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보

국보 제143호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和順 大谷里 靑銅器一括)

문성식 2014. 1. 1. 19:54

 

 

 

세형 동검

 

 

 

청동 팔령구

 

 

 

청동 도끼(공부), 조각칼(삭구)

 

 

청동 쌍령구

 

 

잔무늬 거울

 

 

종 목 국보  제143호
명 칭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和順 大谷里 靑銅器一括)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금속공예/ 무속구
수량/면적 일괄(11점)
지정(등록)일 1972.03.02
소 재 지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168-6 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시대미상
소유자(소유단체) 국유
관리자(관리단체) 국립중앙박물관

 

 

전라남도 화순군 대곡리 영산강 구릉에서 발견된 청동기시대의 무덤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이다.

출토된 청동기 유물 중 세형동검(청동검) 3점·청동팔령두 2점·청동쌍령구 2점·청동손칼(청동삭구) 1점·청동도끼(청동공부) 1점·잔무늬거울(청동세문경) 2점이 국보로 지정되었다.

세형동검은 양 끝에 날이 서 있으며, 그 중 1점은 칼날 부분이 손상되어 있다. 동검 중앙에 굵게 나온 등대의 모습이 칼마다 다른 것이 특징이며, 한국에서 출토되는 동검으로는 시대가 늦은 편이다.

청동팔령구는 8각형의 별모양으로 생겼으며, 각 모서리에 방울이 달려 있다. 그 안에 청동구슬을 넣어 흔들면 소리가 나는 것으로, 주술적·종교적인 의식용 도구로 보여진다. 방울 표면에는 고사리문양이 나타난다.

청동쌍령구는 양끝에 방울이 있고 그 안에 청동구슬이 있어 흔들면 소리가 나는 주술적·종교적인 의식용 도구이다.

청동손칼은 공구류의 일종으로, 현재 조각칼의 용도로 보이는 것이다. 바닥은 평평하고 날의 끝이 일부 부러진 모습을 한다.

청동도끼는 한쪽면에 날을 세우고, 반대쪽에 자루를 끼울 수 있게 홈이 파인 형태의 도끼이다. 홈이 파인 쪽에는 어깨가 있으며, 폭에 비해 길이가 짧다.

잔무늬거울은 거울면에 광택있는 녹으로 되어 있어 깨끗하며, 거울 뒷면에 기하학적인 문양과 거울을 매달 때 사용하는 두 개의 뉴가 달려 있다.

대곡리에서 출토된 청동유물들은 종류가 다양하고 제작기법이 뛰어나 우리나라의 청동기시대를 연구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