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97.jpg 전라북도 남원시 왕정동 만복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대좌. 높이 1.4m.

 

이 석좌(石座)는 불상(佛像)을 모셨던 대좌(臺座)이다. 고려(高麗) 문종(文宗)때인 11세기에 만복사(萬福寺)가 창건(創建)될 때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거대한 하나의 돌로 하대(下臺)·중대(中臺)·상대(上臺)를 조각하였는데 특히 육각형으로 조각한 것은 특이한 예이다.

 

1석으로 조성된 6각형의 연화대좌(蓮華臺座)로서 원위치에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다.

하대(下臺) 위에 상대(上臺)를 마련하고 그 사이의 간주(竿柱)는 낮게 표현하였다. 하대 측면에는 각 면마다 2개의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를 새기고 중앙의 탱주(撑柱 : 받침기둥)로 2분하였는데, 우주와 탱주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1단 낮은 선조(線條)를 새겼다.

 

각 면의 2분된 구간에는 안상(眼象)을 오목새김하고, 안상 안에는 귀꽃모양의 화형문(花形文)을 새기고 하부는 1단의 받침을 새겨 측면받침으로 삼고 있다. 상부는 갑석(甲石) 모양으로 테를 마련하고 그 위의 경사진 상면에 복엽(複葉)의 복련(覆蓮)을 조각하였는데, 윗면에 중대받침을 조각하였다.

 

중대(中臺)는 양쪽에 우주, 가운데에 탱주를 새겨 2부분으로 구획하였는데, 안상 등의 장식은 없고 마멸이 심하여 각 주형(柱形)의 조각이 뚜렷하지 않다.

 

중대 상단에는 하부와 상대하여 1단의 상대굄을 마련하였으나, 상대의 앙련(仰蓮) 부분은 주변 전체가 파손되어 어떠한 형태인지 잘 알 수 없다. 상면은 평평할 뿐 별다른 장치는 없으며, 중앙에 1변길이 30㎝의 방형 구멍이 있어서 여기에 불상을 끼웠던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좌대(座臺)는 방형 혹은 8각, 원형 등이나 이 석좌는 6각형으로서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8각원당형(八角圓堂形)에서 벗어난 이례적인 형식을 보이고 있다.

 

하대 각 면의 우주와 탱주 가장자리에 선조를 장식한 것이라든지 안상의 안쪽에 귀꽃형 화문을 장식한 수법 등은 고려시대에 유행한 양식으로서, 이 석조대좌의 조성연대는 11세기경으로 추정된다.