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국보 제239호 |
---|---|
명 칭 | 송시열초상(宋時烈 肖像) |
분 류 | 유물 / 일반회화/ 인물화/ 초상화 |
수량/면적 | 1폭 |
지정(등록)일 | 1987.12.26 |
소 재 지 |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
시 대 | 조선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국유 |
관리자(관리단체) | 국립중앙박물관 |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유학자인 우암 송시열(1607∼1689) 선생의 초상화이다. 송시열 선생은 조선의 대표적 성리학자로 힘있고 논리적인 문장과 서예에 뛰어났고 평생 주자학연구에 몰두하여 율곡 이이의 학통을 잇는 기호학파의 주류이었다. 이 초상화는 가로 56.5㎝, 세로 97㎝로 비단바탕에 채색하여 그린 반신상이다. 머리에는 검은색 건을 쓰고 유학자들이 평상시에 입는 옷인 창의를 걸치고 오른쪽을 바라보고 있다. 과장되게 표현된 거구의 몸체와 개성적인 눈썹 그리고 깊게 패인 광대뼈의 주름에서는 학식의 깊이를 느끼게 한다. 얼굴은 엷게 채색한 다음 갈색 선으로 주름을 그렸고 옷의 주름은 부드러운 곡선으로 간결하게 표현하였다. 이 그림 오른쪽에는 그가 45세 때 쓴 글이 있고, 윗쪽에는 정조가 쓴 칭찬의 글인 찬문이 남아있다. 이 두 글에 의해 그의 나이 45세 때 그려진 것이라고도 하고, 깊은 주름과 하얗게 센 수염은 노년의 모습으로 그가 살아있을 때 노년의 모습을 그린 본을 따라 정조 때 옮겨 그려진 것이라고도 한다. 옮겨 그려진 것이라 하더라도 화공의 솜씨가 뛰어나며 명암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표현한 강한 눈매와 숱 많은 눈썹, 붉은 입술 등에서 그의 성품이 보이며 옷의 흑과 백의 대조는 유학자로서의 기품을 더해주고 있다. 그가 죽은 뒤 그를 받들고 추모하는 사람들에 의해 많은 영당과 서원이 건립되었고 그곳에 봉안하기 위한 이모본들이 제작되었는데 현재 5점이 전해지며 그 중에서 이 그림이 제일로 손꼽힌다. |
'한국의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241호 초조본 대반야바라밀다경 권249(初雕本 大般若波羅蜜多經 卷二百四十九) (0) | 2014.01.03 |
---|---|
국보 제240호 윤두서자화상(尹斗緖 自畵像) (0) | 2014.01.03 |
국보 제238호 소원화개첩(小苑花開帖) (0) | 2014.01.03 |
국보 제237호 고산구곡시화병(高山九曲詩畵屛) (0) | 2014.01.03 |
국보 제236호 경주 장항리 서 오층석탑(慶州 獐項里 西 五層石塔) (0) | 201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