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 보물 제121호 |
---|---|
소재지 | 경북 경주시 동천동 4 |
소재지 | |
지정일 | 1963.01.21 |
수량/면적 | 1구 |
시대 | 통일신라 |
소유자 | 국유 |
관리자 | 경주시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경상북도 경주시 동천동 굴불사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높이 약 3.5m.
사면석의 각 면에 불상이 조각되어 있어 ‘사면석불’이라 부른다. 동서남북 4면에 불상을 조각하는 것은 사방정토(四方淨土)를 상징한 것으로, 대승불교의 발달과 더불어 성행한 사방불 신앙의 한 형태였다.
불교 경전이나 불상에 나타나는 사방불의 명칭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이 불상의 경우 어느 특정 경전에 의하였다기보다는 당시의 대승불교에서 가장 널리 모시던 불상들을 배치한 것으로 생각된다.
사면석불의 서면에는 서방정토를 주재하는 아미타삼존불, 동면에는 약합을 들고 있는 약사여래, 남면에는 석가삼존불로 추정되는 불상이 있으나, 오른쪽 협시상은 전부 떨어졌다.
북면에는 두 개의 보살상이 있는데, 왼쪽에는 선각(線刻)으로 표현된 십일면의 얼굴과 여섯 개의 손이 달린 십일면육비(十一面六臂)의 관음보살이 있다. 오른쪽에는 부조(浮彫)로 표현된 보살상이 있는데, 형태상의 특징은 없으나 보살 중 장차 부처가 될 미륵보살이 아닌가 추측된다.
이들 사면불상들의 표현 양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서면의 아미타불상은 다른 불상들보다 크며 돋을새김으로 표현되어 있다. 머리는 별개의 돌로 둥글게 조각〔丸彫〕하여 얹었으며, 오른손은 떨어져 나갔다. 법의는 양어깨에 걸쳤고, 앞에는 U자형의 주름이 계단식으로 조각되었는데, 표현이 조금 딱딱하게 되어 있다.
양쪽의 협시보살상은 둘 다 독립된 돌에 둥글게 조각하였다. 오른쪽 보살의 윗부분은 파괴되었고, 왼쪽 보살은 삼굴자세(三屈姿勢 : 한쪽 다리에 무게중심을 두고 균형을 잡은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표현은 삼국시대 말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 통일신라시대에 들어와서는 더욱 유행하며, 불상의 자연스러운 자세를 나타내고, 균형 잡힌 신체 비례를 보여 준다.
삼굴자세 표현의 원류는 인도 굽타시대의 불상에서 시작하는데, 그 양식이 중국의 수나라와 당나라를 거쳐서 우리 나라에 전래된 것이다. 보살의 몸에는 목걸이와 X자형으로 교차된 달개장식이 있으며, 천의나 상의(裳衣 : 치마)의 표현은 매우 자연스럽고, 주존인 아미타불상보다 더욱 세련된 조각 기술을 보여 주고 있다.
남면에 현재 남아 있는 보살상과 불상은 비교적 보존 상태가 좋은 편이다. 형태의 균형도 잘 잡혀 있고 주름이나 몸체의 굴곡 표현이 자연스러우며, 세련된 조각 기술을 보여 주고 있다. 두 개의 불상이 모두 높은 돋을새김으로 조각되었는데 머리 부분과 오른팔이 떨어져 나갔다. 보살상은 오른손 부분이 없어졌다.
불상의 모습은 경주 감산사석조아미타불상(국보 제82호)과 비슷한 형식의 옷주름을 하고 있다. 가는 허리와 도드라진 다리의 윤곽이 더 강조되었고, 주름의 처리가 감산사불상보다는 더욱 간략히 처리되면서 부드러운 곡선으로 이루어졌다. 이렇게 사실감이 더해지면서 신체와 법의가 밀착되어 조화 있게 표현된 것은 8세기 전반기의 통일신라 조각 양식의 한 특징으로 볼 수 있다.
보살상 또한 넓은 어깨, 가는 허리 등 팔다리의 윤곽선이 강조되고, 천의는 부드러운 주름을 이루면서 늘어졌는데, 좀 투박하고 도식적인 느낌이 있으나 감산사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 제81호)에 비하면 훨씬 진전된 조각 양식이다.
동면의 약사여래상은 결가부좌(結跏趺坐)를 하고 있으며, 왼손에는 약합을 들고 있다. 오른손은 약간 파손되었으나 시무외인(施無畏印)을 취하고 있던 것으로 추측된다.
북면의 돋을새김으로 된 보살입상은 높이 틀어 올린 머리에 보관을 쓰고 있다. 손을 든 자세나 천의를 두른 모습이 남면의 보살상과 매우 비슷한 형식이지만, 보존 상태는 별로 좋지 않다. 그 왼쪽에 선각으로 된 보살상은 여섯 개의 손이 있는데, 두 개는 양어깨 위로 올리고, 두 개는 가슴 앞에 모으며, 두 개는 양옆으로 내려진 것이 확인된다.
양쪽 귀 옆으로 두 개의 보살면이 있고, 머리 위에 5면, 그 위에 2면, 맨 위에 1면이 있어, 모두 11면의 얼굴을 가진 십일면육비의 관음보살을 표현하였다. 이는 관음상의 변화형으로 중생들을 제도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능력을 발휘하여 다방면의 신통력을 보여 주는 것을 나타내는데, 약간의 주술적인 요소를 띠고 있다.
사면석불에 십일면육비의 관음보살상이 표현되어 있는 것은 8세기 통일신라시대에 모시던 불상 중에 밀교적 성격을 띠는 불상이 있었음을 보여 주는 매우 귀중한 예이다.
이 사면석불상은 대체로 719년 명(銘)이 있는 감산사석조아미타불입상이나 석조미륵보살입상보다는 더욱 발전된 조각 양식을 나타내고 있어 ≪삼국유사≫에 나타나는 경덕왕대의 연대와 부합됨을 알 수 있다.
발견 당시부터 조각이 이미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조각 양식 면에서 보면 경덕왕대, 즉 742∼765년 사이나 그보다 약간 올라가는 시기에 조각된 것으로 보인다.
4면 중에서 서면의 아미타여래상은 이들 조각군 중에서는 가장 먼저 제작된 불상으로 생각된다. 이 사면석불 중, 남면의 불상과 보살상은 8세기 후반 일본 불상 양식에서도 보이는데, 나라현(奈良縣)의 도쇼다이사(唐招提寺)의 목조불상들과 비슷한 점이 발견된다.
1981년 가을에 이 사면석불의 주위를 발굴하였는데, 이때 서면과 남면의 불상대좌가 노출되었다. 서면대좌는 팔각의 내림연꽃받침이 있고, 남면대좌는 이중으로 된 연화대좌가 팔각의 중대(中臺)로 연결된다.
윗부분은 앙련(仰蓮 : 위로 향하고 있는 연꽃)에 단판(單瓣 : 홑꽃잎)이고, 밑부분은 복련(覆蓮 : 아래로 향하고 있는 연꽃)에 복판(複瓣 : 겹꽃잎)의 받침으로 서면의 불상보다는 복잡하고 장식적이었다.
이 사면석불과 굴불사에 관해서는 ≪삼국유사≫ 권3 탑상(塔像) 사불산굴불산만불산조(四佛山掘佛山萬佛山條)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전한다. “경덕왕이 백률사(柏栗寺)에 행차하여 산 밑에 이르렀을 때, 땅속에서 염불하는 소리가 들리므로 그곳을 파게 하였더니 큰 돌이 나왔다.
그 돌 사면에는 사방불이 조각되어 있어서 그곳에 절을 세우고 굴불사라 이름을 지었는데, 지금은 잘못 전하여 굴석사라 한다.”
'한국의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23호 경주보문리당간지주(慶州普門里幢竿支柱) (0) | 2015.06.13 |
---|---|
보물 제122호 경주두대리마애석불입상(慶州斗垈里磨崖石佛立像) (0) | 2015.06.13 |
보물 제120호 상주증촌리석불좌상(尙州曾村里石佛坐像) (0) | 2015.06.10 |
보물 제119호 상주복용리석불좌상(尙州伏龍里石佛坐像) (0) | 2015.06.10 |
보물 제118호 상주증촌리석불입상(尙州曾村里石佛立像) (0) | 2015.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