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과 역사

이이(李珥, 1536~1584)

문성식 2015. 6. 11. 12:50

이이 개혁안 주장, 동·서인 갈등 해소에 노력한 조선 중기 학자

이이 이미지 1

이이(李珥, 1536~1584)는 어려서는 신동으로, 성장한 뒤에는 9번의 과거에 장원급제한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이이는 당시 사회를 큰 병을 앓고 있는 사회로 진단하며 여러 부면에서 경장론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경장을 위해서는 국론 통일이 필요하다고 하며 조제보합론을 주장하였다.

9번의 과거에 장원 급제

한국 역사상 위대한 많은 인물들이 있지만 그 가운데 이이만큼 우리에게 잘 알려진 인물도 많지 않다. 대개 어릴 때부터 접하는 각종의 한국 위인전에서 시작해 긴 시간의 학창 생활을 보내면서 교과서와 각종 매체를 통해 그 인물과 활동, 그리고 사상 등에 관해 듣고 배우기 때문이다. 어디 그뿐인가. 이이는 현재 우리와 일상생활에서 항상 호흡을 같이하고 있지 않는가! 애환과 시비가 교차되는 화폐 속 인물로써 말이다.

이이, 그는 임진왜란 이전 국방력 강화를 위해 10만양병설을 주장하였던 선각자였다. 또한 어려서는 신동으로, 성장한 뒤에는 모두 9번의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이라 불리며 그 우수함과 뛰어남이 인구에 회자되고 있다. 또한 주기설을 주창하며 퇴계 이황과 쌍벽을 이루는 대유학자로서, 근엄하고 단아한 풍모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서울 출신 이이가 강릉에서 생활한 이유는?

이이는 1536년(중종 31) 강릉 외가에서 태어났다. 오늘날 강릉의 명소로 꼽히는 오죽헌의 몽룡실이 바로 그곳이라 한다. 오죽헌은 모친인 신사임당이 거주하던 집이었다. 신사임당은 이이의 부친인 이원수와 혼인하고서도 37살 되던 해 집안 살림을 맡아 하기 전까지는 서울의 시가보다는 친정에서 주로 살았다. 이런 풍습은 16세기까지 우리나라의 보편적 결혼 풍속과 관련된 것으로, 당시까지는 남자가 여자 집에 가서 혼인하여 자식을 낳고 이내 계속 생활하는 게 일반적이었다. 이를 남귀여가혼(男歸女家婚)이라고도 한다. 이이가 6살 때까지 강릉 오죽헌에서 생활하게 된 것은 이런 까닭이었다.

오죽헌 내 몽룡실은 이이가 태어난 방으로, 신사임당이 용의 꿈을 꾸고 그를 낳았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강릉에서 외조모의 사랑을 독차지하며 생활하던 이이는 6살 때 서울 본가로 왔다. 본래 이이 집안은 파주에 선산과 함께 화석정(花石亭) 등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조부가 벼슬을 하지 못했고 부친 또한 낮은 관직을 전전긍긍한 이유로 넉넉한 가정형편은 아니었다. 물론 집안이 구차하였다고 하여 이이의 가문이 한미했던 것은 아니었다. 개성 밑 덕수를 본관으로 하는 이이 가문은 16세기에 크게 일어나서, 이이 증조부의 6형제 중 이의무의 아들 이행과 이기가 각기 중종 명종 때 좌의정과 영의정을 지냈으며 그 아들들이 청요직에 진출한 것이다. 물론 이들은 이 시기에 새로이 대두하던 사림들과는 정치성향을 달리하여서 이행의 경우 언로를 막는다 하여 조광조로부터 탄핵을 받았고, 특히 이기는 명종 초 외척 윤원형과 결탁하여 을사사화를 일으킨 장본인이었다. 그들은 흔히 말하는 훈척계였다.

정신적 방황 끝에 얻은 진리

훈척적 성향을 보이던 이이의 가문은 그러나 서서히 사림계열로 전환하였다. 이이 스스로 지적하듯이 “마음 속으로는 요순시대를 그리워하고 몸으로는 유학의 실행에 힘쓰며 항상 바른 말”을 하는 사림이 되었다. 물론 그런 이이에게도 정신적 방황기가 있었다. 모친을 여읜 후 한 때 불교에 깊이 빠져 입산할 정도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정신적 갈등과 방황은 이이에게 인간적인 성숙과 함께 단지 경전을 들추거나 시 구절을 짓는 데에 머물게 하지 않고 장차 국가를 경영할 통유(通儒)로서의 자기 수련과 경륜을 쌓게 하는 토대가 되었다.

예안의 도산으로 퇴계 이황을 찾아가 도학적 분위기에 고무되고 평생의 지기인 우계 성혼과 함께 성리설의 탐구에 마음껏 몰두한 것이 바로 이때였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관직에 나가서 그가 펼쳤던 경세론이 이 기간에 형성될 수 있었다. 그의 향리인 파주에는 명종초 을사사화로 죄를 입었다가 귀양에서 풀려난 백인걸이 살고 있었다. 이이는 원로인 백인걸을 존경하여 자주 찾아보고 성리설 등의 학문을 논하였다. 백인걸은 정암 조광조의 으뜸가는 문인으로서 스승의 추숭과 그 주장의 계승, 실현에 앞장선 인물이었다. 따라서 이이는 이런 백인걸을 통해 소문으로만 듣던 정암의 인물 됨을 알게 되고 그 도학정치론의 핵심에 접할 수 있었을 것이다.

시대에 맞는 국가 운영을 위해

이이의 관직 생활은 약 20여 년간이었다. 이 기간 동안 이이는 당시 사회가 안고 있는 여러 모순과 폐단의 변통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은 이이가 자신이 살던 시대를 조선이 건국된 지 200여 년이 되었으므로 중간 쇠퇴기로 인식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이이는 아무리 좋고 튼튼하게 지은 건물이라도 세월이 흐르다 보면 상한 곳이 생기고 집이 기울게 마련이듯이 나라도 시대가 달라지면 처음에 만든 제도의 결함이 하나 둘 나타나기 시작하여 마침내 국가 전체가 무너질 위기를 맞는다고 하였다.

[성학집요]의 본문. <출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그러므로 오래된 집을 유지하려면 유능한 기술자를 시켜 기둥을 갈고 수리해야 하듯 같은 이유로 국가도 달라진 시대에 맞게끔 제도를 고쳐야 하며 바로 이것이 경장(更張)이라는 것이었다. 더욱 이이 생존 당시 조선은 국가와 백성이 마치 큰 병을 앓고 있는 사람과 같이 원기가 모두 쇠진하고 겨우 숨만 붙어 있는 정도라며 이러한 때 외국으로부터 침략을 당하거나 혹시 백성 가운데 반란이라도 일어난다면 나라는 한 순간에 무너지고 만다는 것이다. 경장은 바로 이런 환자에게 원기를 북돋우게 하는 영약이었다.

이이는 선조 초반부터 자신의 경장론을 담은 [동호문답]이나 [만언봉사] 등의 시무 관련 상소를 계속 올려 임금의 자질과 당대 정치의 폐단을 극론하고 경장을 위한 대책을 제시하였다. 1575년(선조 8)에는 유교적 이상을 담은 제왕의 정치교과서인 [성학집요]를 편찬해서 임금에게 올렸다.

경장에 소극적이고 옛 제도의 묵수를 바라는 쪽인 대신들의 의견을 외면하지 못하는 임금 선조를 자기 쪽으로 돌리게 하는 회천(回天)을 바라는 간절한 염원이 담겨 있었다.

분열을 막고자 하였던 조제보합 논리

이러한 이이의 경장론이 당시에 적용되기는 쉽지 않았다. 먼저 조정에 만연되어 있는 무사안일주의의 인습으로 관리들은 보신에 급급하여 혹시나 남의 비난을 받을까 눈치나 보고, 혹은 변통하자는 말이라도 나오면 임금의 뜻을 돌리기가 어렵다는 구실을 내세워 운명 탓으로 돌릴 뿐 어떻게 해보려는 마음조차 먹지 않기 때문이었다. 여기에 더해 그동안 악습에 편승해 사리사욕을 채워왔던 소인배들이 경장을 하게 되면 그 이익을 잃게 되므로 한사코 방해하려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이는 임금을 위시한 당시의 조정에 대해 “앉아서 망하기를 기다리느니 차라리 경장이라도 하자”며 분발하여 경장에 매진할 것을 역설하였다.

더구나 당시와 같이 사림이 동인과 서인이 분열된 상황에서 경장은 더욱 바랄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에 이이는 당쟁을 종식시키는 것이 급선무라고 판단, 이를 위한 방안으로 동인과 서인의 명목을 타파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제보합(調劑保合)하자고 호소하였다. 분열된 사림의 결속을 위한 것이었다. 그러한 현실은 이이가 기대한 것과는 다른 방향으로 움직여서, 오히려 동인과 서인의 갈등은 더욱 심화되었다. 이에 이이는 동·서 갈등의 당사자인 심의겸김효원에 대해서 양시양비론(兩是兩非論)을 제기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즉 서인측 심의겸은 외척이면서도 이전에 사림을 보호한 공이 있고, 동인측 김효원은 명류(名流)을 끌어들여 조정을 청명하게 한 공이 있어 양시(兩是)라는 것이다. 그러나 심의겸은 외척으로서의 행동을 조심하지 못하고 정치에 관여하는 잘못을 저질렀고. 김효원은 유생신분으로서 한때 권간(權奸, 윤원형을 지칭함)의 집에 출입하였던 허물이 있으니 이를 양비(兩非)라고 하였다. 물론 이이가 양시양비론으로 분쟁이 종식되리라 생각하지는 않았다. 단, 소모적인 정쟁으로 인해 국가적 현안 문제가 논의조차 되지 않는 현실에 대한 타개책이었던 것이었다.

시대적 변화를 읽는 점진적 개혁주의자

율곡 이이를 모신 대표적인 서원인 자운서원에 있는 묘정비(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동문리 소재). <출처: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이이는 시대적 변화를 읽는 점진적 개혁주의자라 평가할 수 있겠다. 비유하건대 오래되어 낡은 집을 놓고 인습(因襲)에 젖은 일반관료들은 지붕을 땜질하고 기둥의 상한 부분을 깎아내는 정도의 수리로 유지하려고 하였다. 반면 이이는 낡은 서까래와 기둥을 바꾸고 살아가기 편하도록 집의 구조를 고치는 경장을 주장하였던 것이었다.

이이의 경장론이 이같이 점진적이지만, 그것조차도 그의 생전에 실현되지 못하였다. 오히려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진가가 제대로 발휘되었다. 당면한 국난 극복을 위해서는 어떠한 형태로든 대책 마련이 요구되었기 때문이었다. 이제 이이의 경장론과 다양한 변통책은 비로소 진지한 검토의 대상이 되어 당국자들의 손을 거쳐 국가 재건에 이바지하게 되었다.

이이의 개혁정신과 그의 경장론에서 보이는 방법상의 특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 한꺼번에 모든 것을 달성하려는 조급함이 아니라 하나 하나씩 고쳐 나가서 궁극적인 개혁에 이른다는 점진성이다. 둘째 경장이 반드시 높은 식견과 넓은 안목을 갖춘 인물을 얻어 그에게 모든 것을 위임한 상태에서 추진되어야 한다는 인재 발굴과 위임론이다. 셋째, 경장을 위한 전제로 조정의 모든 신하들이 뜻과 지혜를 함께 모아 경장에 적극 참여하고 지지하여야만 성공할 수 있다는 화합성이었다.

마지막으로 이이가 선조 15년에 제출한 글의 일부분을 옮기면서 글을 마친다. 이이는 높은 지혜를 갖춘 자[上智]는 일이 생기기 전에 미리 알아서 난을 미연에 방지하고 국가 위기에 처하지 않도록 예방하지만, 중간 정도의 지혜를 가진 자[中智]는 일이 벌어지고 난이 일어난 뒤에라야 대책을 마련하고 나라 안정을 도모하였다고 하였다. 이이의 개혁정신과 경장론이 주목되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관련링크 인물사 연표 전체보기
이근호 | 국민대 한국학연구소 연구교수
글쓴이 이근호는 조선후기 정치사와 정치사상사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대중과 소통하려는 차원에서 [이야기 조선왕조사], [청소년을 위한 한국사사전] 등을 출간하였는데 이러한 노력은 계속될 것이다.
그림
장선환 | 화가, 일러스트레이터
서울에서 태어나 경희대학교 미술교육학과와 동대학원 회화과를 졸업했다. 화가와 그림책 작가로 활동을 하고 있으며, 현재 경희대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http://www.fartzzang.com
발행2010.07.18.

'인물과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석영  (0) 2015.06.14
허준(許浚, 1539-1615)  (0) 2015.06.14
이황(李滉, 1501~1570)  (0) 2015.06.11
신사임당  (0) 2015.06.11
정도전(鄭道傳, 1342∼1398)  (0) 2015.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