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국보 제255호 |
---|---|
명 칭 | 전 덕산 청동방울 일괄(傳 德山 靑銅鈴一括) |
분 류 | 유물 / 생활공예/ 금속공예/ 마구 |
수량/면적 | 일괄 |
지정(등록)일 | 1990.05.21 |
소 재 지 | 서울 용산구 (리움미술관) |
시 대 | 청동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이건희 |
관리자(관리단체) | 리움미술관 |
충남 예산군에 있는 흥선 대원군 부친의 무덤 근처 구릉에서 출토된 청동 방울들로 제정일치 사회였던 청동기시대 제사장들이 주술적 의미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출토된 청동 방울에는 8각형 별모양의 각 모서리 끝에 방울이 달려있는 팔주령 1쌍과 아령 모양의 쌍두령 1쌍, 포탄 모양의 간두령 1쌍 그리고 쌍두령과 비슷하나 X자형태로 둥글게 한번 말려있는 조합식쌍두령 1점이 있다. 팔주령 1쌍은 지름이 각각 14.4㎝ 와 14.3㎝이며 모서리 끝에 달린 방울들은 모두 지름이 2.4㎝로 1쌍이 서로 같은 모습을 하고있다. 각 모서리 끝에는 작은 방울이 8개가 달려 있다. 각 방울에는 타원형 모양 구멍이 4개씩 있다. 몸체의 바깥쪽에 점선이 2∼3줄 있고, 가운데에는 커다란 十문양이 있는데 이것은 태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몸체 뒷면에는 [ ]모양의 꼭지가 달려 있다. 쌍두령 1쌍은 길이가 각각 19.7㎝와 19.8㎝이며, 무게는 170.3㎎, 172㎎ 이다. 형태는 아령과 비슷하며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고, 방울과 연결되는 양 끝은 가늘다. 양 끝에 달린 방울에는 타원형 모양의 구멍이 4개씩 있고, 안에는 청동 구슬이 들어 있다. 2개가 거의 같으나 가운데에 작은 구멍이 1개 있는 것이 다르다. 조합식쌍두령은 길이 17.3㎝, 방울 지름 4.4㎝, 무게 628㎎이다. 한 쪽 끝에 방울이 달려 있는 몸체 2개를 각각 X자형으로 교차하여 서로 부친 것이다. 방울이 달려있지 않은 끝의 한 쪽 몸체에는 삽입 구멍을 다른 쪽 몸체에는 꼭지를 만들어 떨어지지 않게 결합시킨 것이다. 간두령 1쌍은 각각 높이 14.7㎝와 14.9㎝, 무게 616.5㎎와 571㎎로 모습은 같고 크기만 서로 다르다. 몸체와 자루, 2부분으로 되어있고 사이에 갓 모양의 테두리를 두르고있다. 전체적으로는 포탄 모습이며 비어있는 몸체를 칸막이로 나누어 위에는 청동 구슬을 두었고 아래에는 빈 공간으로 남겨 소리가 잘 울릴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유물들은 의기로서 중국에서 들어온 문화양식에 의해 차츰 소멸해가던 기원전 3세기 후반의 작품들로 추정된다. |
'한국의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257호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9(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二十九) (0) | 2014.01.03 |
---|---|
국보 제256호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一) (0) | 2014.01.03 |
국보 제254호 청자음각연화절지문매병(靑磁陰刻蓮花折枝文梅甁) (0) | 2014.01.03 |
국보 제253호 청자양인각연당초·상감모란문은구대접(靑磁陽印刻連唐草·象嵌牡丹文銀구大楪) (0) | 2014.01.03 |
국보 제252호 청자음각연화문매병(靑磁陰刻連花文梅甁) (0) | 201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