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보

국보 제251호 초조본 대승아비달마잡집론 권14(初雕本 大乘阿毗達磨雜集論 卷十四)

문성식 2014. 1. 3. 17:45

 

 

 

 

 

종 목 국보 제251호
명 칭 초조본 대승아비달마잡집론 권14(初雕本 大乘阿毗達磨雜集論 卷十四)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대장도감본
수량/면적 1권1첩
지정(등록)일 1989.08.01
소 재 지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2가 99-2 (재)아단문고
시 대 고려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재)아단문고
관리자(관리단체) (재)아단문고
불교경전은 크게 경(經), 율(律), 론(論)으로 나누어지는데, 아비달마는 부처님의 지혜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론(論)부분을 총칭하여 이르는 말이다. 따라서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은 성불(成佛)하는데 필요한 부처님의 지혜를 체계적으로 모아 설명하고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은 당나라 현장(玄奘)이 번역한 것인데, 권14인 이 책은 총 27매이다. 나무에 새겨서 두껍고 질긴 종이에 찍은 것으로 고려 현종 때(재위 1011∼1031) 만들어진 초조대장경의 일부이다. 병풍처럼 펼쳐서 볼 수 있는 형태로 만들었으며, 접었을 때의 크기는 세로 31㎝, 가로 12.2㎝이다.

대장경목록은 개개의 경전이 천자문의 순서에 따른 함차(函次)로 편성되어 있는데, 이 책은 ‘보(寶)’함에 소장된 것이다. 장수 표시는 1매에서 26매까지는 장(丈)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끝장인 27매만 장(張)으로 표시되어 있어서, 고려대장경 초조본에서 주로 ‘장(丈)’으로 장수를 표시 표시했음을 알 수 있다. 본문의 ‘경(竟)’자의 마지막 획을 빼고 쓴 점도 고려대장경 초조본에서 나타나는 특징중의 하나이다.

이 책은 종이의 질, 새긴 기법, 먹색 등으로 보아 11세기에 만든 것임을 알 수 있으며, 보존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