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중요무형문화재 13호
명 칭 강릉단오제(江陵端午祭)
분 류 놀이와의식
지정일 1967.01.16
소재지 강원전역
관리자 강릉단오제보존회
※ 본문설명
단오는 음력 5월 5일로 ‘높은 날’ 또는 ‘신 날’이란 뜻의 수릿날이라고도 한다. 강릉단오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역사가 깊은 축제로, 마을을 지켜주는 대관령 산신을 제사하고, 마을의 평안과 농사의 번영, 집안의 태평을 기원한다. 강릉단오제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매년 3, 4, 5월 중 무당들이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고 3일 동안 굿을 벌였다는 남효온(南孝溫)의 문집(『추강냉화(秋江冷話)』) 기록과, 1603년(선조 36년)에 강릉단오제를 구경하였다고 기록한 허균(許筠)의 문집(『성소부부고(惺所覆부藁)』) 내용으로 보아 약 400년 전으로 추정된다.
마을사람들은 단오제를 드리지 않으면 마을에 큰 재앙이 온다고 믿어 대관령서낭당에서 서낭신을 모셔와 강릉시내의 여서낭신과 함께 제사를 드리는데, 대관령산신은 김유신 장군으로 전해지며, 단오제에서 주체가 되는 서낭신은 범일국사이고, 여서낭신은 강릉의 정씨처녀로 전해진다.
단오제는 신에게 드릴 술을 담그면서 시작된다. 대관령산신당에서 제사를 올리고 신성시하는 나무를 모시고 내려와 국사성황당을 거쳐 홍제동에 있는 국사여성황당에 모셨다가 행사 전날 저녁 영신제를 지내고 남대천 백사장에 마련된 제단에 옮겨 모심으로 강릉단오제의 서막을 올린다. 단오장에서는 5일간 아침, 저녁으로 제를 올리고 굿을 하며 농사의 번영과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모두 한마음이 되어 제를 올린다. 이밖에 양반과 소매각시, 장자머리, 시시딱딱이가 가면을 쓰고 말없이 관노가면극놀이를 하거나, 그네타기, 씨름, 농악경연대회 등 다양한 행사가 개최된다. 단오 다음날에 신성시하는 나무를 태우고 서낭신을 대관령으로 모시면서 단오제는 막을 내린다.
강릉단오제는 제관에 의해 이루어지는 유교식 의례와 무당들의 굿이 함께 거행되는 동해안에서 가장 규모가 큰 마을축제로 수많은 군중이 모여들고 난장이 크게 벌어진다. 특히 관노가면극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무언극으로 대사없이 몸짓으로 관객을 웃기고 즐겁게 한다.
강릉단오제는 민간신앙이 결합된 우리나라 고유의 향토축제이며, 지역주민이 화합하고 단결하는 협동정신을 볼 수 있다.
※ 보충설명
강릉에는 동해안에서 가장 큰 향토신제(鄕土神祭)로 단오제가 전승되어 있다. 강릉은 영동지방 큰 도시의 하나로서 옛날부터 행정, 경제, 농업의 중심지였고 또 바다에 접해 있어서 인근에서는 어업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음력으로 5월 5일 단오일을 맞이해서 대관령 서낭당에서 서낭신을 모셔다가 강릉 시내에서 제사를 지낸다. 대관령 서낭신은 허균(許筠)의 『성소부부고(惺所覆부藁)』에는 ‘김유신 장군(金庾信 將軍)’이었으나 근자에는 강릉 태생의 범일국사(泛日國師)가 죽어서 서낭신이 되었다고 전하며, 강릉 정씨(鄭氏) 집 딸이 서낭신의 부인이 되었다고 해서 여서낭이라 부르고 있다. 그래서 단오제 때에는 대관령 서낭당에 있는 서낭을 모셔다가 시내에 있는 여서낭당에 며칠 동안 머물게 한 다음 서낭 내외분을 모셔놓고 제사를 지내게 된다.
단오제를 지내기 위해서 임원을 선출하는데 이 임원들은 자신이나 가족에게도 부정한 일이 없는 사람을 선정하고 있으며 헌관(獻官)은 관례적으로 지방행정의 책임자인 시장, 군수, 경찰서장 또는 교육장이 맡고 있다. 강릉 단오제가 큰 향토신사이기 때문에 옛날부터 지방관원에 의해서 주관되고 여기에 지방민들이 참여하여 왔다.
단오제의 본제는 음력 5월 5일 단오날에 거행하지만 그 준비는 3월에서부터 시작된다. 3월 20일에 제주(祭酒)를 담그고 4월 1일을 초단오(初端午)라 해서 헌주(獻酒)하고 무악(巫樂)이 있으며 4월 8일은 재단오(再端午)라 해서 역시 헌주와 무악이 있다. 4월 14일에 임원과 시민들은 서낭신을 모시러 강릉을 떠나 대관령으로 향하며 4월 15일 삼단오(三端午)에 대관령 서낭신과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고 여서낭당으로 서낭신을 모셔온다. 4월 27일은 사단오(四端午)이므로 무악이 있고 5월 1일은 오단오(五端午)로 본격적으로 굿이 벌어지고 관노(官奴)들에 의해서 가면희(假面戱)가 시작되며 화개(花蓋)를 메고 동네를 한바퀴 돈다. 5월 4일을 육단오(六端午)라고 해서 관노가면희(官奴假面戱)와 무악이 있고 5월 5일은 칠단오(七端午)로 본제(本祭)를 지내고 관노 가면놀이가 있어 제사와 굿의 절정에 이른다. 5월 6일은 팔단오(八端午)라고 해서 소제(燒祭)를 지내고 서낭신을 대관령까지 모셔 가는 봉송(奉送)의 의식이 있다. 이것으로써 3월 20일부터 약 50일에 걸친 단오제가 막을 내린다.
단오제의 목적은 제화초복(除禍招福)으로 마을 사람들의 생활안정을 기원했다. 즉 풍년이 들고 풍어를 이루며 질병이 없이 평안한 생활을 소원하여 제사를 지냈다. 또 강릉에서 서울로 오려면 대관령고개를 넘어야 하는데 옛날에는 호환(虎患)에 대한 산로안전(山路安全)을 비는 목적도 있었다.
강릉 단오제에 관한 내용은 남효온(南孝溫)의 문집(1454년)과 허균의 문집(1603년)에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기록들을 통해 강릉단오제가 당시에도 큰 행사였으며, 백여명의 무당이 굿을 하였다고 전해오는 점을 통해 그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특히 단오제 때에 관노들에 의해서 무언극(無言劇)인 관노가면놀이(官奴假面놀이)가 있어 특징을 이루고 있다.
'문화재,도자기,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5호]북청사자놀음(北靑獅子놀음) | 중요 무형 문화제 (0) | 2012.03.27 |
---|---|
[제14호]한산모시짜기(韓山모시짜기) | 중요 무형 문화제 (0) | 2012.03.27 |
[제12호]진주검무(晋州劍舞) | 중요 무형 문화제 (0) | 2012.03.27 |
[제11-5호]임실필봉농악(任實筆峰農樂) | 중요 무형제 (0) | 2012.03.27 |
[제11-4호]강릉농악(江陵農樂) | 중요 무형제 (0) | 2012.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