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국보 제287호 |
---|---|
명 칭 | 백제 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 |
분 류 | 유물 / 불교공예/ 공양구/ 공양구 |
수량/면적 | 1점 |
지정(등록)일 | 1996.05.30 |
소 재 지 | 충남 부여군 충남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국립부여박물관 |
시 대 | 백제 |
소유자(소유단체) | 국유 |
관리자(관리단체) | 국립부여박물관 |
백제 나성과 능산리 무덤들 사이 절터 서쪽의 한 구덩이에서 450여점의 유물과 함께 발견된 백제의 향로이다. 높이 61.8㎝, 무게 11.8㎏이나 되는 대형 향로로, 크게 몸체와 뚜껑으로 구분되며 위에 부착한 봉황과 받침대를 포함하면 4부분으로 구성된다. 뚜껑에는 23개의 산들이 4∼5겹으로 첩첩산중을 이루는 풍경을 보여주고 있다. 피리와 소비파, 현금, 북들을 연주하는 5인의 악사와 각종 무인상, 기마수렵상 등 16인의 인물상과 봉황, 용을 비롯한 상상의 날짐승, 호랑이, 사슴 등 39마리의 현실 세계 동물들이 표현되어 있다. 이 밖에 6개의 나무와 12개의 바위, 산 중턱에 있는 산길, 산 사이로 흐르는 시냇물, 폭포, 호수 등이 변화무쌍하게 표현되어 있다. 뚜껑 꼭대기에는 별도로 부착된 봉황이 목과 부리로 여의주를 품고 날개를 편 채 힘있게 서 있는데, 길게 약간 치켜 올라간 꼬리의 부드러움은 백제적 특징이라 하겠다. 봉황 앞 가슴과 악사상 앞뒤에는 5개의 구멍이 뚫려 있어 몸체에서 향 연기를 자연스럽게 피어오를 수 있게 하였다. 몸체는 활짝 피어난 연꽃을 연상시킨다. 연잎의 표면에는 불사조와 물고기, 사슴, 학 등 26마리의 동물이 배치되어 있다. 받침대는 몸체의 연꽃 밑부분을 입으로 문 채 하늘로 치솟 듯 고개를 쳐들어 떠받고 있는 한 마리의 용으로 되어 있다. 이 향로는 중국 한나라에서 유행한 박산향로의 영향을 받은 듯 하지만, 중국과 달리 산들이 독립적·입체적이며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창의성과 조형성이 뛰어나고 불교와 도교가 혼합된 종교와 사상적 복합성까지 보이고 있어 백제시대의 공예와 미술문화, 종교와 사상, 제조기술까지도 파악하게 해 주는 귀중한 작품이다 |
'한국의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289호 익산 왕궁리 5층 석탑(益山王宮里五層石塔) (0) | 2014.01.23 |
---|---|
국보 제288호 백제 창왕명 석조 사리감(百濟昌王銘石造舍利龕) (0) | 2014.01.23 |
국보 제286호 백자발(白磁鉢) (0) | 2014.01.23 |
국보 제285호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蔚山大谷里盤龜臺岩刻畵) (0) | 2014.01.23 |
국보 제284호 초조본 대반야바라밀다경 권162, 170, 463(初雕本 大般若波羅蜜多經 卷一百六十二, 一百七十, 四百六十三) (0) | 201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