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가 이미 신하된 몸으로 나라의 원수를 아직 갚지 못하고, 백성의 원한을 갚지 못하였으니, 살아도 사는 것이 아니며 죽어도 한이 남는지라 풀려나기를 바라지도 않으니 속히 죽여 달라.-선생의 공술 중에서(《대한매일신보》 1908년 6월 11일자)-
충북 제천에서 자라면서 동학농민군과 의병들의 항전을 목격
이명하(李命夏) 선생(1878.1.23~1921.2.2)은 고종 15년 단기 4212년 무인년 경기도 광주군 궁촌에서 출생하셨다. 서울 시내 남동쪽 외곽에 있는 강남 일원동을 지나 수서 방향으로 가는 4차선 국도 좌측 편으로 잘 단장된 많은 묘지들이 보이는데, 이곳이 바로 궁촌(宮村)이라는 곳이다. 이곳이 세종대왕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 후손들의 세거지로 종문(宗門) 700여 기의 묘소가 있어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8호로 관리되고 있다. 옛 주소는 경기도 광주군(廣州郡) 대왕면(大旺面) 궁촌이다. 선생의 친부(親父)는 이인협(李寅協)으로 어떤 일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기록이 없다.
그러나 후에 양부(養父)가 되는 백부 이인규(李寅奎)는 진사가 된 뒤 별시 문과에 합격했으며, 안악(安岳)·신계(新溪)·장연(長淵) 등지의 군수를 역임하고 정3품 벼슬까지 지냈다. 이를 볼 때 단순히 왕족 계보에만 속해 있던 평범한 사대부 집안은 아니었다. 실질적으로 정무에 참여했던 관료 집안 출신이라는 점에서, 당대에는 추앙 받는 사대부 집안의 전형적인 양반계층이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선생이 장성하여 백부 이인규의 양자로 들어가는 것을 보면, 친부 이인협도 시대에 걸 맞는 학식과 집안환경을 갖춘 정통 사대부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선생은 바로 이러한 집안의 전통과 환경 속에서 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 선생의 자는 우문(又文)이고, 어린 시절의 이름은 주윤(柱允)이며, 호는 몽학(夢鶴)이다. 어려서부터 총기를 발휘한 선생은 일찍부터 면학에 힘썼고, 그러는 가운데 전통적인 선비정신을 수양하며 성장할 수 있었다. 선생이 부모와 함께 제천으로 이주해 와 한문공부를 시작한 것은 1887년 9세 때였다. 이주해 온 곳의 주소는 충청북도 제천군 금성면(錦城面) 산곡리(山谷里) 639번지로, 제천 시내에서 상당히 떨어진 외진 곳이었다. 선생의 친부인 이인협(李寅協)이 당시 혼란한 시국으로 인해 서울을 피해 심신을 편히 할 수 있는 곳을 찾다가 선생의 조부 이재연(李在淵)의 고향인 제천으로 하향했던 것이다.
선생은 이사한 지 1년 후인 10세가 되는 1888년부터 4년간 유인석(柳麟錫) 선생 문하에서 한학공부에 전념하였고, 그러는 가운데 세상을 보는 혜안을 갖게 되었다. 16세 때인 1894년에는 동학농민군이 일본 침략군과 정부군에 저항하다 패전하고 마는 상황을 볼 수 있었고, 그들을 이어 의병이 기의(起義)하는 모습을 또한 주시할 수 있었다. 18세가 되는 1896년 2월에는 대스승인 유인석이 호좌의진의 의병대장으로 추대되어 항일 투쟁에 나서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장렬히 싸우는 의병들의 기개를 보면서 자신도 의병에 뛰어들고 싶은 느낌을 체험하였다. 그러나 의병전쟁에 참여할 틈도 없이 의병들은 곧바로 일본군의 지원을 받는 관군에 밀려 북상을 하게 되는 비운에 처했고, 선생은 이런 모습을 목격하며 비분을 감추지 못했다.
다음 해인 1897년 3월 중국 동북지역 회인현 호로두(胡蘆頭)로 이사하여 살고 있던 유인석 일행이 고종황제의 초유문을 받고 귀국하게 되었다. 그러는 와중에 유인석은 그를 수행하며 따르고 있던 문하생인 백삼규(白三圭)·박재관(朴在觀)·우병렬(禹炳烈)·최락구(崔洛九) 등과 함께 잠시 제천지역을 들르게 되었다. 이 소식을 접하게 된 선생은 당시 19세였는데, 이들을 찾아가 교류하면서, 여러 국내외 사정을 듣고 그들의 용감한 행동과 결단을 부러워하기에 이르렀다. 1898년 윤 3월 유인석 일행은 귀국한 지 꼭 1년 만에 다시 요동으로 가게 되었다. 이때 74명의 제자들이 따라 나서자 20살이 된 선생도 이들을 따라 북상의 길에 동참하고자 했으나 그에 대한 기대가 컸던 부모는 선생을 적극적으로 만류하였고, 그 바람에 그만 북상을 포기하고 말았다.
선생은 의병의 길 원했으나, 부모는 안정된 관료의 길을 선생에게 권유
그러는 가운데 성년의 나이가 된 선생은 혼기가 되어 이곳 마을의 유지인 정씨 집안의 딸 정운이(鄭雲伊)와 결혼하게 되었다. 성혼을 하여 이제 어른이 된 선생은 많은 것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나라를 구하기 위해 의병에 참가해야 하는 열정이 내면에 웅크리고 있었지만, 가문을 지키기 원하는 부모의 마음을 물리칠 수가 없었고, 이제 성혼까지 했으니 가정에 대한 책임감이 그를 내리 눌렀다. 그러나 백부의 양자가 되어 서울로 가기 전까지도 선생은 의병들에 대한 흠모의 정을 떨치지 못했고, 더불어 그들과 친분관계를 유지하며 계속해서 교류하였다. 그러나 선생의 마음이 편할 리가 없었다. 자신이 교제하는 동문이나 선후배들 모두가 의병이 되어 일제에 목숨을 걸고 투쟁에 나서고 있는데, 자신만 편안히 고향에서 지내고 있는 것은 선비의 양심상 참을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러한 아들의 심리상태를 모를 리 없던 부모는 아들의 마음을 돌이킬 수 있는 방법을 택하지 않으면 안 되었으니, 그것은 고향인 이곳을 떠나 서울로 올려 보내는 것이었다. 당시에는 이미 과거제도도 폐지되어 새로운 제도로 관료를 뽑고 있어 서울이 아니면 관료의 길로 들어설 수가 없는데다가, 자칫 의병에게 아들을 빼앗길 위험도 있다는 불안감에서 결국 서울에 있는 백부 이인규에게 양자로 들여보내는 수밖에는 없었던 것이다. 이렇게 결정한 선생의 부모는 백부의 양자로 들어가라고 큰아들에게 말하니, 부모의 명을 거역할 수 없던 당시의 상황에서 선생은 식솔을 거느리고 서울로 올라갈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연유로 해서 서울로 올라오게 된 선생은 성균관에 다니면서 관료의 길로 들어설 수 있는 공부에 전념해야 했다. 당시의 성균관은 조선 본래의 성균관이 가지고 있던 성격에다 근대화를 이루기 위한 새로운 제도를 시행하는 교육기관으로 나아가고 있던 상황이었기에, 선생의 입장에서는 유학과 신식학문을 동시에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성균관 마치고 주사가 되어 충북 제천에서 동명학교 세우고 계몽 활동
선생은 3년제 규정에 따라 1901년 성균관을 졸업하고 새로운 관리등용법에 맞춰 시험을 치렀으며, 그 결과 주사(主事)라는 관직에 오르게 되어 1902년 친부모가 있는 제천으로 금의환향하게 되었다. 선생이 제천군 주사로 부임하는 해는 1902년으로 일제가 한국 침략을 위해 그 수순을 착착 밟아가던 때로서 아직은 명확하게 일제의 검은 마수가 눈에 띄지 않던 시기였다. 이러한 시국을 익히 잘 알고 있던 선생은 자신의 직무에 충실하면서도 먼저 이러한 시국에 대한 정세를 국민들에게 인식시키기 위해 본격적으로 계몽운동에 뛰어들었다. 그는 무엇보다도 시골 백성들이 배워야 시국을 보는 눈도 열릴 것이라고 보고 교육사업에 매진하였다.
그러나 아무리 관직에 있다고 하더라도 교육사업을 혼자서 하는 데에는 많은 경비와 노력이 필요했으므로 다른 사람들의 협조가 필요했다. 그리하여 교육사업에 동참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탐문하면서 사람들을 찾아냈으니, 바로 황학수(黃鶴洙)·구연학(具然學)·김진태(金鎭泰) 등과 같은 유지들이었다. 이들과 함께 동명학교를 세워 이 지역 백성들에게 계몽교육을 시키니 그 영향은 상당히 컸다.
그러는 사이에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되고, 1906년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가 제1대 통감이 되었다. 그는 한국을 좀 더 효과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1907년 ‘정미7조약’을 체결하여 2,080여 명의 일본인을 관리로 임명한 후, 각 중요 기관에 배치하면서 대한제국의 통치권을 수중에 넣고자 했다. 소위 ‘차관정치’라는 것이 그것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같은 해 12월에는 한국정부의 관제와 지방의 관제를 개혁했다. 이제는 각 지방 관서에도 일본인을 앉히려는 수작이었다. 그러한 자리는 주로 행정권을 실질적으로 움직이는 서기관(書記官), 경시(警視), 경보(警輔), 주사(主事) 등이었다. 이를 통해 전반적으로 행정체계를 확 바꿔버렸던 것이다. 선생도 이 시기에 자신의 밑으로 들어온 일본인에게 일일이 감시나 참견을 받아야 하는 수모를 겪어야 했다. 그러자 주사직을 과감히 박차고 나온 선생은 이강년 의병진에 참여하게 되었다. 선생이 이강년 의진에 참여한 사실은 1908년 6월 11일자 《대한매일신보》에 「의병장의 공술 열렬」이라는 제목으로 “의병대장 이강년씨 부하로 수종(隨從)하던 이명하(李明夏)씨가 감옥서(監獄署)에 징수(徵囚)하고 있었는데, 일전에 대심원(大審院)에서 압송하여 일인(日人) 검사가 출석 취조하였다”고 하는 자료가 이를 증명해 주고 있다.
정미 7조약 이후 일인들 수 천 명, 조선 관료들을 간섭하고 선생은 참견 받다가 의병의 길로
의병진에 몸을 던지자 선생을 맞이한 의병진에서는 그가 전투 경험이 아직 없고, 또한 그의 경력과 신분 등을 고려하여 오히려 의병을 확충하는데 필요한 병력을 모으는 일이 적합하다고 생각해서 소모장(召募將)이라는 직책을 맡겼다. 선생은 소모장으로 단양·영춘·청풍 일대에서 의병부대를 이끌며 일본 군경에 완강하게 저항하는 무장투쟁을 지속하였다. 그러한 활동을 하는 동안 선생이 속한 의병부대는 친일 관리인 안동관찰사, 단양·영춘·청풍군수 등을 참살하였다.
이렇게 의병으로 맹활약하는 가운데 1907년 11월 이은찬·이구채·이인영·허위 등을 중심으로 ‘13도 창의군(倡義軍)’이 결성되어 전국 각지의 의병장들에게 “경기도 양주에 집결하여 서울 진공작전을 펴 이토 히로부미와 결판을 내자”는 통문이 돌게 되었다. 이강년 의진도 통문을 받고 참가하기 위해 양주로 향하게 되었다. 12월 10일 북상 길에 오른 이강년 의진은 경기도 접경지역까지 왔지만, 약속한 시점인 1907년 말까지 양주에는 도착하지를 못했다. 양주로 가기 위해 제천을 통과하던 중 일본군의 급습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부득이 평창을 거쳐 태백산맥을 따라 북상하는 험난한 길을 택해야 했다. 이 길도 일본군과의 교전은 언제나 기다리고 있었다. 더구나 1906년 병오년에 봉기한 의병들은 이미 두 번의 겨울과 수많은 전투를 치르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그러는 가운데 무참하게 전사하거나 부상을 당한 자가 수두룩했다. 특히 일제의 엄청난 화력 앞에서 사기도 점점 떨어져 이제는 일본군에 대항하기보다는 그들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 이리저리 쫓겨 다니는 형세로 전환되었기에, 전국적인 의병진의 연합을 추구했던 이강년의 계획은 수포로 돌아가게 되었던 것이다.
일제에 피체된 이명하 선생의 심문상황을 알리는 기사(《공립신보》1908년 11월 4일자). 일제 검사는 심문과정에서 선생에게 “지금이라도 굴복하면 곧 놓아주려 하였더니, 오히려 항복하지 아니하니 마땅히 사형에 처한다.”고 말하였다. 이에 선생은 “남아가 이 세상에 나서 나라의 원수를 갚지 못하고, 백성의 원한을 풀지 못하였으니 산들 무엇하며 죽은들 또한 무엇을 한하랴. 네가 만약 방종코져 아니하거든 당장 죽이더라도 내가 조금도 겁낼 일이 없노라.”고 말하며, 끝까지 굴복하지 않았다.
그러나 의병진의 이러한 심각한 상황을 그대로 둘 수 없었던 이강년은 의병진영의 폐단을 줄이고 힘도 모아보자는 차원에서 참모(參謀)와 종사(從事)를 각지로 보내 어려운 의병진을 구하는 일에 나섰다. 선생도 당시 참모나 종사 등의 위치에 있었으므로 이러한 일을 하기 위해 타 지역으로 다니며 활동하던 중 피체되고 말았고, 이강년 또한 피체되어 사형당해 순국하였다. 한동안 감옥에서 생활을 하던 선생이 어떻게 석방되었는가에 대해서는 자료가 없어 구명할 길이 없으나, 대체로 1909년 말 아니면 1910년 초 경에 출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것은 연해주에 있던 스승 유인석이 국내 진공을 위해 1910년 6월 21일(음 5월 15일) 13도의군(十三道義軍)을 조직하고 도총재(都總裁)로 추대되어 국내 진공 작전을 실시하려는 것에 맞춰서 총 42명의 동지들과 연합하여 의병과 해산 군인들을 모으는 「통문」에 7월에 서명 반포한 데서 알 수 있다. 선생은 이러한 통문을 전국에 반포하면서 재차 의병으로서 일어날 것을 외쳤지만, 이미 대한제국의 운명은 되돌릴 수 없는 지경으로 떨어지고 말았으니, 마침내 일본의 식민지 국가로 전락하게 되었던 것이다.
국내 의병 활동 한계 부딪히자 만주로 이동, 일본군 열차 급습 등 50여 차례의 무장 투쟁
이렇게 되자 의병에 몸담고 있던 사람들은 자신의 신변에 위협을 느끼고는 모두 만주지역과 연해주지역으로 망명을 떠나게 되니, 이제 국내에서의 활동 공간은 더욱 좁아질 수밖에 없었다. 선생 또한 마찬가지였다. 그리하여 선생도 다른 의병들과 마찬가지로 유인석 등 지인들이 있는 남만주지역을 향해 망명을 떠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전후 사정을 감안해 볼 때, 선생은 먼저 유인석 문하의 의병들 중, 특히 1907년부터 유격대장이 되어 황해도 서남 일대를 휩쓸고 다니며 일제의 간담을 써늘케 하고 있던 이진룡 의병장을 찾아 서북지역으로 가서 함께 활동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이진룡과 선생은 한 살 차이로 선생의 나이가 많지만, 이진룡의 부인이 제천 사람이고, 이진룡의 장인인 우병열과 선생과는 돈독한 교류를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 관계로 다른 누구보다도 이진룡과의 관계는 매우 두터웠던 것이다.
이러한 연고로 이진룡 의진에 합류한 선생은 다시 무장활동 대열에 뛰어들게 되었고, 그러는 가운데 경의선 계정역의 철도를 봉쇄하고 일본군 열차를 습격하여 적의 보급선을 차단하는 등 50여 차례에 걸친 무장투쟁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갔던 것이다. 그러자 일제는 그들을 잡는데 혈안이 되어 많은 병력을 동원하여 1911년 9월 하순부터 11월 초순까지 약 한 달간에 걸친 ‘대토벌’을 황해도 지역에서 자행하였다. 그 결과 이진룡 부대원 250여 명의 의병이 희생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이진룡 의병장이라 할지라도 더 이상 버틸 수 없게 됨에 따라 그들은 만주 서간도지역으로 망명하여 새로운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해 나가게 되었던 것이다.
대한독립단, 1919년 남만주 제1사단 병력 1500여명 갖추자 일제는 ‘경신대토벌’ 자행
1911년 10월 압록강을 넘어 만주로 망명한 이진룡은 처가 가족을 데리고 다른 의병 가족 13가구와 함께 관전현 청산구(靑山溝) 은광자촌(銀鑛子村) 자루골로 이주해 왔다. 그는 이곳에서 자루골 민둥산 황무지를 개간하여 농사를 지으면서 식량을 짊어지고 산속에 매복해 있는 선생 등 의병들에게 가져다 주는 등 새로운 방식의 투쟁을 전개해 나갔다. 이들은 한 곳에 정착하지 않고 일제에 대항하는데 좋은 조건이 구비된 지역을 오가면서 무장투쟁을 하였다. 그러한 대표적인 곳으로서는 평정산(平頂山) 난천자(暖泉子) 고려구(高麗溝), 요녕성 환인현 만족자치현 보락보진(普樂堡鎭), 관전현(寬甸縣) 청기산진(靑倚山鎭), 관전현 우모오(牛毛塢)·홍통구(弘通溝)·향로구(香爐溝)·하로하(下露河)·합니하(哈泥河) 등지를 들 수 있다. 이처럼 여러 지역을 다니며 활동을 전개해 나가는 가운데 국내에서 3·1운동이 일어났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러한 영향 하에서 서간도 지역에서도 1919년 3, 4월을 전후하여 만세운동이 각 지역에서 일어났다. 이러한 만세운동의 과정을 살피던 의병세력들은 효과적인 독립운동을 위해서는 이들 대중의 힘이 필요함을 느끼게 되었고, 이들 대중을 움직이고 이끌어 가기 위해서는 통합된 독립운동단체의 조직이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그 결과 1919년 4월 15일 각 지역에 산재해 있던 보약사·농무계·향약계·포수단 등의 대표 및 다른 의병계열의 인사 등 560여 명이 자신들의 단체를 해체하고 유하현 삼원보 서구 대화사(大花斜)에다 본부를 두는 대한독립단을 창단하였다. 이는 기존의 단체들을 통합하여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자 하는데 그 취지가 있었다. 대한독립단은 의병을 기간으로 하며 한국으로부터 계속해서 건너오는 많은 청년들을 받아들여 남만주 제1사단이라는 무장조직을 갖추었다. 이 사단은 본부와 4개의 중대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1919년 8월 중순에 이르면 이미 병력이 1,500명이나 되었다. 이때 선생은 삼도구에 있던 제3중대에 배속되었다. 남만주 제1사단 소속의 각 중대 병력은 수시로 자신들이 주둔하는 곳을 떠나 압록강을 건너 한국 영내로 들어가 일본 군경의 주재소를 습격하고 친일분자들을 처단했다. 선생 또한 여러 차례 중대장인 백송암(白松菴)을 따라 국내로 진입하여 일본 군경과 전투를 벌여 많은 전과를 올렸다.
이처럼 한국독립군이 급속히 성장하자 일제는 경악과 공포심을 금치 못하게 되었다. 그러자 그들은 이러한 공포감을 떨쳐내야 했고, 또한 황군의 체면을 다시 살리기 위해 동북의 독립군을 철저히 소탕하려는 작전을 세웠으니, 소위 ‘경신대토벌(庚申大討伐)’이 그것이다. 일제는 5개 사단에 25,000명의 병력을 동원해 멋대로 압록강과 두만강을 건너와 동만과 남만에 대해 대토벌을 진행했다. 일본군은 먼저 동만(東滿)지역으로 들어와 대토벌을 진행하기 시작했고, 그리고는 이어서 남만에 대한 토벌을 진행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일본군의 토벌작전은 이들 지역에서의 한국독립운동을 거의 초토화시켰다. 그리하여 동만 지역에 있던 독립군부대는 러시아지역으로 넘어가 재기를 도모했으나, 남만에 있던 많은 한국독립군 부대와 민단(民團) 등은 일본군에게 토벌되어 분산되기에 이르렀다. 선생 등 제3중대 대원들은 비록 일본의 대토벌이 남만 등지에서 진행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는 있었다. 하지만 그들이 국내진공작전을 끝내고 원래의 주둔지로 돌아오는 과정에서 이러한 토벌과 맞부딪치게 되었기에, 본대가 유하(柳河)의 본진을 떠나 어디로 갔는지 알 수가 없게 되었다. 그리하여 선생이 몸담고 있던 제3중대 대원들은 의주군에 머무르며 이들의 행방을 탐문하게 되었다. 그러는 가운데 전세가 불리하게 돌아가자 제3중대 대원들도 하나 둘씩 떠나 버리게 되어 해산되기에 이르렀다.
대한독립단 경고문(1919.07). 이명하 선생이 참여했던 대한독립단에서 발표한 경고문으로 일제의 만행을 폭로하고, 우리 민족의 항일 봉기를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수세 맞은 독립군, ‘분산하여 타격한다’는 새로운 원칙 하에 대오 해체하여 투쟁
보합단은 1920년 5월 하순 평안북도 의주군 비현면(枇峴面) 정산동(停山洞) 김중량(金仲亮, 金時晄)의 집 뒤 산에 있는 굴을 임시 근거지로 하여 성립되었다. 그러다가 9월경이 되면서 세력이 더욱 강화되었다. 당시 의주 지역에 은신하고 있던 선생은 이때를 전후하여 박초식(朴初植) 등 일부 대한독립단원과 함께 보합단에 가입한 것으로 보인다. 보합단에 가입하기 전에도 선생은 이미 8월에 보합단원들과 평안북도 용천군 외상면(外上面) 안평동(安平洞)의 박초식 집에서 폭탄을 제조하여 이를 들고 용천·의주·선천 등으로 가서 친일파 관리 및 부호들을 위협하며 군자금을 모집한 일이 있었다. 또한 화창(火槍)과 수창(手槍)을 선천·철산·용천·의주 등지에서 구입하여 일제의 행정기관을 파괴하고 밀정 등을 숙청하는 일도 있었다. 이들은 대개 2·3명이 1조가 되어 권총 1정씩을 휴대하고 활동을 하였는데, 이렇게 소규모 조로 나눠서 활동했던 것은 적의 추적을 피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조직의 발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렇지만 결국 근거지가 발각되자 그들은 적을 피하기 위해 2개의 대열로 나뉘어 타지로 이동해야 했다.
이동 도중에 일본 군경 수백 명이 보합단원들을 습격해 오는 바람에 치열한 전투가 벌여졌다. 전후로 협공을 받는 곤경에 처하게 된 보합단원들은 다수가 희생되거나 포로가 되었다. 다행히도 선생 등 보합단의 대부분 단원들은 다른 곳으로 간신히 이동할 수가 있었다. 이처럼 간신히 사지를 탈출하게 된 선생 등 단원들은 모두가 함께 이동하는 것이 무리라는 점을 잘 알고 있었기에, 여러 조로 나뉘어 사방으로 흩어지며 살길을 모색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런 과정에서 선생 등은 자신들이 처음 도강한 후 익숙해 있던 관전지역으로 와 작전을 수행하고자 했다. 그러는 가운데 1920년 10월 일본 육군 제19연대가 또 다시 동변도(東邊道) 조선인 거주지구에 대해 토벌작전을 감행하였다. 선생 일행은 일본군에 대처하면서 계속해서 자신들의 거점을 이동해야 했고, 그러는 가운데 중국 안동지역으로까지 내려오게 되었다. 안동지역은 원래 한인들이 중국으로 이주할 때 반드시 지나야 하는 통로이기 때문에 한인들에게 있어서 지형이 아주 익숙한 곳이고, 또한 많은 한인들은 물론 한인들과 친숙한 중국인들이 많이 살던 곳이었다. 또한 이곳에는 무분별한 친일 앞잡이들이 대량으로 양산되던 곳이라 이들을 척결하기 위한 첫 번째 대상지역이기도 했다. 그렇기 때문에 보합단원을 비롯한 여러 단체의 독립운동가들이 위험을 무릅쓰고서라도 안동지역으로 왔던 것이다.
선생, 중국 안동에서 새로운 활동 근거지 만들다가 포위한 일본군과 비타협적인 최후의 격전
선생을 비롯한 대원들도 이제 자신들의 운명을 감지하게 된 상황에서 마지막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해야 한다는 비장한 각오 하에 안동으로 오게 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또 일본군의 대토벌로 피난을 하며 투쟁을 하는 상황에서 안동은 그들의 굶주림과 무기를 해결해 주고, 일본 경찰의 동태를 직접 파악하며 활동에 대처할 수 있는 곳이라는 전략적 측면도 고려했기에 이 지역으로 내려왔다고 볼 수 있다. 1921년 2월 2일 선생 및 전우인 백학원·안중석·김근배·박초식 등은 안동현 삼도구만(현 중국 요녕성 단동시 진안구)에 와서 군수품 등을 마련하던 중 일본영사관 분관의 한 관원 경찰을 암살하였다. 이때 일경에 발각되어 의주대안의 안동현 삼도구만 부근으로 밀려가 대치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일경 대장인 오카무라[岡村] 경부보(警部補)와 한인 순사 주계주(朱啓柱, 혹은 朱桂守)를 사살하고 수 명에게 부상을 입히는 등의 전과를 올렸다. 그러나 이 소식을 접한 일본 경찰은 곧바로 평안북도 제3부 경찰대와 의주경찰서에서 다수의 응원대를 급파하였고, 안동현에서 수 명의 응원 경관을 파견하여 지원하는 바람에 아군의 피해도 커서 단원 7명 중 3명이 피살되는 피해를 입어야 했다. 그리고 선생 등 생존 단원들은 전사한 단원들의 시신도 거두지 못한 채 다른 대원들이 은거하고 있던 구련성 부근의 소운수(蘇雲樹, 혹은 蘇雲朱)라는 중국인 집으로 이동하여 난국을 헤쳐 나갈 수 있는 전략회의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뒤를 밀착해 쫓고 있던 일본군 탐정이 이들의 은거지를 알아내고 일본군에게 알리자 의주 대안에 있던 평북 의주경찰서와 평북 제8부 경찰대 30여 명이 습격을 가해 왔다.
전략회의에 몰두하고 있던 선생 등 다른 단원들은 미처 피할 사이도 없이 소운수 집을 요새로 하여 일본군경에 대처해야 했다. 물샐 틈 없이 포위한 일본 경찰과 교전을 벌인 끝에, 결국 이 전투에서 안중석·백학원·안용봉·박초식·정인복·김근배 등 1개 소대 병력에 해당하는 15인과 함께 선생도 2일 경에 전몰되고 말았다. 조국을 위한 살신성인의 장렬하고도 의로운 순국이었다.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 자료 제공
- 국가보훈처 http://www.mpva.go.kr
- 자료 제공
- 국가보훈처 공훈심사과 채순희 사무관
'인물과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승희(李承熙, 1847. 2. 19 ~ 1916. 2. 27) (0) | 2015.08.31 |
---|---|
권인규((權仁圭, 1843.7.12~1899.11.6) (0) | 2015.08.23 |
채응언(蔡應彦, 1883~1915.11.4) (0) | 2015.08.23 |
신숙[申肅, 1885.12.29(음력)~1967.11.22] (0) | 2015.08.23 |
엄항섭(嚴恒燮, 1898.10.15(음력 9.1)~1962.7.30) (0) | 2015.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