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국보 제218호 |
---|---|
명 칭 | 아미타삼존도(阿彌陀三尊圖) |
분 류 | 유물 / 불교회화/ 탱화/ 불도 |
수량/면적 | 1폭 |
지정(등록)일 | 1984.08.06 |
소 재 지 | 서울 용산구 한남동 747-18 삼성미술관 리움 |
시 대 | 고려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삼성문화재단 |
관리자(관리단체) | 삼성미술관 리움 |
아미타불을 주존으로 하고 그 옆에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 있는 아미타삼존도로 가로 51㎝, 세로 110㎝ 크기의 불교그림이다. 아미타삼존도란 중생을 보살펴 극락으로 인도하는 부처인 아미타불을 주존으로 하여 보통 관음보살과 세지보살이 협시되는데, 이 그림에서는 지장보살이 세지보살을 대신하고 있어 매우 특이하다. 아미타불은 화면 아래에 극락왕생한 사람을 바라보며 빛을 비추고 있고 오른쪽에 있는 지장보살은 오른손에 구슬을 들고 서 있다. 관음보살은 아미타불 앞에 나와 허리를 약간 구부리고 손위에 연꽃대좌를 들고 있는 모습이며, 금가루로 나타낸 선은 화려한 붉은색과 녹색의 옷이 조화를 이룬다. 이 그림은 두 가지로 해석되고 있는데 하나는 염불을 잘하는 사람이 아미타불에 의해 극락으로 인도되는 내영도(來迎圖)로 보는 입장이고, 다른 하나는 극락왕생한 사람이 장차 부처를 이루게 될 것을 인정하는 수기도(授記圖)로 보는 입장이다. 고려 후기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이 그림은 세지보살대신 지장보살을 배치한 것이나, 아미타불의 앞에 관음보살을 배치한 점, 극락왕생한 사람을 빛을 비추어 강조한 점 등에서 독특한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금가루를 이용한 화려한 채색과 세련된 얼굴표정의 표현기법이 일찌기 유례가 없는 솜씨를 보여주는 매우 귀중한 작품이다. |
'한국의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220호 청자상감용봉모란문개합(靑磁象嵌龍鳳牡丹文蓋盒) (0) | 2014.01.03 |
---|---|
국보 제219호 청화백자매죽문호(靑華白磁梅竹文壺) (0) | 2014.01.03 |
국보 제217호 금강전도(金剛全圖) (0) | 2014.01.03 |
국보 제216호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0) | 2014.01.03 |
국보 제215호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31(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貞元本 卷三十一) (0) | 201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