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불화,탱화

선운사

문성식 2011. 1. 27. 03:19

 

선운사

 


도솔산은 선운산(禪雲山)이라고도 하며, 조선 후기 선운사가 번창할 무렵에는

89개의 암자와 189개에 이르는 요사(寮舍)가 산중 곳곳에 흩어져 있어 장엄한 불국토를 이루기도 하였다.

도솔산 북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는 선운사는 김제의 금산사(金山寺)와 함께

전라북도의 2대 본사로서 오랜 역사와 빼어난 자연경관, 소중한 불교문화재들을 지니고 있어

사시사철 참배와 관광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특히 눈 내리는 한겨울에 붉은 꽃송이를 피워내는 선운사 동백꽃의 고아한 자태는

시인ㆍ묵객들의 예찬과 함께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선운사의 창건에 대해서는 신라 진흥왕이 창건했다는 설과 백제 위덕왕 24년(577)에

고승 검단(檢旦, 黔丹)선사가 창건했다는 두 가지 설이 전하고 있다.

첫 번째 설은 신라의 진흥왕(재위기간 540∼576)이 만년에 왕위를 내주고

도솔산의 어느 굴에서 하룻밤을 묵게 되었는데, 이때 미륵 삼존불이 바위를 가르고 나오는 꿈을 꾸고

크게 감응하여 중애사(重愛寺)를 창건함으로써 이 절의 시초를 열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당시 이곳은 신라와 세력다툼이 치열했던 백제의 영토였기 때문에

신라의 왕이 이곳에 사찰을 창건하였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따라서 시대적ㆍ지리적 상황으로 볼 때

검단선사의 창건설이 정설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검단스님의 창건과 관련해서도 여러 가지 설화가 전해오고 있다.

본래 선운사의 자리는 용이 살던 큰 못이었는데 검단스님이 이 용을 몰아내고 돌을 던져 연못을 메워나가던 무렵,

마을에 눈병이 심하게 돌았다. 그런데 못에 숯을 한 가마씩 갖다 부으면 눈병이 씻은 듯이 낫곤 하여,

이를 신이하게 여긴 마을사람들이 너도나도 숯과 돌을 가져옴으로써 큰 못은 금방 메워지게 되었다.

이 자리에 절을 세우니 바로 선운사의 창건이다.

검단스님은 "오묘한 지혜의 경계인 구름[雲]에 머무르면서 갈고 닦아 선정[禪]의 경지를 얻는다" 하여

절 이름을 '禪雲'이라 지었다고 전한다.

또한 이 지역에는 도적이 많았는데, 검단스님이 불법(佛法)으로 이들을 선량하게 교화시켜

소금을 구워서 살아갈 수 있는 방도를 가르쳐주었다.

마을사람들은 스님의 은덕에 보답하기 위해 해마다 봄ㆍ가을이면 절에 소금을 갖다 바치면서

이를 '보은염(報恩鹽)'이라 불렀으며, 자신들이 사는 마을이름도 '검단리'라 하였다.

선운사가 위치한 곳이 해안과 그리 멀지 않고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이곳에서 염전을 일구었던 사실 등으로 미루어보아,

염전을 일구어 인근의 재력이 확보되었던 배경 등으로 미루어 검단스님이 사찰을 창건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선운사 일주문

 

산문을 지나 길을 따라가면 일주문이 나온다.
일주문(一柱門)은 사찰이 시작되는 것을 알리는 알림의 문으로

부처님을 향한 진리는 하나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선운사 일주문

 

선운사 일주문

 

선운사 일주문 편액

 

백제 27대 위덕왕 24년(577)에 검단(檢旦, 黔丹) 스님이 선운사를 창건한 뒤 통일신라기의 역사는 전하지 않으며,

고려 공민왕 3년(1354)에 효정(孝正) 스님이 퇴락한 법당과 요사를 중수하였다.

조선시대에 절을 크게 중창한 이는 행호 극유(幸浩克乳) 스님이다.

1472년(성종 3) 선운산의 한 암자에 머물며 수도하고 있던 행호스님은,

구층 석탑만이 외롭게 남은 채 폐허화된 선운사를 보고 안타까이 여겨 중창을 발원하였다.

이듬해(1473년) 제자 종념(終念) 스님과 함께 상경하여

성종의 작은아버지 덕원군(德源君)에게 중창의 뜻을 밝히고 도움을 청하자,

덕원군은 재물과 함께 직접 원문(願文)을 써주었다. 이에 나주 보을정도(寶乙丁島)에 가서

재목 1천여 그루를 구하고 봄부터 가을까지 기와 20여 가마를 구워,

1474년 가을에 2층의 장륙전(丈六殿)과 관음전(觀音殿)을 완공하였으며

이듬해 봄에는 선왕(先王)의 영혼을 추모하는 수륙재(水陸齋)를 크게 열었다.

 

1476년에는 천불대광명전(千佛大光明殿)을 조성하였고, 1481년에는 모든 건물의 단청을 마쳤을 뿐만 아니라

지장전(地藏殿)ㆍ동상실(東上室)ㆍ금당(金堂)ㆍ능인전(能仁殿)을 짓고 영산회(靈山會) 등

53불회탱(五十三佛會幀)을 조성하였다. 이와 같이 10여 년에 걸친 극유스님의 중창불사로 인해

선운사는 옛 모습을 되찾아, 숭유억불의 조선사회에서도 왕실의 원찰(願刹)로서 법등(法燈)을 환히 밝히게 되었다.

그러나 100여 년이 지난 1597년(선조 3)의 정유재란 때 어실(御室)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불에 타서 잿더미로 변하고 말았다.

이후 1608년(광해군 즉위년)부터 2년간 승려 수십 명이 근근이 선방과 요사를 마련하고,

수년 동안 힘을 모아 법당 3칸을 지었다.

이러한 사정을 안타까이 여기고 있던 무장현감 송석조(宋碩祚)가, 선운사의 어실은 왕실의 재(齋)를 여는 곳이었으므로

나라의 도움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하여 1613년(광해군 5) 봄 일관(一寬) 스님에게 중창을 의논하였다.

이에 일관스님은 원준(元俊) 스님과 힘을 합하여 수많은 집을 돌며 시주를 모으고,

어실을 구실삼아 도백(道伯)으로부터 고창 문수산의 재목을 얻어 보전(寶殿) 5칸을 세운 다음,

상하 누각과 동서 양실(兩室)을 건립하였다.


곧이어 법당ㆍ천불전ㆍ지장전ㆍ능인전 등을 창건하여 1619년까지 6년에 걸쳐 사찰의 골격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로도 일관ㆍ원준스님 등의 뜻을 이어받은 스님들에 의해 중수와 중건이 계속되어

1620년에 정문ㆍ향운각(香雲閣)과 1624년에 천왕문(天王門)을 세우고 1634년 법당에 삼존상을 조성ㆍ봉안하였으며,

1658년에 시왕전(十王殿), 1659년에 해납료(海納寮)ㆍ삼선료(三仙寮), 1676년에 약사전(藥師殿),

1677년에 나한전(羅漢殿), 1678년에 극락전(極樂殿), 1682년에 칠성료(七星寮)ㆍ청심료(淸心寮),

1691년에 대승전(大乘殿) 등을 창건하였다.
이 무렵 절에서 수행하던 대중은 무려 260여 명에 달하여 당시 사찰의 규모와 위세를 짐작할 수 있다.

이어 1693년에 동운암(東雲庵)을 창건하고 1699년에 미륵전(彌勒殿),

1705년에 관음전ㆍ양계료(養鷄寮)ㆍ양봉료(養鳳寮), 1706년에 팔상전(八相殿), 1709년에 한산전,

1713년에 장육전 등을 창건하였다.

선운사에서는 특히 걸출한 고승대덕(高僧大德)들이 많이 배출되어 사격(寺格)을 드높였다.

조선 후기 화엄학의 발전에 큰 발자취를 남긴 설파 상언(雪坡尙彦) 스님과 선문(禪門)의 중흥주로

추앙받는 백파 긍선(白坡亘琁) 스님을 비롯하여, 구한말의 청정율사 환응 탄영(幻應坦泳) 스님,

근대불교의 선구자 박한영(朴漢永) 스님 등이 선운사에서 수행하면서 당대의 불교를 이끌어갔던 것이다.

현존하는 전각은 대웅보전과 관음전ㆍ영산전ㆍ팔상전ㆍ명부전ㆍ산신각ㆍ만세루ㆍ천왕문이 있고,

대웅보전 앞에는 6층 석탑과 괘불대ㆍ당간지주ㆍ석주 등이 있으며,

산내암자로는 참당암(懺堂庵)ㆍ도솔암(兜率庵)ㆍ동운암(東雲庵)ㆍ석상암(石上庵) 등 네 곳이 있다.

선운사 대웅보전은 보물 제290호로 지정되어 있고, 영산전목조삼존불상ㆍ육층석탑ㆍ범종ㆍ만세루ㆍ백파율사비 등이

지방문화재로 등록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사내에 있는 선운사박물관에는 금동지장보살좌상(보물279호)을

 비롯한 고려불상, 조선시대 탱화, 『석씨원류』ㆍ『선운사사적기』 등 문화재가 전시되어 있으며,

경내의 동백나무숲ㆍ장사송ㆍ송악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선운사 전경

 

선운사 전경

 

선운사 전경

 

선운사 전경

 

선운사 전경

 

선운사 전경

 

선운사 전경

 

선운사 전경

 

선운사 관음전 낙성법회 날이라 많은 불자들이 왔다.

 

선운사 전경

선운사 천왕문

 

천왕문(天王門)은 앞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 지붕 건물이다.
2층 누각 건물인데, 아래층에는 4천왕상이 있으며, 위층에는 종과 법고가 있다.

선운사 천왕문

 

선운사 천왕문

 

선운사 천왕문

 

선운사 사천왕

선운사 사천왕

 

선운사 천왕문 편액

 

선운사 대웅보전

 

대웅보전(大雄寶殿)은 선운사의 중심 전각이다.
정면 5칸, 측면 3칸이며, 구조는 다포(多包) 형식이지만 맞배 지붕을 얹은 조선 중기의 건물이다.
건물 구조의 특징을 보면 측면에는 공포가 없는 대신 기둥 두 개를 높이 세워 대들보를 받치도록 하였으며,

기둥과 기둥 사이의 간격이 넓고 건물의 앞 뒤 폭은 오히려 좁아서 옆으로 길면서도 안정된 모습을 지니고 있다.

조선 중기의 건축물답게 섬세하고 다포의 짜임새가 장식적이다.
보물 제290호이다.

선운사 대웅보전

 

선운사의 본전(本殿)으로서 신라 진흥왕 때 세운 것으로 전하며,

지금 있는 건물은 조선 성종 3년(1472)에 중건하여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다가

광해군 5년(1613)에 다시 지은 것이다.

건물의 평면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규모로 긴 장방형 평면을 이루고 있고,

전체적으로 기둥 옆면 사이의 간격이 넓고 건물의 앞뒤 너비는 좁아 옆으로 길면서도 안정된 외형을 지니고 있다.
다포계(多包系) 맞배지붕에, 벽의 양 측면에는 풍우를 막기 위해 널판으로 풍판(風板)을 대었다.

막돌로 허튼 쌓기를 한 얕은 기단 위에 막돌 초석을 놓고 약한 배흘림이 있는 두리기둥을 세웠다.


정면의 모든 칸에는 빗살 창호를 달았으나 후면에는 중앙 칸에만 창호를 달고

양 측면의 협칸에는 교창(交窓)을 달았다. 동쪽 면은 모두 벽체로 처리하고 서쪽 면에는 외짝 출입문을 달았다.
내부는 통칸으로서 불벽(佛壁)을 한 줄로 세워 그 앞에 불단을 만들었다.

선운사 대웅보전

 

선운사 대웅보전

 

선운사 대웅보전

 

선운사 대웅보전 삼존불

선운사 대웅보전 편액

 

선운사 대웅보전 삼존불 비로자나불 아미타불 약사불

 

불단 위에는 흙으로 빚은 소조(塑造) 삼세불을 봉안하고 삼존 사이에는 근래에 조성된 보살입상을 협시로 세웠다.
삼존은 중앙의 비로자나불을 주존(主尊)으로 하여, 왼쪽에 아미타불과 오른쪽에 약사불을 모셨다.

삼존불상 뒤의 후불벽화는 1688년(숙종 14)에 조성한 것으로,

중앙의 비로자나불회도를 중심으로 좌우에 아미타회상도·약사회상도가 각각 자리 잡고 있다.

천장에는 사실감이 돋보이는 커다란 운룡문(雲龍紋)이 그려져 있고,

안쪽 천장에는 우물 정(井)자 모양을 한 우물천장을 설치하여 구름ㆍ학ㆍ연꽃 등으로 장엄하였다.

내부 벽에는 산수ㆍ비천ㆍ나한 등을 벽화로 장식하였고,

닫집과 중앙의 불단 등은 비교적 간략하고 단순한 모습이다.

이 건물은 미술사적으로 조선 후기의 뛰어난 건축기술과 조형미를 지니고 있다.

 

선운사 대웅보전 비로자나불

 

선운사 대웅보전 삼존불

 

선운사 대웅보전 아미타불

 

선운사 대웅보전 약사불

 

 

선운사 대웅보전 신중탱

 

선운사 찾아오는 길

 
(1) 고창 → 선운사 : 직행 8회, 군내버스 24회 운행. 30분 소요(20km)
(2) 흥덕 → 선운사 : 직행 4회, 군내버스 50분 간격 운행. 35분 소요(16km)
(3) 정읍 → 선운사 : 직행 4회 / 50분 소요(34km)
(4) 광주 → 선운사 : 직행 8회 / 1시간 30분 소요(72km)
 
(1) 서해안 고속도로 선운사 I.C. → 선운사
(2) 광주출발 ⇒ 호남 고속도로 장성 위에서 장성-고창간 고속도로 진입 → 서해안 고속도로 선운사 I.C. → 선운사

출처 :가장 행복한 공부 원문보기   글쓴이 :참마음 님

'사찰,불화,탱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추의 순창 강천사  (0) 2013.12.11
금산 보리암  (0) 2013.12.11
선운사  (0) 2011.01.27
선운사  (0) 2011.01.27
선운사 동운암 (禪雲寺 東雲庵)  (0) 2011.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