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 산나물,식품

당뇨에 좋은 한약 처방전

문성식 2010. 9. 15. 19:49

당뇨에 좋은 한약 처방전

 

당뇨에 명약도 없고 완치도 없고 근치도 없다.

 

당뇨가 올수 밖에 없는 생활태도를 바꾸지 않는한 치료는 불가능 합니다. 일시적인 증상의 호전을 믿고 생활태도를 바꾸지 않는다면 차라리 약을 먹지 않느니만 못합니다.

 

1- 건전한 식생활(자연식. 전통식)

2- 유산소 운동

3- 스트래스 해소

 

당뇨는 치료하는것이 아니라 불건전한 생활습관을 개선함으로서 치유하는 것 입니다.

 

소갈방가감(消渴方加減)

열사를 제거하고 폐를 촉촉하게 하며 체액의 분비를 촉진하여 갈증을 가시게 한다. 천화분을 많이 사용하여 진액을 생기게 하고 열사를 없애며, 황련을 보조약으로 하여 심화를 말끔히 제거하고 생지황, 연뿌리즙 등으로 음정을 자양하여 건조한 것을 촉촉하게 한다.
구강 건조가 심하면 맥문동, 갈근을 더 넣어 음정을 자양하고 진액을 생기게 한다. 변비 증세가 있으면 현삼, 결명자를 더 넣어 음정을 자양하고 변비를 없앤다.

 

위열이 몹시 성한 병증

 

옥녀전가감(玉女煎加減)

위열을 말끔히 제거하고 음정과 체액을 보충하는 것으로 치료한다. 처방 중의 생석고·지모는 위화를 말끔히 없애고 생지황·맥문동은 음정을 자양하고 체액의 분비를 촉진하며, 우슬은 허화를 아래쪽으로 끌어내린다. 만약 조열에 의해 대변이 굳으면 대황을 더 넣어 사열을 몰아내 변이 나오게 하고, 진액의 부족으로 변비가 있으면 현삼·결명자를 더 넣어 변이 통하게 한다. 위화가 치밀어 올라 잇몸이 붓고 아프면 황련·치자를 더 넣어 화열사를 없앤다.

 

비기와 위기가 다 부족한 병증

 

백출산가감(白朮散加減)

원기를 북돋우고 비를 튼튼하게 하며 몽설을 멎게 한다. 처방 중의 사군자탕(四君子湯)은 비장을 강화시키고 원기를 북돋우며, 갈근은 체액의 분비를 촉진하여 갈증을 가시게 한다. 목향·곽향은 기의 순환을 조절하고 비를 튼튼하게 하며 오랫동안 정체되어 있는 기를 없앤다. 만약 음식을 먹지 못하면 계내금과 사인을 더 넣어 비를 튼튼하게 하고 식욕과 소화를 촉진시키며, 몸이 몹시 쇠약하면 황기를 더 넣어 비장을 튼튼하게 하고 원기를 보충해 준다. 대변이 묽으면 창출·의이인을 더 넣어 비를 튼튼하게 하여 습사를 제거한다.

 

신음이 부족한 병증 또는 음정의 부족으로 내열이 생긴 증

 

육미지황환가미(六味地黃丸加味)

음정을 자양하고 신장을 강화하며 열사를 없애고 체액의 분비를 촉진한다. 산약은 비를 튼튼하게 하고 음정을 수렴하며, 산수유육은 간기를 수렴시키고 신장을 강화하여 정액이 저절로 배출되는 것을 멈추게 한다. 숙지황은 정과 혈액을 보충하고 진액을 생기게 하며 모란피·택사·복령은 열사를 없애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비를 튼튼하게 한다. 만약 허화가 왕성하면 지모·황백을 더 넣어 열을 내리고 음정을 자양하고, 심한 갈증이 나면 천화분을 더 넣어 체액의 분비를 촉진하여 갈증을 가시게 한다. 또, 불면증이 있을 경우에는 여정자·한련초를 더 넣어 음정을 자양하고 정신을 안정시킨다. 만약 시력감퇴가 있으면 구기자·국화를 넣어 음정을 자양하고 시력을 좋게 한다.

 

양기와 음액이 다 부족한 병증

 

육미지황환에 황기·당삼·창출·현삼 등을 더 넣어 음정을 자양한다. 또는 일관전(一貫煎)에 황기·산약·창출·현삼을 더 넣어 원기를 북돋우고 음정을 자양한다.

음정과 양기가 다 부족한 병증

 

신기환가미(腎氣丸加味)


양기를 따뜻하게 하고 통하게 하며 음정을 강화하고 자양한다. 처방 중의 부자와 계지는 양기를 따뜻하게 하고 통하게 한다. 숙지황과 산수유는 음정을 자양하고, 음양을 고르게 하고, 떠오른 허화를 제자리로 끌어내리며 수기(水氣)를 증발시키는 효능이 있다. 만약 무기력하고 땀을 많이 흘리면 황기를 더 넣어 부자·계지의 양기를 따뜻하게 하고 통하게 하며 표면의 저항력을 강화하는 작용을 도와준다. 소변이 많거나 기름처럼 흐리면 익지인·토사자·생백과를 더 넣어 신장을 강화시키고 소변을 줄게 하며 몽설을 멎게 한다. 만약 소변량이 적고 부종이 있으면 황기·백출·방기를 더 넣어 원기를 돋우고 비를 튼튼하게 하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새벽녘에 설사를 하면 보골지·오미자·오수유를 더 넣고, 임포텐스와 조루가 있으면 음양곽·선모를 더 넣어 양기를 세게 한다.

 

혈어

여러 병증이 혈어증과 동시에 나타날 때는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서 어혈을 없애는 약물을 쓴다. 어혈 증후가 가벼우면 당귀·천궁·적작약·단삼·익모초 등을 더 넣어 혈액을 자양하고 혈액 순환을 돋우어 어혈을 없앤다. 어혈 증후가 위중하면 수질·도인·천산갑 등을 더 넣어 어혈을 없앤다.

 

음맥과 양맥이 곧 끊어지려는 증후

 

생맥산가미(生脈散加味)

부족해진 음정과 양기를 회복시킨다. 인삼은 원기를 크게 돕고 진액을 생기게 하며, 맥문동은 음정을 자양하고, 오미자는 소실된 양기를 수렴한다. 이 세 가지 약을 같이 쓰면 음기를 크게 강화하고 자양하며 맥박을 활발하게 한다. 만약 맥박이 끊어지려 하고 혈압을 측정해도 나타나지 않으면 부자를 더 넣어 고갈된 양기를 회복시키고 허탈 상태에서 구출한다. 만약 지나치게 왕성한 조열이 심포(心包)에 침범하여 의식을 잃고 허탈 상태에 빠지면 상태를 참작하여 안궁우황환(安宮牛黃丸)이나 지보단(至寶丹)을 써서 열사를 제거해 준다.

 

석고(石膏)
소갈을 주로 치료하는데, 가루를 내어 20g을 멥쌀과 함께 달여 즙을 짜서 먹는다.

 

죽엽(竹葉 참대잎)
소갈을 멎게 한다. 푸른 잎을 따서 달여 즙을 받아먹는다.

 

활석(滑石 곱돌)
소갈을 치료하는데 가루로 만들어 12g을 깨끗한 물이나 꿀물에 타서 먹는다. 이것을 익원산(益元散)이라고 하며, 일명 신백산(神白散)이라고도 한다.

 

지장(地漿, 지장수)
열갈(熱葛)로 가슴이 답답한 것을 치료한다. 1잔을 마시면 좋다.

 

죽력(竹瀝 참대기름)
소갈을 치료하는데 아무 때나 마시면 좋다. 뇌공(雷公)이 말하기를 '오랜 소갈로 가슴이 답답한 데는 죽력을 먹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맥문동(麥門冬)
소갈과 입이 마르고 갈증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심(心)을 버리고 달여서 먹는다.

 

황백(黃柏 황경피나무껍질)
소갈을 주로 치료한다. 물에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물에 반죽한 다음 환을 만들어 먹는다.

 

황련(黃蓮)
소갈을 치료한다. 술에 담갔다가 쪄서 햇볕에 말린 다음 가루를 낸다. 이것을 꿀에 반죽하여 환을 만들어 한 번에 50∼70환씩 먹는다.

 

황기(黃  단너삼)
여러 가지 소갈로 헌데가 생기려 하는 데와 옹저가 생긴 다음 갈증이 나는 데는 황기를 달여 먹으면 좋다.

 

갈근(葛根 칡뿌리)
소갈을 주로 치료한다. 20g을 물에 달여서 먹거나 생것으로 즙을 내어 먹어도 좋다.

 

괄루근(瓜蔞根 하눌타리 뿌리)
소갈을 치료하는 성약(聖藥)으로 알려져 왔다. 물에 달여 즙을 마음대로 먹으면 아주 좋다.

 

지저즙(漬苧汁 모시 담근 물)
소갈을 치료한다. 생모시를 잘라서 물에 담가 놓고 그 물을 마신다.

 

지골피(地骨皮 구기자나무뿌리껍질)
물에 달여 먹거나 잎을 따서 즙을 내어 마신다.

 

문합(蚊蛤 붉나무벌레집)
이것이 바로 오배자인데, 진액을 잘 생기게 하고 갈증을 멈추게 하는 중요한 약이다. 가루를 내어 한 번에 8g씩 끓는 물로 먹으면 아주 좋다.

 

인동초(忍冬草)
물에 달여서 수시로 늘 먹어야 한다.

 

상지차(桑枝茶 뽕나무가지차)
입이 마르는 것을 치료한다. 차로 항상 마시면 좋다.

 

상근백피(桑根白皮 뽕나무뿌리 껍질)
열로 갈증이 나는 것을 주로 치료한다. 오디를 짓찧어 찌꺼기를 버리고 즙을 받아 돌그릇에 담은 다음 여기에 꿀을 넣고 졸여서 고약을 만들어 한번에 2∼3숟가락씩 끓는 물로 먹으면 갈증이 멎고 정신이 난다.

 

모려육(牡蠣肉 굴조개살)
주갈을 치료한다. 생강과 식초를 넣어 생것으로 먹는다. 흔히 석화(石花)라고도 부른다.

 

방합(蚌蛤 진주조개)
삶아서 먹기도 하지만 생것으로 생강과 식초를 넣어서 먹는 것이 더 좋다.

 

점어연(鮎魚涎 메기침)
세 가지 소갈을 치료한다. 침을 받아서 여기에 황련가루를 반죽해 환을 만든다. 한 번에 50환씩 오매를 달인 물로 먹으면 갈증이 훨씬 낫는다.

 

전라(田螺 우렁이)
소갈로 소변이 잦은 것을 치료한다. 우렁이 5되를 물 1말에 담가 하룻밤을 재운 물을 마시되 매일 물을 갈아 부어야 한다. 또는 우렁이를 삶아서 그 물을 마시고 살까지 먹어도 좋다.

 

생우(生藕 생연뿌리)
소갈을 치료하는데 매우 좋다. 즙을 내어 1잔을 꿀 1홉과 섞어서 세 번에 나누어 먹는다.

 

홍시(紅枾 연감)
갈증을 멎게 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대로 먹는다.

 

오매(烏梅)
소갈과 입이 마르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꿀을 좀 섞어 수시로 먹는다.

 

이(梨 배)
소갈을 치료하는데, 항상 배를 먹으면 특히 심(心)에 열이 있어서 나는 갈증을 잘 치료한다.

 

미후도(  桃 다래)
소갈을 멎게 한다. 서리를 맞고 잘 익은 것을 따서 늘 먹는다. 또는 꿀에 넣어 정과를 만들어 먹어도 좋다.

 

오미자(五味子)
소갈을 멎게 하는데 아주 좋다. 오미자 단물을 만들어 먹거나 환을 만들어 오랫동안 먹으면 진액이 생기고 탕을 그치게 한다.

 

마인(麻仁 삼씨)
소갈을 그치게 한다. 1되를 부수어 물 3되에 달여 즙을 받아 마시면 좋다.

 

녹두(綠豆)
소갈을 치료한다. 달여서 즙을 마시거나 또는 갈아서 그 즙을 마시기도 한다.

 

청량미(靑梁米)
열중과 소갈에 효험이 있다. 달여서 즙을 마시고, 죽이나 밥을 지어 늘 먹는 것이 좋다.

1. 대합 조가비를 가루 내어 끓인 물 5홉에 약 2g씩 타서 복용한다.

2. 쥐참외를 껍질을 깎아 매 식후에 75∼120g씩 먹는다. 5∼7회 먹으면 낫는다.

3. 시금치뿌리·계내금 각 같은 양을 가루 내어 미음에 타서 하루 3회 복용한다.

4. 둥글고 큰 달팽이 14마리, 물 3홉을 밀폐된 용기에 붓고 거기에 달팽이를 하루 동안 담가 두었다
가 그 물을 마신다.

5. 말린 동아씨·맥문동·황련 각 75g을 물에 달여서 복용한다.

6. 꿩 한 마리를 잘게 썰어 소금, 된장과 함께 국을 끓여 먹는다.

7. 무궁화뿌리 37.5∼75g을 물에 달여서 차대신 늘 복용한다.

8. 인삼을 가루내어 달걀 흰자에 3.75g씩 타서 하루 3∼4회 복용한다.

9. 붕어 1마리를 비늘을 남겨둔 채 내장만 제거하여 속에 찻잎을 그득 채워 넣고 종이로 싸 서 뭉근한 불에 오래 삶아 먹는데, 여러 마리를 먹는다.

10. 녹각을 바삭하게 구워 가루를 내어 1g씩 술에 타서 하루 2회 복용한다. 복용량을 2g까지 점차적으로 늘린다.

11. 옥수수 수염 37.5g. 물에 달여서 복용한다.

12. 복숭아나무의 진을 미지근한 물에 씻어서 끓여 먹는다. 식염을 약간 넣어 먹어도 되지만 단맛이 나는 조미료를 넣으면 안 된다. 한 번에 37.5∼75g씩 복용한다.

13. 뽕나무 뿌리의 속껍질 15g, 구기자 20g을 물에 달여서 복용한다.

14. 주목(朱木)의 잎 7.5g을 물에 달여서 1일 2회 복용하되 연속 복용한다. 만약 오심이나 구토 등의 부작용이 있으면 복용을 중지하고, 부작용이 없으면 점차적으로 복용량을 20g까지 늘렸다가 중지한다.

15. 두릅나무 뿌리 37.5g, 은행 150g을 물에 달여 복용한다.

16. 멍석딸기 뿌리 75∼150g, 돼지의 위 작은 것 1∼2개를 물에 달여서 복용한다.

17. 밀로 밥을 지어먹거나 죽을 쑤어 먹는다.

18. 좁쌀로 밥을 지어 먹으면 좋다.

19. 무즙 1되를 마신다.

20. 검은깨, 율무쌀, 검정콩을 같은 비율로 볶아서 가루를 내어 혼합한 것을 1일 3회 10g씩 복용하면 좋다.

출처 :사랑방 원문보기   글쓴이 :

'약초, 산나물,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단풀 의 효능 및 사용법   (0) 2010.09.15
명감나무 청미래덩굴   (0) 2010.09.15
癌을 이기는 韓國人의 飮食 54   (0) 2010.09.13
체지방 없애는 방법 15가지  (0) 2010.09.13
토종약초 장수법   (0) 2010.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