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62호 |
---|---|
소재지 | 전북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 81 |
소재지 | 금산면 귀신사 |
지정일 | 1974.09.27 |
수량/면적 | 1기 7,293㎡ |
시대 | 고려시대 |
소유자 | 귀신사 |
관리자 | 귀신사 |
자료출처 및 참조 |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 귀신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 높이 5.5m.
지대석 위에 단층기단을 쌓고 그 위에 4장의 돌로 이루어진 갑석을 얹은 다음 3층의 탑신을 올렸다.
탑신부는 탑신과 옥개석이 각각 몇 개의 석재로 이루어졌다. 1층탑신은 네 귀퉁이에 네모난 돌기둥을 별개의 석재로 세우고 그 사이에 판석을 4면에 끼웠고, 그 위에 판석 1면을 얹어 옥개석을 받치게 하여 8개의 석재로 되어 있다.
2층과 3층은 각각 하나의 석재로 이루어졌는데, 각각의 옥개석 아래에는 굄돌 1매씩이 끼워져 있다. 탑신은 옥개석의 너비에 비하여 높이가 낮아 안정감을 느끼게 한다. 옥개석은 판석형으로 낙수면의 경사는 매우 완만하고 추녀 끝은 약간 반전된 듯하나 거의 수평을 이루고 있으며, 1층은 8개, 2층은 4개, 3층은 1개의 석재로 되어 있다.
2층 이상도 거의 같은 수법으로 탑신과 옥개석을 구성하였는데 전체적인 체감비율은 1층탑신의 체감률에 비해 2층탑신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익산 미륵사지(彌勒寺址) 석탑을 비롯한 부여 정림사지(定林寺址) 석탑 계통을 따른 백제시대의 석탑양식이 두드러지게 보인다.
상륜부는 결실되어 현재 노반(露盤)만 남아 있다. 이 탑은 몇 차례에 걸쳐 도굴되거나 붕괴되어 보수되었는데 2층탑신석 굄대와 옥개석이 바뀌어 있는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이 석탑은 676년(문무왕 16) 귀신사 건립 당시의 석탑으로 알려져 왔으나, 옥개석이 탑신에 비하여 지나치게 넓고 여러 개의 별석(別石)으로 이루어졌다는 점과 옥개석의 상하단에 굄대를 둔 것으로 미루어 보아 후백제지역을 중심으로 조성되었던 백제 석탑양식을 반영한 고려 초기의 석탑으로 추정된다.
귀신사 석탑은 여느 석탑이 법당 앞에 있는 것과는 달리 뒤편 언덕에 위치하고 있고, 그 앞에 남근석(男根石)을 등에 업은 석수(石獸)가 배치된 것으로 보아 민속신앙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한국의 탑,부도,석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56 정산남천리석탑(定山南泉里石塔) (0) | 2015.06.14 |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0호 횡성신대리삼층석탑(橫城新垈里三層石塔) (0) | 2015.06.14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3호 현등사삼층석탑(懸燈寺三層石塔) (0) | 2015.06.13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65호 청주보살사오층석탑(淸州菩薩寺五層石塔) (0) | 2015.06.13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66호 탑동삼층석탑(塔洞三層石塔) (0) | 2015.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