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 보물 제792호 |
---|---|
소재지 | 전북 남원시 (국립전주박물관 보관) |
소재지 | |
지정일 | 1984.08.31 |
수량/면적 | 1폭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자 | 이정봉 |
관리자 | 국립전주박물관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조선 중기의 문신 이상길을 그린 그림. 비단바탕에 채색. 세로 185㎝, 가로 93㎝. 전라북도 남원시 덕과면 사곡리 이정기(李正基) 소장.
이상길(李尙吉)(1556∼1637)은 조선의 문신(文臣)으로 자(字)는 사우(士祐), 호(號)는 동천(東川)이다. 벼슬은 공조판서(工曹判書)에 이르렀으며, 인조(仁祖), 14년(1636)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나자 묘사(廟社)를 따라 강화(江華)에 들어갔다가 이듬해 청군(淸軍)이 강화에 육박하자 자결(自決)했다.
낮은 사모에 담홍색 단령(團領)을 입고 공수자세(拱手姿勢 : 두손을 마주 잡음)를 취하고 의자에 앉은 전신상이다.
상용형식면에서 단령의 양쪽 트임새로 살짝 내비치는 첩리(帖裡 : 철릭), 그리고 양쪽 어깨의 경사진 각도를 달리함으로써 앉음새를 매우 안정되게 나타내어 조선 중기 초상화의 전형적 특색을 보인다.
그러나 안면의 세부묘사에 있어서는 중기 초상화법이 이목구비를 선묘 위주로 그려내면서 안면의 도드라진 부위, 즉 골상학(骨相學)에서 말하는 이른바 오악(五嶽)의 중심부위에 옅은 홍기(紅氣)를 삽입시키는 것과는 달리, 이 초상화는 보다 후기의 초상화법을 채택하고 있다.
다시 말해 3양(三陽), 3음(三陰), 누당(淚堂), 와잠(臥蠶)을 경계로 하여 선염기(渲染氣)를 짙게 안배함으로써 안면의 고자세를 나타내려는 도식화된 의도가 강하게 나타나 있어 이상길 재세시의 묘법보다는 좀더 후대의 화법을 보인다.
따라서, 이 영정은 원본을 충실히 모사한 이모본(移模本)으로서, 안면처리에만 이모시의 시대색이 반영된 것이다.
'한국의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794호 예산화전리사면석불(禮山花田里四面石佛) (0) | 2015.12.15 |
---|---|
보물 제793호 상원사목조문수동자좌상복장유물(上院寺木彫文殊童子坐像腹藏遺物) (0) | 2015.12.15 |
보물 제791호 백자상감모란엽문편병(白磁象嵌牡丹葉文扁甁) (0) | 2015.12.15 |
보물 제790호 은해사백흥암극락전(銀海寺百興庵極樂殿) (0) | 2015.12.15 |
보물 제789호 청자조각쌍사자두침(靑磁彫刻雙獅子頭枕) (0) | 2015.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