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국보 제246호 |
---|---|
명 칭 | 초조본 대보적경 권59(初雕本 大寶積經 卷五十九) |
분 류 |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대장도감본 |
수량/면적 | 1권1축 |
지정(등록)일 | 1988.12.28 |
소 재 지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
시 대 | 고려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국유 |
관리자(관리단체) | 국립중앙박물관 |
대보적경은 대승불교의 여러 경전을 한데 묶어 정리한 것으로, 보살이 여러가지 수행방법을 통해서 불법을 터득하고 깨달음을 얻어 마침내 부처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 책은 고려 현종 때(재위 1011∼1031) 부처님의 힘으로 거란의 침입을 극복하고자 만든 초조대장경 가운데 하나로, 당나라 보리유지(菩提流志) 등 17인이 번역한 120권 가운데 권 제59이다.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종이를 길게 이어붙여 두루마리처럼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세로 30㎝, 가로 47㎝의 종이를 23장 이어붙인 것이다. 초조대장경은 이후에 만들어진 해인사대장경(재조대장경 또는 고려대장경)과 비교해 볼 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목판의 새김이 정교한 반면에 해인사대장경과 글자수가 다르고 간행연도를 적은 기록은 없으며, 군데군데 피휘(避諱:문장에 선왕의 이름자가 나타나는 경우 공경과 삼가의 뜻으로 글자의 한 획을 생략하거나 뜻이 통하는 다른 글자가 대치하는 것)와 약자(略字)가 나타난다. 또 초조대장경은 책의 장수를 표시하는데 있어서 대체로 ‘장(丈)’자나 ‘폭(幅)’자를 쓰는 데 비해 해인사대장경은 ‘장(張)’자로 통일되어 있다. 이 책도 장수를 표시하는데 있어 ‘장(丈)’자를 쓰고 ‘경(竟)’자의 마지막 한 획이 생략되는 등 초조대장경의 특징이 나타나고 있으며, 종이질과 인쇄상태로 볼 때 11세기경에 찍어낸 것으로 생각된다. |
'한국의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248호 조선방역지도(朝鮮方域之圖) (0) | 2014.01.03 |
---|---|
국보 제247호 공주의당금동보살입상(公州儀堂金銅菩薩立像) (0) | 2014.01.03 |
국보 제245호 초조본 신찬일체경원품차록 권20(初雕本 新纘一切經源品次綠 卷二十) (0) | 2014.01.03 |
국보 제244호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17(初雕本 瑜伽師地論 卷第十七) (0) | 2014.01.03 |
국보 제243호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1(初雕本 顯揚聖敎論 卷十一) (0) | 201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