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0.jpg이 복장유물(腹藏遺物)은 동자상(童子像)의 유래(由來)와 조성년대(造成年代)에 관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1984년 7월 19일에 복장(腹藏)을 개봉(開封)한 결과 나타난 일괄유물(一括遺物)인데 성화년간(成化年間)의 발원문(發願文)과 만력년간(萬曆年間)의 발원문(發願文)이 나와 조성(造成) 및 중수(重修)의 연대를 살필 수 있었다.

1. 발원문(發願文) ① (성화년간(成化年間)) 가로 23㎝, 세로 32.5㎝의 푸른 비단에 붉은 글씨로 썼는데, 복장원문(腹藏願文)은 푸른 비단에 붉은 글씨로 써야 한다는 의궤(儀軌)를 잘 따르고 있다. 원문(願文) 내용(內容)은 다음과 같다. 조선국하성위정현조의숙공주이씨복위(朝鮮國河城尉鄭顯祖懿淑公主李氏伏爲) 주상전하(主上殿下) 왕비전하(王妃殿下) 세자저하만세(世子邸下萬歲) 만세(萬歲) 만만세(萬萬歲) 역원기신(亦願己身) 속득지혜지남경성(速得智惠之男敬成) 석가여래(釋迦如來) 약사여래(藥師如來) 아미타불(阿彌陀佛) 문수보살(文殊菩薩) 보현보살(普賢菩薩) 미륵보살(彌勒菩薩) 관음보살(觀音菩薩) 지장보살(地藏菩薩) 십육응진(十六應眞) 천제석(天帝釋) 왕(王) 복안우(伏安于) 오대산(五臺山) 문수사복원(文殊寺伏願) 중성각연자비동가섭수(衆聖各蓮慈悲同加攝受) 이수제자구구간원(以遂弟子區區懇願) 성화이년(成化二年)(1466) 이월(二月) 일지(日誌) 발원자(發願者) 정현조(鄭顯祖)는 정인지(鄭麟趾)의 아들로 세조(世祖)의 딸 의숙공주(懿淑公主)와 결혼한 하남위(河南尉)이다. 하남위(河南尉) 부부는 세조(世祖)의 만수무강(萬壽無疆)을 발원(發源)하기 위하여 문수동자상(文殊童子像)을 조성(造成)했는데 부스럼병(病)으로 고생했다는 세조의 치병(治病)과 관련된 전설(傳說)을 뒷받침해 준다. 이것은 동자상(童子像)의 조성년대(造成年代)를 알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는데, 사명(寺名)을 문수사(文殊寺)로 하고 있는 것은 의문의 여지를 남긴다.

2. 발원문(發願文) ② (만력년간(萬曆年間)) 가로 28㎝, 세로 35㎝의 푸른 비단에 붉은 글씨로 된 원문(願文)인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황명만력기해(皇明萬曆己亥)(1599) 오월일(五月日) 연화비구지운(緣化比丘智雲) 본사대중보명등동발보리지심(本寺大衆普明等同發菩提之心) 중수(重修) 동자문수일존(童子文殊一尊) 노문수일존(老文殊一尊) 십육성중(十六聖衆) 화엄회도(華嚴會圖) 서방회도(西方會圖) 원각회도(圓覺會圖) 이타회도(彌陀會圖) 비노회도(毗盧會圖) 영산회도(靈山會圖) 달마진의(達磨眞儀) 나옹진의(瀨翁眞儀) 안우복지(安于福地) 이차량연(以此良緣) 대서발원(大誓發願) 주상전하수만세(主上殿下壽萬歲) 왕비전하수제년(王妃殿下壽齊年) 세자저하수천추(世子邸下壽千秋) 국태민안(國泰民安) 불일중휘 법(佛日重輝) 법(法) `계합영초생극락(界합靈超生極樂) 역원계정근수(亦願戒定勤修) 삼독영단(三毒永斷) 초생극락친견(初生極樂親見) 미타마정수기(彌陀磨頂授記) 광도미륜(廣度迷倫大) 대소수희(大小隨喜) 개발보리(皆發菩提) 보여인천광연무궁(普與人天廣緣無窮) 증명 일학(證明 一學) 화사 석준(畵師 釋俊) 원오(元悟) 지전계순(持殿戒淳) 공양주(供養主) 학보(學寶) 학명발(學明跋) 이상의 원문(願文)은 만력(萬曆) 기해년(己亥年)(1599)에 동자상(童子像) 개금불사(改金佛事)(중수(重修)) 때의 것으로 짐작된다.

3. 개금불사중수기(改金佛事重修記) 흰 저지(楮紙)에「서기(西紀) 1972년(年) 임자년(壬子年) 이월(二月) 이십칠일(二十七日) 불기(佛紀) 2915년(年) 원주봉주(院主奉珠) 화주(化主) 법성주 화원(畵員) 박(朴)준주」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복장(腹藏)은 1972년에 개봉되었음을 알 수 있다.

4. 백색수정보병(白色水晶寶甁) 1점 지름 3.5㎝의 흰 수정구(水晶球)인데, 향목(香木)으로 가운데를 뚫어 삽입하여 병형(甁形)을 만들었다. 역시《조상경(造像經)》에 있는 대로 복장의궤(腹藏儀軌)를 따르고 있다.

1881.jpg 5. 무공수정주(無孔水晶珠) 1개(個) 지름2㎝ 남짓한 수정구(水晶球)이다.「무공수정주(無孔水晶珠) - 위심주야(爲心珠也)」라는 의궤(儀軌)를 따랐다.

6. 사리(舍利) 3입(粒)《조상경(造像經)》의 의궤(儀軌)대로라면 7입(粒)의 수정(水晶)이나 유리등으로 대용하게 되어 있는데 3입(粒)만 남아있다.

7. 불서류(佛書類)천수경(千手經)1, 화엄경(華嚴經)1, 제경합본(諸經合本)2,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5, 진언집(眞言集)1, 범(梵) ·한문진언사경(漢文眞言寫經)1, 이 중에서 범(梵) ·한문진언(漢文眞言)(다라니(陀羅尼)) 사경(寫經)에는「천순칠년계미칠월초팔일(天順七年癸未七月初八日) 범서선종선사내호(梵書禪宗禪師乃浩) 염수범향계수배수(염手梵香稽首拜手)」라는 기록이 있다.

8. 비단 상의(上衣) 2착(着) 1착(着)은 누런 비단 상의(上衣)이며 여러 곳에 다라니(陀羅尼)를 새겼고, 노씨부인(魯氏夫人)이라는 발원자(發願者) 이름을 남기고 있다. 다른 1착(着)은 흰 비단이며 다라니(陀羅尼)도 새기지 않고 보존상태도 나쁘다. 복장의궤(腹藏儀軌)에 옷을 넣는 일은 없고 비단 천의 다라니(陀羅尼)를 새겨 넣도록 되어 있는데 노씨부인(魯氏夫人)이 누군지 알 수 없고 비단 대신 옷을 넣어 개인적인 공덕(功德)을 위한 것으로 짐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