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국보 제144호 |
---|---|
명 칭 | 영암 월출산 마애여래좌상(靈巖 月出山 磨崖如來坐像) |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
수량/면적 | 1구 |
지정(등록)일 | 1972.03.02 |
소 재 지 | 전남 영암군 영암읍 회문리 산26-8 |
시 대 | 통일신라 |
소유자(소유단체) | 국유 |
관리자(관리단체) | 영암군 |
전라남도 영암군 월출산 구정봉의 서북쪽 암벽을 깊게 파서 불상이 들어 앉을 자리를 만들고, 그 안에 높이 8.6m의 거대한 불상을 만들었다. 불상의 오른쪽 무릎 옆에는 부처님을 향하여 예배하는 모습을 한 높이 86㎝의 동자상을 조각하였다. 머리 위에는 크고 높은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있고, 신체에 비하여 비교적 큰 얼굴은 근엄하고 박력있는 느낌을 준다.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있는 옷은 얇게 표현하여 신체의 굴곡을 잘 나타내고 있다. 옷주름은 가는 선으로 새겼는데 불상이 앉아 있는 대좌(臺座) 아래까지 흘러 내리고 있다. 전체적으로 섬세한 옷주름과 양감있는 신체의 표현에서 탄력성과 박진감이 잘 나타나고 있다. 당당한 신체에 비하여 팔은 가늘게 표현하고 있으며, 손모양은 오른손을 무릎 위에 올려 손끝이 아래를 향하게 하고,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하여 무릎 위에 올린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하고 있다. 광배(光背)는 머리광배와 몸광배를 따로 조각하였으며, 그 안에 연꽃무늬와 덩굴무늬를 새겨 넣고 가장자리에는 불꽃무늬를 새기고 있다. 전반적으로 안정감과 장중한 인상을 주며, 섬세하고 정교한 조각기법과 더불어 박진감이 잘 나타나고 있다. 반면 신체에 비하여 비교적 커진 얼굴과 너무 작게 표현된 팔 등에서 불균형한 비례와 경직된 표현이 엿보여 통일신라 후기에서 고려 초기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짐작된다. 이 불상은 암벽을 불감(佛龕) 형태로 파고 그 안에 높은 돋을새김으로 조각한 고려시대(高麗時代)의 대표적인 마애불이다. 네모진 얼굴은 신체에 비해서 유난히 큰 편인데 약간 치켜올린 눈꼬리와 꽉 다문 입 등으로 근엄하고 박력있는 느낌을 준다. 신체의 표현은 얼굴에 비해 경직된 편인데, 가슴이 평판적이며 결가부좌(結跏趺坐)한 다리는 빈약한 편이다. 옷주름은 음각선으로 간략화되었다. 수인(手印)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이며, 대좌(臺座)는 법의(法衣)자락이 흘러내려 상현좌(裳縣座)를 이루었다. 오른쪽 무릎 옆에는 조그마한 동자상(童子像)을 부조(浮彫)로 새겼는데 이 불상의 성격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라 하겠다. 이 불상은 신체 각부의 비례가 부자연스럽고 조각수법이 딱딱하여 고려시대의 지방적 석불양식을 보여 주고 있지만 높이가 8m나 되는 거불(巨佛)로 웅장하고 패기찬 불상모습을 잘 나타내 주고 있어서 당대의 걸작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
'한국의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146호 전 논산 청동방울 일괄(傳 論山 靑銅鈴一括) (0) | 2014.01.01 |
---|---|
국보 제145호 귀면청동로(鬼面靑銅爐) (0) | 2014.01.01 |
국보 제143호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和順 大谷里 靑銅器一括) (0) | 2014.01.01 |
국보 제142호 동국정운(東國正韻) (0) | 2014.01.01 |
국보 제141호 정문경(精文鏡) (0) | 2014.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