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보물

보물 제1864호 소상팔경도 (瀟湘八景圖)

문성식 2016. 11. 6. 04:38

보물 제1864호 소상팔경도 (瀟湘八景圖)

종목 보물 제1864호
소재지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626-35 (남성동, 국립진주박물관)
지정일 2015.03.04
수량 3화축 8폭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국유
관리자 국립진주박물관
자료출처 및 참조 문화재청

이 <소상팔상도>는 종이에 수묵으로 그려져 있는데 8폭의 그림이 두 폭씩 對를 이루는 구도로 좌우에 우뚝 솟은 산세가 마주보면서 무게 중심을 이루고 있다. 각각의 그림에는 농담의 대조와 용묵법에 의해 계절의 변화 등이 잘 나타나 있다. ​ 마치 사계산수처럼 봄을 표현한 산시청람(山市晴嵐)으로 시작해서 연사모종( 燃寺暮鐘), 어촌석조(漁村夕照). , 원포귀범(遠浦歸帆). 소상야우( 瀟湘夜雨), 동정추월(洞庭秋月), 평사낙안( 平沙落雁), 그리고 겨울 장면인 강천모설(江天暮雪)로 마무리된다.

 

이 <소상팔경도>는 “소상팔경”을 주제로 8폭이 모두 갖추어진 완형의 작품이자, 조선 초기 문인사회의 시화일치사상이 잘 녹아있는 대표적인 산수화이다. 또한 16세기 전반 안견파 화풍의 한국화현상 즉 편파삼단구도, 넓은 공간, 해조묘의 수지법, 단선점준 등의 양식적 특성이 잘 드러나 있다는 점에서 회화사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더욱이 진주박물관 소장 소상팔경도는 한 재일동포가 고국에 기증한 “기증문화재” 라는 점 역시 주목할만하다 .

 

소상팔경도」의 여덟 장면은 대체로 화첩과 병풍에 그리는데, 그 순서는 일정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개 ① 산시청람(山市晴嵐), ② 연사모종(煙寺暮鐘) 또는 원사만종(遠寺晩鐘), ③ 원포귀범(遠浦歸帆), ④ 어촌석조(漁村夕照 또는 漁村落照), ⑤ 소상야우(瀟湘夜雨), ⑥ 동정추월(洞庭秋月), ⑦ 평사낙안(平沙落雁), ⑧ 강천모설(江天暮雪) 등으로 구성되었다.

 

계절로 보면 봄·가을·겨울 장면이 주로 그려지고, 하루 중 아침이나 낮보다는 저녁이나 밤이 주로 표현되었다. 이는 시적(詩的)인 분위기와 운치를 중요시했던 때문으로 믿어진다. 이처럼 「소상팔경도」는 순수한 감상화의 대표적인 주제라 할 수 있다.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는 중국 '소상팔경'을 주제로 한 8폭이 모두 갖추어진 완전한 형태의 작품이자, 조선 초기 문인사회의 시화일치사상이 잘 녹아있는 대표적인 산수화다. 특히 16세기 전반 안견파 화풍의 한국화 양식 특성이 잘 드러나 있다는 점에서 회화사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문화재청은 밝히고 있다.

 

 ☞ 위 작품은 현재 국립진주박물관에 소장돼 있는데, 재일교포 두암 김용두 선생(2003년 작고)의 기증을 통해 환수된 문화재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김용두 선생은 이 작품을 지난 2001년 기증했다. 사천 출신인 두암 선생은 일제강점기인 1929년, 7살 때 일본으로 건너가 사업가로 자수성가했다. 선생은 사업이 안정적인 궤도에 오르자 일본에 유출된 우리 문화재를 적극적으로 수집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수집한 문화재 중 179점을 선생의 고향과 인접한 국립진주박물관에 기증했다. 선생이 기증한 문화재 중 '정조어필'은 이미 보물(제1632-1호)로 지정됐다.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 중  원포귀범(遠浦歸帆),16세기,

종이 수묵, 각 91.0 cm X 47.7 cm,국립진주박물관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 중 어촌석조(漁村夕照). 16 세기,

종이 수묵, 각 91.0 cm X 47.7 cm,국립진주박물관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 중 연사모종( 燃寺暮鐘),​ 16세기,

종이 수묵, 각 91.0 cm X 47.7 cm,국립진주박물관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  산시청람(山市晴嵐) ,작자 미상, 16세기,

종이 수묵, 각 91.0 cm X 47.7 cm, 국립진주박물관 



소상팔경도 (瀟湘八景圖) 중 평사낙안( 平沙落雁),16 세기,

종이 수묵, 각 91.0 cm X 47.7 cm,국립진주박물관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 중 강천모설(江天暮雪),16 세기,

종이 수묵, 각 91.0 cm X 47.7 cm,국립진주박물관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 중 동정추월(洞庭秋月), 16세기,

종이에 먹 91 cm × 47.7cm 국립진주박물관.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 중 소상야우( 瀟湘夜雨), 16 세기,

종이에 먹 각 91 cm X 47.7cm.국립진주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