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 보물 제188호 |
---|---|
소재지 | 경북 의성군 단촌면 관덕리 889 |
소재지 | |
지정일 | 1963.01.21 |
수량/면적 | 1기 |
시대 | 통일신라 |
소유자 | 국유 |
관리자 | 의성군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관덕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 높이 3.65m.
지대석(地臺石)은 너비 1.81m의 화강석 석탑이다. 2층기단 위에 건립된 일반형 3층석탑이면서, 석탑의 기단과 탑신에 장식이 풍부하다. 4석으로 지대석을 짜고 중석 또한 4석으로 둘렀다.
중석에는 각 면 1주씩 탱주(撑柱 : 받침기둥)를 놓아 양분하였고, 낮고 넓은 각 면에 비천상(飛天像)을 1구씩 돋을새김하였다. 그 위에 4매석으로 구성된 갑석(甲石)을 상면에 호형(弧形)과 각형(角形)의 굄을 나타내어 상층기단 중석을 받고 있다.
이 중석은 각 면 1석이고 중앙에는 넓은 탱주가 있어 양분하였으며, 양분된 각 면에는 좌측에 사천왕상(四天王像), 우측에 천부상(天部像)을 돌아가며 돋을새김하였다. 갑석은 1매의 판석으로 덮었으며 밑에는 부연(副椽 : 탑 기단의 갑석 하부에 두른 쇠시리)이, 상면에는 탑신굄이 호형과 각형의 2단으로 되었다.
탑신부의 옥신(屋身)과 옥개석(屋蓋石)은 각기 1석씩이며, 옥신에는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를 나타내었다. 초층옥신에는 4면 모두 보살입상(菩薩立像)을 조각하였다. 옥개석의 추녀 밑은 신라 석탑의 공통된 방식을 따라 직선을 이루고, 낙수면(落水面)에는 경쾌한 반전(反轉)이 있다.
옥개석의 층급받침은 초층과 2층이 4단이며 3층은 3단이다. 상륜부(相輪部)는 노반(露盤 : 탑의 최상부 옥개석 위에 놓아 복발·앙화·상륜 등을 받치는 장식)이 있으나 이를 거꾸로 놓아 이상하게 되었다.
원래는 상층기단 갑석 네 귀퉁이에 암수 2구씩 4구의 석사자(石獅子)가 있었으나 이들 중 암수 2구는 없어지고 나머지 2구는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보관 중이다. 그 중 1구는 새끼를 껴안고 젖을 먹이는 아사포유형(兒獅抱乳形)의 특이한 형식이다.
탑의 4면에 동물을 등장시키는 예는 경주 분황사모전석탑(芬皇寺模塼石塔)이 가장 앞선다고 하겠으나 이 같은 형식이 신라 하대에까지 연결되고 있다. 대체로 8세기 이후 신라 석탑은 차츰 장식적 수법이 나타나기 시작하나 그 본격적 시기는 9세기 이후로 짐작되며, 그중 이 석탑은 신라 하대 9세기에 예속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까지 석탑에 나타나는 부조상은 2면1구, 4면4구, 4면8구 등으로 구획되어 인왕·사천왕·팔부중(八部衆)의 조각을 나타내었으나, 이 석탑은 상층기단에 사천왕과 천부중을 복합적으로 나타낸 특수형식이다. 즉, 신라 하대에 이르러 부조상의 배치형식에 다소의 변화를 가져온 형식이다.
다만 이 탑은 신라 상대에서와 같은 웅대한 기상은 없으나 각 부에 많은 부조상을 등장시킨 화려한 탑이며, 조각수법은 가냘프나 신라 하대의 아름다운 탑이다. 전체적 비례는 각 면에 나타난 입상의 조각으로 인하여 더욱 고준한 편이지만 대신 부조상 조각에 충실하였다.
'한국의 탑,부도,석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85호 무량사오층석탑(無量寺五層石塔) (0) | 2015.07.23 |
---|---|
보물 제186호 경주남산용장사곡삼층석탑(慶州南山茸長寺谷三層石塔) (0) | 2015.07.23 |
보물 제189호 송림사오층전탑(松林寺五層塼塔) (0) | 2015.07.23 |
보물 제223호 도피안사삼층석탑(到彼岸寺三層石塔) (0) | 2015.07.23 |
보물 제224호 비인오층석탑(庇仁五層石塔) (0) | 2015.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