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상천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높이 1.5m.

양식적으로는 삼국시대 불상의 고졸한 불상을 계승하였으나, 세부에서 여러 가지 도식적인 특징이 나타나고 있어 고려시대의 불상으로 추정된다.

바위 면 전체를 보주형(寶珠形)으로 파서 광배(光背)를 만들고, 광배 안에 삼존불입상을 얕게 부조하였다. 중앙의 본존불은 넓적한 얼굴에 삼각형의 코, 얼굴에 비하여 작은 눈과 입, 밋밋한 큰 귀 등으로 둔중하고 토속적인 불안(佛顔)을 보여 주고 있다.

얼굴의 도식적인 처리는 신체에도 반영되어 있다. 직각으로 꺾어진 듯하게 처리된 사각형 어깨, 굴곡 없이 밋밋한 가슴, 부자연스럽게 가슴에 모은 팔, 사각형의 하체, 막대 같은 다리와 좌우로 벌린 발 등에서 형식적이고 도식적인 처리를 보여 준다. 통견(通肩)의 불의(佛衣)도 U자형의 옷주름이 형식적으로 음각되었고, 좌우로 내려온 대의(大衣) 자락은 동감이 거의 표현되지 않았다.

좌우의 협시보살도 본존과 거의 같은 형태로 토속적인 느낌이 짙게 풍긴다. 체구는 어깨선을 제외한다면 별로 양감이 없으며, 번잡한 옷자락과 신체 양쪽으로 나온 새 깃털 같은 옷자락은 삼국시대의 불상을 연상시키지만, 도식적으로 처리된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새로 나타난 형태가 아닌가 한다.

이 보살들의 대좌 또한 끝이 날카로워 삼국시대의 연꽃무늬와 유사하지만 이 역시 옷 주름의 처리와 같이 고려시대의 도식적인 것임이 분명하다. 삼국시대 불상의 양식을 계승하면서도 고려적인 도식화가 반영된 마애불상으로 양식상 귀중한 자료이며, 석굴사원의 부조상으로 우리 나라 석굴사원의 연구에도 중요한 작품이다.

20090426_0096.jpg

20090426_0094.jpg 

20090426_0100.jpg 

20090426_0099.jpg 

20090426_0103.jpg 
가섭암지가는길

20090426_0084.jpg 
가섭암지가는길

20090426_0085.jpg 
문바우

20090426_0089.jpg 
가섭암지가는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