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버지의 특성
(1) 아버지의 역할
역사적으로 부모의 역할은 여성에게는 중요한 것이었지만
남성에게 있어서는 주변적인 것이었다.
자녀 양육에 관한 책에서 아버지의 역할이 언급된 것은
대략 1970년대부터이고 그 이전에는 거의 등한시 되었다.
이렇듯 아버지의 역할이 등한시 된 것은 두 가지 원인에 의한 것으로,
하나는 아버지가 생각하고 느끼는 것을
어머니가 정확하게 알고 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자녀 양육 과정에서 아버지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실제로 연구한 바에 의하면 그렇지 않다.
자녀 양육에 대하여 아버지를 면담한 결과는
어머니에게서 얻은 정보와는 상당히 다르고,
현대의 아동발달에 관한 지식에 비추어 볼 때 자녀 양육에 있어서
아버지의 역할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옳지 않은 생각이다.
사회가 변화해서 아버지가 자녀의 인생에 있어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기 시작했지만 어머니의 역할은
일단 여성이면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아버지는 직급에서의 역할이 아버지로서의 역할보다 우선한다.
즉 남성에게 있어서 자녀는 중요성의 우선순위가 낮다.
이런 점이 남성과 여성 사이의 갈등을 만들어내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즉 여성들은 자녀 복지를 바탕으로 한 의사결정을 하지만,
남성들은 자기의 일을 우선적으로 생각한다.
(2) 아버지는 어머니의 새로운 행동 유형에 적응해야 한다
역사적으로 아버지들은
아내가 자녀에 대해 전적으로 책임지는 것으로 가정해 왔다.
그러나 이런 생각은 잘못된 생각이다.
자녀 교육은 어머니 혼자만의 일이 아니라 부부 공동의 역할이다.
다만 환경에 의해 역할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현대의 부모들의 경우 자녀 교육에 대해서 공동의 노력이 요구된다.
어머니는 자녀와 아버지보다 만남의 시간이 많다보니
어머니가 자녀의 취향과 생활양식을 빨리 파악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 일차적으로 어머니의 판단과 행동이 우선적이므로
아버지는 자연스럽게 어머니의 새로운 행동에 적응할 수밖에 없다.
(3) 아버지의 부성애는 어머니의 모성애보다 약하다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하는 행동의 대부분은 학습에 의한 것이다.
그러나 어머니는 임신을 하는 데 비해 아버지는 그렇지 않다.
이것은 어머니가 9개월 동안 태아를 뱃속에서 키우지만
아버지는 그렇지 않다는 뜻이다.
이것은 아기가 태어나자면 어머니가 있어야 하지만
아버지는 그 자리에 없어도 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아버지는 조직 사회의 치열한 생존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때로는 가정을 소홀히 할 수도 있다.
그러다 보니 자녀에 대해서도 어머니의 친밀감보다는 덜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어머니는 임신을 비롯하여
직접 자녀를 양육하므로 자연스럽게 모성애가 발휘된다.
결국 어머니의 모성애는 부성애보다 강하다.
다음의 원숭이 실험을 통해서도
부성애보다 모성애가 더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철판 위에 아빠 원숭이와 새끼 원숭이를 올려 놓고 전기로 열을 가하자
바닥이 뜨거우므로 두 마리가 함께 뛰다가 새끼 원숭이가
아빠 원숭이 등에 올라가자 아빠 원숭이는 새끼 원숭이를
즉시 내팽개치고서 오히려 새끼 원숭이 등에 올라탔다.
다음은 엄마 원숭이와 새끼 원숭이를 올려 놓고 앞에서와 같이
뜨거운 열을 가하자 두 마리가 함께 뛰다가 새끼 원숭이가
엄마 원숭이 등에 올라가니 엄마 원숭이는 새끼를 업고 계속 뛰었다.
우리는 여기서 부성애보다는 모성애가 더욱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