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중요무형문화재 64호
명 칭 두석장 (豆錫匠)
분 류 공예기술
지정일 1980.11.17
소재지 전국
※ 본문설명
목가구나 건조물에 붙여서 결합부분을 보강하거나 열고 닫을 수 있는 자물쇠 등의 금속제 장식을 총칭하여 장석(裝錫)이라고 하며, 구리와 주석을 합금한 황동(놋쇠) 장석을 만드는 장인을 두석장(豆錫匠)이라고 부른다. 두석장은 엄밀한 의미에서 장식장이라 해야 옳지만, 장식이라는 말이 아주 광범한 뜻을 가진 데다가 금속장식이라 하더라도 황동 이외에 철·은·오동 등 다양한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서 장식이란 말 대신 장석이라 표기해 구별하고 있다. 두석장이라는 용어는 『경국대전』 공조(工曹)의 경공장(京工匠) 가운데 포함된 두석장에서 연유한다.
장석재료로는 황동과 백동이 주류를 이루는데 일반적으로 황동이 쓰이며 보다 사치스런 장석으로 꾸미기 위해서는 백동을 쓴다. 제작과정을 보면 먼저 주석이나 백동을 넣은 도관을 불독 위에 얹어서 가열하여 녹이고 이것을 골판에 부어 식힌 다음 쇠까치를 만든다. 이것을 모래둑에 놓고 망치로 두들겨서 0.5㎜ 정도의 판철로 늘려 깎칼로 면을 반듯하게 깎아낸다. 여기에 본을 대어 그리고 작도와 정으로 오려서 줄로 다듬은 후 굽은 장석은 톰박 위에 놓고 두들겨 곱치고 다시 활비비로 구멍을 뚫고, 정으로 문양을 새기어 사기분말을 묻힌 걸레로 문질러 광택을 낸다. 장석의 종류로는 부착하는 물건에 따라 농장석, 궤장석, 의걸이장석, 벼락닫이장석, 모반장석, 전통장석 등이 있으며, 문양은 팔봉(八峰), 사모, 아자(亞字), 나비, 박쥐, 붕어, 학 등이 있다. 자물쇠는 귀자(貴字)쇠통, 비각쇠통, 거북장쇠통, 타래쇠통, 네모희자쇠통 등이 있다.
장석은 그 자체가 완전한 하나의 물품이 되지 못하고 한갓 부품에 지나지 않아서 소목장의 주문에 따라 특별제작되었다. 근래에는 이미 제작된 주석, 백동, 스테인레스의 판과 봉으로 장석을 만들기 때문에 전통장석의 수요부족과 함께 한국전통목가구의 전통과 맥에 커다란 문제점을 안겨주고 있어 김극천, 박문열 씨를 기능보유자로 인정하여 보전하고 있다.
※ 보충설명
목가구(木家具)에 붙이는 각종 금속제 장석(裝錫)의 제작 기술자를 두석장이라 부른다.
두석장은 예부터 경공장(京工匠) 속에 포함되었을 만큼 오랜 전통을 갖고 있다. 그러나 유희(柳僖)는 그의 저서 『물명고(物名考)』에서 두석(豆錫)이란 말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고, 두석, 주석, 황동 등의 낱말이 구리와 아연 합금의 동의어로 보는 한편 또 다른 항목에서는 두석(豆錫)이란 두석(斗錫) 즉 연성하지 않은 아연이 아니겠느냐는 등 혼동하고 있다. 현재도 주석 혹은 두석이라 일컫는 쇠붙이는 매우 모호하며, 구리 합금의 쇠붙이 장식 즉 금구(金具)를 가리킴이 분명할 따름이다. 그렇다면 두석장은 엄밀한 의미에서 장식장(裝飾匠)이라 함이 타당하겠으나 현재 사용하는 장식이라는 단어가 광의의 낱말이고 재래 목가구의 금속 장식에는 황동(黃銅) 이외에 백동(白銅)철, 은, 오동(烏銅) 등 다양한 재료를 포괄하고 있으므로 근자에는 장식이란 말 대신 흔히 장석(裝錫)이라 표기함으로써 일반적인 장식과 구별해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황동(黃銅)은 옛부터 구리와 아연만으로 합금된 것을 가리키지는 않으며, 범종(梵鍾)에 있어 상당량의 석(錫 상납)이 포함되어 있음을 성덕대왕(聖德大王) 신종(神種)이 입증한다. 즉 아연 합금의 퉁쇠와 석 합금의 단조(鍛造) 방짜까지를 두루 포괄하는 놋쇠의 일반적인 일컬음으로 통용되는 것이다.
가구의 장석과 같이 엷은 판을 두드려서 제작하는 물건에는 아연을 넣지 않고 구리와 상납만으로 합금하는 방짜(유동(鍮銅) 향동(響銅))가 좋으나 제작상의 원가 부담이 높아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주석 장석은 구리 70에 상납과 아연을 나머지 반반씩 넣어 합금하는 것이 보통이다.
보다 사치한 장석으로 꾸미기 위해서는 백동(白銅)을 쓴다. 백동은 주석에다 니켈을 8대2 내지 7대3으로 넣어 합금한 것인데 때로는 상납을 3∼5퍼센트 첨가하기도 한다. 백동 장석은 주석 장석과 마찬가지로 단조(鍛造)하여 제작한다. 다만 방짜의 경우 쇠를 불에 되풀이해 달궈가며 매질하여 얇은 판을 만드는 대신, 백동에 있어서는 불에 거듭 달구되 냉각된 상태에서 망치질을 하여 얇은 쇠판을 만드는 것이 특이하다. 또한 백통 일에는 오래 전부터 금은을 첨가해 얻는 오동(烏銅) 혹은 은동 따위로 무늬를 상감하는 기술이 뒤따른다. 이 상감 기법은 고도의 땜질 기술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러한 장석을 제작하는 기술이란 여러가지 합금과 단조와 땜질에 걸치는 일관된 공정을 가리키게 된다.
장석은 그 자체로는 완전한 기물이 되지 못하며, 목죽가구의 부품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장석은 소목장의 주문에 따라 제작하므로 일정한 규격에 얽매임이 없다.
|
복된 삶의 염원을 장식하는 기물 - 장석과 두석장
|
|
주요작품
- 반닫이
- 책, 두루마리, 옷, 옷감, 제사그릇 따위를 넣어 두는 길고 번듯한 큰 궤(櫃)를 우리말로 반닫이라고 한다. 앞판의 위쪽 반만을 문짝으로 하여 아래로 잦혀 여닫기에 반닫이라고 한다. 숭숭이반닫이는 평안도 박천지방에서 만들어 박천반닫이라고도 부르는데 추운 지방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단단한 나무보다는 무른 피나무를 써서 반닫이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였다. 또 장식의 변형이나 빛깔이 변하는 것을 막으려고 소피에 삶았다고 하는데 이것이 바로 박천지방의 공예기술이다.
- 갑게수리
- 보물, 보석, 문서 등을 넣어 두는 가구이다. 몸체는 홍송천목이며 주재료는 백동을 사용하였다. 백동판에 정으로 파초문양을 조이질하였고 민화문양을 새겨 넣었다.
작업도구
|
약력
- 1950년
- 경북 경주 출생
- 1965년
- 서울 용산 삼흥 주물공장 입문
- 1968년
- 윤희복 선생 공방 입문
- 1989년
- 제14회 전승공예대전 장려상
- 1990년
- 제15회 전승공예대전 입선
- 1991년
- 문화재 수리기능자 등록
- 1991년
- 제16회 전승공예대전 입선
- 1992년
- 제17회 전승공예대전 입선
- 1993년
- 제18회 전승공예대전 문화체육부 장관상
- 1993년
- 부여 정림사지 황동철물장석 복원
- 1994년
- 서울 정도 600년 자랑스런 시민상
- 1997년
-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노동부 기능전승자선정 ‘전통장석제작’
- 1997년
- 양산 통도사 금강계단 시우쇠 장석물 복원
- 1998년
- 제23회 전승공예대전 특별상
- 1999년
- 전남 영광 불갑사 대웅전 장석물 보수
- 2000년
- 중요무형문화재 제64호 두석장 기능보유자 인정
- 2008년
- 뉴욕한마음선원 장석물 제작
- 2009년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한국전통공예건축학교 장석반 개설
- 2009년
- 대한불교 조계사 팔각 구층 석탁 청동상류부 제작 및 설치
- 2009년
- 광화문 복원현장 철물장석 제작 및 설치
|
역사의 흐름 속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한 낱말 ‘두석(豆錫)’
|
주요작품
|
약력
- 1951년
- 출생
- 1982, 84년
- 전승공예대전 입선
- 1985, 88년
- 전승공예대전 입선
- 2000년
- 중요무형문화재 제64호 두석장 기능보유자 인정
- 2009년
- 한산대첩기념제전 작품전
- 2010년
- 12공방 기획전 전시
- 2010년
- 인사동 합동 공개행사 ‘천공을 만나다’ 35인 시연
- 2000년~ 현재
- 중요무형문화재보유자작품전 출품
- 2012년
- 2012 무형문화재초대전 출품
공식블로그 : http://blog.naver.com/fpcp2010
- 사진 서헌강(문화재전문 사진작가)
'문화재,도자기,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66호] 망건장(網巾匠) 중요 무형 문화제 (0) | 2012.03.30 |
---|---|
[제65호]백동연죽장(白銅煙竹匠) | 중요 무형 문화제 (0) | 2012.03.27 |
[제62호]좌수영어방놀이(左水營漁坊놀이) | 중요 무형 문화제 (0) | 2012.03.27 |
[제61호]은율탈춤 (殷栗탈춤) | 중요 무형 문화제 (0) | 2012.03.27 |
[제60호]장도장 (粧刀匠) | 중요 무형 문화제 (0) | 2012.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