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정도 ※팔정도(八正道) 팔정도는 팔정도지(八正道支) 또는 팔정도분(八正道分)이라고도 한다. 불교를 실천 수행하는 중요한 종목을 여덟가지로 나눈 것이다. 팔정도는 이 수행 방법이 중정(中正) 중도(中道)의 정도로서 완전한 수행 방법임으로 성인의 도로 나타내어 성도(聖道)라고도 한다. (1) 정견 (正見) .. 불교 2010.08.24
12연기 ※십이인연 모든 중생들이 불성을 망각하고 현실의 고통바다에서 헤매는 원인과 그 결과를 열두가지 단계로 나타낸 것을 십이인연법이라 합니다. 십이인연법은 십이연기라고도 하며 만상은 실체가 없고 서로 인연따라 일어나고 의지하는 관계라 하는 사실을 설명해 줍니다. 1.무명(無明) 어리석음의 .. 불교 2010.08.24
향을 사르고 촛불을 켜는 의미 1) 향을 사르고 촛불을 켜는 의미 향은 자신을 태움으로써 그윽한 향기를 발산한다. 여러 모양과 빛깔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이 함께 몸을 태울 때 연기는 하나로 융합되어 모든 사람의 이기심과 아집을 뛰어넘은 화합을 보여준다. 향은 특별히 자신의 모습을 고집하지 않고 연기는 곧 사라져버.. 불교 2010.08.24
불교 4대 성지 불교 4대 성지 ◀탄생지 룸비니▶◀성도지 붓다가야▶ ◀초전 법륜지 녹야원▶◀열반지 쿠시나가라▶ 1. 탄생지 룸비니 룹비니는 네팔(現)에 위치하고 있다. 특이하게도 힌두스텐 대평원이 끝나면서 계단처럼 층을 이루며 솟아오른 히말라야 산기슭에 위치하고 있어 天上과 天下가 함께 실감나는 곳.. 불교 2010.08.24
절에서의 예절 절에서의 예절 1. 절에 들어서면서 절(寺)은 일주문 또는 불이문이란 문으로부터 시작됩니다. 문에 들어서면서 인사를 하게 된다. 합장 반배(合掌半拜)를 하게 되니, 문 앞에 서서 공손히 두손을 모아 가슴 앞에 하고 머리와 허리를 굽혀 큰 법당 쪽을 향하고 절 을 하는 것이다. 경건한 마음과 단정한 몸.. 불교 2010.08.24
불자의 예절 불자의 예절 사원은 마음의 번뇌를 정화(淨化)하고 지혜를 닦는 수행장으로써 부처님을 모신 신성하고 장점한 성전(聖殿)이며, 기도하고 참회하는 신앙의 귀의처이다. 불자는 정성을 다하여 도량의 성스러움을 보호해야 함은 물론 우 리들의 마음 자세도 신중하고 밝아야 하며, 또한 몸가짐을 경건하 .. 불교 2010.08.24
법당의 구조 법당의 구조 법당은 통상 상단, 중단, 영단의 삼단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부처님상과 보살상을 모신 상단,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 선신들을 모신 중단, 그리고 영가를 모신 영단이 그것입니다. 상단(上壇) 법당의 어간문에서 바라볼 때 정면에 가장 높은 단상을 설치하고 그 중앙에 부처님상을 모시는데 .. 불교 2010.08.24
초심자를 위한 불교 생활 기초교리 [초심자를 위한 불교예절과 일반상식] ▶ 예절 불교예법을 바르게 익힘으로써 우리 모두 참된 불자로서 어긋남이 없는 몸 가짐과 마음을 갖추어야 하겠다. 사원은 마음의 번뇌를 정화하고 지혜를 닦는 수행장이다. 신성한 성전이며 기도하고 참회하는 신앙의 귀의처이기도 하다. 올바른 예절은 우리.. 불교 2010.08.24
초심자를 위한 불교예절과 일반상식 [초심자를 위한 불교예절과 일반상식] ▶ 예절 불교예법을 바르게 익힘으로써 우리 모두 참된 불자로서 어긋남이 없는 몸 가짐과 마음을 갖추어야 하겠다. 사원은 마음의 번뇌를 정화하고 지혜를 닦는 수행장이다. 신성한 성전이며 기도하고 참회하는 신앙의 귀의처이기도 하다. 올바른 예절은 우리.. 불교 2010.08.24
알아두면 좋은 불자상식 알아두면 좋은 불자상식 ▣ 사찰의 문 1.일주문 * 절 입구에 양쪽 하나씩의 기둥으로 세워진 건물 * 일주문을 경계로 문밖을 속계, 문안을 진계라 부름 2.천왕문 * 부처님의 세계를 지키는 사천왕을 모신 문 : 일명 봉황문 * 동쪽에 지국천왕-비파 가짐 * 서쪽에 광목천왕-여의주,새끼줄 가짐 * 남쪽에 증장.. 불교 2010.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