이루고 있다.
옥개석이 평박한 데다 낙수면의 경사가 완만하고 전각의 반전도 심한 편이어서 전체적으로 경쾌한 탑신부를 이루고 있으나, 한편으로 경박한 느낌이 드는 것은 초층탑신이 지나치게 높으며 그 윗부분이 갑자기 위축되어서 서로 조화되지 않는 데서 오는 인상일 것으로 생각된다.
이 석탑은 화엄사사사삼층석탑을 모방하였지만 규모가 축소되고 조형은 위축되었으며 각 부의 조각수법 또한 그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하층기단부 면석에는 해서(楷書)로 10행 79자의 조탑연기(造塔緣記)가 오목새김되어 있는데, 명문에 의하면 본래는 9층이었으며 1022년(현종 13)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탑은 각 부의 구조와 양식, 그리고 조각수법 등에 있어 연대가 확실하여 다른 석탑의 건조연대 추정에 기준작이 되는 탑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도로안내 교통안내
1) 경부고속도로 - 영동고속도로 - 중부고속도로 - 음성 I.C - 금왕 - 충주 - 월악산
2) 중앙고속도로 남제천 I.C - 청풍문화재단지 - 82번지방도 - 수산면 - 36번 국도 - 덕산면 - 월악교 - 597번 지방도 - 송계계곡 - 월악산
3) 중부내륙고속도로 - 충주IC(수안보방향) - 살미 - 한수 - 월악산
현지교통
1)제천에서 송계까지 시내버스 3회 운행, 1시간 40분 소요
2) " 덕주산성까지 택시로 1시간 소요
3)충주에서 송계까지 시내버스 1시간 10분 간격 운행, 50분 소요
4) 동서울에서 송계까지 직행버스 운행, 3시간10분정도 소요
주변관광지
현지숙박
월악유스호스텔(043-651-7001), 민박60여호:한수면사무소 문의(043-640-4169)
국민연금청풍리조트(043-640-7000)
수안보한화리조트(043-846-8211)
수안보상록호텔(043-846-3500)
'한국의 탑,부도,석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91호 여주창리삼층석탑(驪州倉里三層石塔) (0) | 2015.07.26 |
---|---|
보물 제92호 여주하리삼층석탑(驪州下里三層石塔) (0) | 2015.07.26 |
보물 제95호 괴산미륵리오층석탑(槐山彌勒里五層石塔) (0) | 2015.07.26 |
보물 제101호 안국사지석탑(安國寺址石塔) (0) | 2015.07.26 |
보물 제104호 보원사지오층석탑(普願寺址五層石塔) (0) | 2015.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